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중앙 집중화의 동인에 관한 검토 = A Preliminary Review on the Causes of Central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causes of central concentration in and around the national capital of Korea, Seoul. The causes have been recent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and the multi-funct...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causes of central concentration in and around the national capital of Korea, Seoul. The causes have been recent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and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Especially, my analysis focuses on structural mechanisms and dynamics of the central concentration rather than the indicators and partial factors of it. Therefore, the paper firstly undertak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analysis of the problematic spatial phenomenon, and secondly examines the historic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finds out that the central concentration has been driven by not only the unitary state system which was dominant in Korea but also by the accumulative agglomeration of the headquarters and related core managerial functions of major business conglomerates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A spatial bias, a deep-rooted cultual-psychological orientation toward the Capital Region of Korea, also has aggravated the central concentration in the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최근 신행정수도와 행정복합중심도시의 건설을 둘러싸고 제기된 우리나라의 중앙 집중화의 발생 동인과 배경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수도권의 과대과밀에 대한 현상적인 설명과 그...

      이 글은 최근 신행정수도와 행정복합중심도시의 건설을 둘러싸고 제기된 우리나라의 중앙 집중화의 발생 동인과 배경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수도권의 과대과밀에 대한 현상적인 설명과 그 실태에 대한 지표적 분석보다 수도권 집중의 구조적 역학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먼저 중앙 집중화를 설명할 수 있는 지리학 안팎의 이론을 검토하고, 뒤이어 그 동인과 관련된 다양한 배경과 구조, 동학을 설명한다. 우리나라의 중앙 집중화는 기본적으로 관료주의적 중앙집권체제의 발달에 기인하며, 또한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등장한 대기업 본사의 입지 등에 따른 서울로의 경제력 집중과 연계되면서 가속화되어 왔다. 더군다나 중앙 지향적 공간편향과 서울이 제공하는 각종 자원과 가치를 공유하려는 사회문화적 심리구조가 중앙 집중화를 강화시키는 상승작용을 불러왔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 이탈리아의 국가발전과 지역의 정치경제학" 2 (2): 75-89, 1999c

      2 김철규, "한국의 자본주의 발전과 사회변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3 권용우, "한국의 도시체계변화와 도시관리 방향" 국토지리학회 39 (39): 149-159, 2005

      4 김일철, "한국사회와 재구조화과정"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5 안영진, "프랑스의 지방분권화 개혁과 지역발전" 21 (21): 171-197, 1999a

      6 장세훈, "중앙집권화의 현실과 지방분권화의 전망" 한울 138-165, 2001

      7 김필동, "조직 사회로의 이행과 그 사회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60-284, 1997

      8 "수도권 문제 집중과 분산의 동학 행정수도 건설 문제를 중심으로" 60 : 40-66, 2003

      9 강현수, "수도권 경제력 집중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울 47-80, 2002

      10 정숭교, "서울 서울내기 서울사람" 역사비평사 50-65, 1998

      1 "현대 이탈리아의 국가발전과 지역의 정치경제학" 2 (2): 75-89, 1999c

      2 김철규, "한국의 자본주의 발전과 사회변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3 권용우, "한국의 도시체계변화와 도시관리 방향" 국토지리학회 39 (39): 149-159, 2005

      4 김일철, "한국사회와 재구조화과정"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5 안영진, "프랑스의 지방분권화 개혁과 지역발전" 21 (21): 171-197, 1999a

      6 장세훈, "중앙집권화의 현실과 지방분권화의 전망" 한울 138-165, 2001

      7 김필동, "조직 사회로의 이행과 그 사회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60-284, 1997

      8 "수도권 문제 집중과 분산의 동학 행정수도 건설 문제를 중심으로" 60 : 40-66, 2003

      9 강현수, "수도권 경제력 집중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울 47-80, 2002

      10 정숭교, "서울 서울내기 서울사람" 역사비평사 50-65, 1998

      11 "사회공간론 사회지리학 이론발달사" 한울 2003

      12 "사무입지에 관한 도시 경제지리학적 연구동향과 과제" 5 (5): 229-248, 2002

      13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휴마니타스 2002

      14 "독일 공간정책의 변화과정과 이념상에 관한 연구" 33 (33): 121-136, 1999b

      15 최병선, "도시와 도시정책" 박영사 373-402, 1998

      16 박양호,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추기능의 공간적 재편방안" 국토연구원 2002

      17 김형국, "국토개발의 이론연구" 박영사 1996

      18 藤本典嗣, "行政 企業關係と都市" ミネルヴァ書房 156-171, 2005

      19 松原 宏(編), "先進國經濟の地域構造" 東京大學出版會 2003

      20 石原照敏, "フランスの中央集權と一極集中型地域構造 西地ドイツイタリアの地域構造との比較" 大明堂 183-197, 2001

      21 "Zentralismus und Raum - Das Beispiel Frankreich" 1992

      22 "Verdichtungsraeume - Strukturen und Prozesse in weltweiten Vergleichen" 1987

      23 Storey, D, "Territory The claiming of space" Prentice Hall 2001

      24 Ser, "Lund Studies in Geography" 1970

      25 Smith, "Decentralization - The territorial dimension of the state" 1985

      26 A, "City-systems in advanced economies" 1977

      27 "Belastungen und Kosten der raeumlichen Konzentration in Entwicklungslaendern Dortmunder Vertrieb fuer Bau- und Planungsliteratur" 1987

      28 失田俊文, "21世紀の國土構造と國土政策" 大明堂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