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용인과 활동지원사 FGI를 통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만족도 및 요구도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Disabled Persons and Personal Assistant Services Assistants through F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9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of users and activity support companies at a time when qualitative expansion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the disabled is required. To this end, a focus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10 people in two groups, 5 users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5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assistant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er training course was proceeding systematically compared to the early days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the area with high service use satisfaction was related to social personal assistant. Various improvements were confirmed in terms of service target, unit price, personal assistant company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personal assistant service was found to be the most essential and important system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the case of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companies, positive awareness of the disabled through the service assistant process, joy and worth of work based on trust with user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 assistant process, formal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The need for service recognition time, initial adaptation period for matching, and parental education for guardia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of users and activity support companies at a time when qualitative expansion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the disabled is required. To thi...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of users and activity support companies at a time when qualitative expansion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the disabled is required. To this end, a focus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10 people in two groups, 5 users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5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assistant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er training course was proceeding systematically compared to the early days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the area with high service use satisfaction was related to social personal assistant. Various improvements were confirmed in terms of service target, unit price, personal assistant company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personal assistant service was found to be the most essential and important system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the case of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companies, positive awareness of the disabled through the service assistant process, joy and worth of work based on trust with user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 assistant process, formal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The need for service recognition time, initial adaptation period for matching, and parental education for guardia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확대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용인과 활 동지원사들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서비 스 이용인 5명, 장애인 활동지원사 5명으로 2개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초점면접조사(FGI)를 실시하 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동 지원서비스 이용인의 경우 활동 지원서비스 이용인 교육이 활 동지원 서비스 초기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비스이용 만족도가 높은 영역은 사회활동 지원과 관련한 부분이었다. 서비스 대상, 단가, 활동지원사 관리와 교육 측면에서 다양한 개선사항이 확인되었으며 활동 지원서비스는 장애인의 자립 생활에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제도임이 도출되었다. 활동지원사의 경우 서비스 지원 과정을 통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 이용인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일의 기쁨과 보람, 서비스 지원 과정에서의 인권침해와 감정노동, 형식적인 의무교육과정, 적절하지 않은 서비스 인정시간, 매칭 초기 적응 기간 및 장애아동 보호자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개선사항과 활성화 방안 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확대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용인과 활 동지원사들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 활동 지...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확대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용인과 활 동지원사들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서비 스 이용인 5명, 장애인 활동지원사 5명으로 2개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초점면접조사(FGI)를 실시하 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동 지원서비스 이용인의 경우 활동 지원서비스 이용인 교육이 활 동지원 서비스 초기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비스이용 만족도가 높은 영역은 사회활동 지원과 관련한 부분이었다. 서비스 대상, 단가, 활동지원사 관리와 교육 측면에서 다양한 개선사항이 확인되었으며 활동 지원서비스는 장애인의 자립 생활에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제도임이 도출되었다. 활동지원사의 경우 서비스 지원 과정을 통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 이용인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일의 기쁨과 보람, 서비스 지원 과정에서의 인권침해와 감정노동, 형식적인 의무교육과정, 적절하지 않은 서비스 인정시간, 매칭 초기 적응 기간 및 장애아동 보호자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개선사항과 활성화 방안 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익섭 ; 김경미 ; 김동기, "활동보조서비스 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117-143, 2007

      2 전지혜,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미국 장애인 활동보조제도(PAS)와 장애인케어제도(PCA)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2) : 255-278, 2015

      3 유영림 ; 이현숙, "한국 복지체제에서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의 방향성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2287-2302, 2022

      4 박영국 ; 정성일, "중증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17 (17): 45-67, 2010

      5 송재숙 ; 정종화,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기관별 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187-213, 2009

      6 이준우 ; 김일선장 ; 김정석, "중증 장애여성의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56 (56): 149-177, 2022

      7 홍유진 ; 장현,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Gilbert와 Terrell의 산물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19-38, 2012

      8 김정현 ; 임정현 ; 김정연 ; 박연진,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지자체 추가지원서비스의 이용자 경험 연구 - 성남시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1) : 139-162, 2016

      9 김광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9 (9): 103-130, 2020

      10 김가희 ; 박수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이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자 중심 성과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1-23, 2019

      1 이익섭 ; 김경미 ; 김동기, "활동보조서비스 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117-143, 2007

      2 전지혜,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미국 장애인 활동보조제도(PAS)와 장애인케어제도(PCA)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2) : 255-278, 2015

      3 유영림 ; 이현숙, "한국 복지체제에서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의 방향성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2287-2302, 2022

      4 박영국 ; 정성일, "중증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17 (17): 45-67, 2010

      5 송재숙 ; 정종화,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기관별 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187-213, 2009

      6 이준우 ; 김일선장 ; 김정석, "중증 장애여성의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56 (56): 149-177, 2022

      7 홍유진 ; 장현,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Gilbert와 Terrell의 산물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19-38, 2012

      8 김정현 ; 임정현 ; 김정연 ; 박연진,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지자체 추가지원서비스의 이용자 경험 연구 - 성남시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1) : 139-162, 2016

      9 김광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9 (9): 103-130, 2020

      10 김가희 ; 박수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이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자 중심 성과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1-23, 2019

      11 이승준,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11 (11): 3083-3098, 2020

      12 김지영, "장애인활동지원사의 돌봄노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문사회 21 10 (10): 307-320, 2019

      13 박현정 ; 송호준, "장애인활동지원 현황과 개선 연구 -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독심리운동학회 8 (8): 69-90, 2022

      14 송기영,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1 (1): 31-45, 2015

      15 강민희 ; 김경란,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제도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21-48, 2013

      16 김경미, "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이후 삶의 변화에 대한 연구: 신체적, 심리적, 사회관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253-274, 2005

      17 김동선 ; 김엄지 ; 신민지, "장애인 활동지원사업 애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분석 및 대체 앱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1745-1757, 2020

      18 이채식,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 실태 분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3 (13): 121-144, 2011

      19 이웅 ; 김동기,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15-140, 2011

      20 김승태 ; 김동기 ; 이웅,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 및 전담인력의 지지가 활동보조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15-32, 2016

      21 최용길 ; 김유정, "우리나라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연구원 25 (25): 173-193, 2019

      22 안형진 ; 윤재영, "능동적 시민성에 입장에서 장애인 활동지원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발달장애인의 포괄적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9 (49): 31-58, 2020

      23 이동석 ; 이호선, "공공기관 사회서비스 제공에 대한 진단 및 대안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2 (22): 1-29, 2020

      24 Braun,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3 : 77-101, 2006

      25 Morgan, D. L., "Successful focus groups: advancing the state of the art" Sage 3-19, 1993

      26 Kim, J. Y., "Self-reliance through dependence-about the labor of activity support workers for the disabled" (66) : 204-237, 2021

      27 Morgan, D. L., "Planning focus groups" Sage 1998

      28 Yoo, D. C.,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guarantee of social rights" 20 : 13-57, 2005

      29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Law Act. Law No. 18, No. 222"

      30 "Disabled Personal Assistant"

      31 Kim, D. G.,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providers" 217 : 38-47, 2014

      32 Yang, H. T., "Comparison of User Satisfaction with Assistive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PAS)by Type" 4 (4): 111-132, 2007

      33 Son, K. S., "A study on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8 (8): 31-59, 2011

      34 Kang, M. H.,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y assistant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care" Korea Welfare of the Disabled 35-64, 2016

      35 Jang, S. G.,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Assistants in Activity Support Services for Disabled Persons" 8 (8): 81-110,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