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글래스의 확산/보급으로 다양한 AR/VR/MR(혼합현실) 어플리케이션이 출시 되었으나,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대형 화면인 TV에서 이용할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41195
서울 :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 인공지능융합학과 , 2020. 8
2020
한국어
서울
v, 26장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한정현
참고문헌: 장 25-26
I804:11009-00000023230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글래스의 확산/보급으로 다양한 AR/VR/MR(혼합현실) 어플리케이션이 출시 되었으나,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대형 화면인 TV에서 이용할 수 ...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글래스의 확산/보급으로 다양한 AR/VR/MR(혼합현실) 어플리케이션이 출시 되었으나,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대형 화면인 TV에서 이용할 수 있는 AR/VR/MR 어플리케이션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TV 디바이스에서 이러한 오버레이(Overlay) 기법을 이용하려면 별도의 카메라나 CPU가 필요한데, 이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별도의 투자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디바이스의 분산된 영상처리로 극복하여 누구나 쉽게 고차원의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에게 가장 친숙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지털 TV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셋톱박스를 연동하여 다양한 AR/VR/MR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시스템 구현과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품질 및 실시간성 향상을 검증한다.
특히, TV-모바일 연동 환경에서의 MR을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배경으로 분리하는 segmentation과 그 과정에서 정확히 분리되지 않는 에러 부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방법들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였으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성한 알파맵을 WebM등의 알파 채널의 코덱이 없는 legacy 셋톱박스 장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셋톱박스에서 WebGL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형태로 AR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