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 서사의 공간 구성과 서술 방식 연구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and Description in Pansori Narrative - Focusing on Yulnyuchoonhyangsujulg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7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판소리 서사 속에는 다양한 공간들이 형상화되어 있다. 특히 판소리 서사 속의 공간은 집이나 마을과 같은 현실 공간이든 꿈이나 용궁 등 비현실 공간이든 현실성에서 벗어나 환상적인 양상...

      판소리 서사 속에는 다양한 공간들이 형상화되어 있다. 특히 판소리 서사 속의 공간은 집이나 마을과 같은 현실 공간이든 꿈이나 용궁 등 비현실 공간이든 현실성에서 벗어나 환상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해 ‘판소리 서사 속에 그려진 공간들이 어떠한 원리 혹은 직조 방식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가?’라는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대상으로 삼아, 판소리 서사의 공간 구성 및 서술방식에 대한 시론을 개진하였다. 판소리 서사는 직, 간접적인 체험이 담긴 경험공간, 문예물 속에 구성된 초경험적 상상 공간을 통해 이야기 공간의 깊이와 폭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공간을 서사 속으로 가져오는 과정에서 시간성, 거리감을 생략하거나 초경험적 공간과 비현실적 요소 등을 첨가하면서 사실성보다는 환상성을 극대화하고 강화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공간 구성과 서술은 판소리 서사 향유층들의 공간 및 존재에 대한 욕망,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 및 장소감 공유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spaces are embodied in the Pansori narrative. However, space in the Pansori narrative is common because it presents a fantastical aspect that is beyond reality. Focusing o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about the spatial compositio...

      Various spaces are embodied in the Pansori narrative. However, space in the Pansori narrative is common because it presents a fantastical aspect that is beyond reality. Focusing o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and description method of Pansori narrative, while focusing on the Yulnyuchoonhyangsujulga. Pansori narrative expands the depth and breadth of story space through experience spaces containing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hyper-experiential imagination spaces that are composed of literary object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each space into the narrative, it tends to omit the temporality and sense of distance, or includes a superexperienced space and unrealistic elements to maximize and strengthen the illusion, rather than the reality of each space. This spatial composition and description is seemingly related to the desire for space and the existence of Pansori narrative enjoyment,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 world, and shared sense of pl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19-20, 2000

      2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15-, 2003

      3 김병국, "한국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81-204, 2005

      4 김종철, "판소리의 정서와 미학" 역사와비평사 157-, 1996

      5 정병헌, "판소리의 전승과 공간적 배경의 관계 연구" 판소리학회 (25) : 65-87, 2008

      6 판소리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17-, 2000

      7 최혜진, "판소리의 생성·향유와 지역성" 어문연구학회 89 : 217-240, 2016

      8 이정원, "판소리의 공간 묘사 대목 연구 - 이야기 공간의 정체와 의미를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13 : 295-317, 2002

      9 김기형, "판소리와 이상향"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4 : 27-44, 2008

      10 서유석, "판소리 용궁 잔치의 의미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26) : 49-74, 2012

      1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19-20, 2000

      2 최기숙, "환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15-, 2003

      3 김병국, "한국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81-204, 2005

      4 김종철, "판소리의 정서와 미학" 역사와비평사 157-, 1996

      5 정병헌, "판소리의 전승과 공간적 배경의 관계 연구" 판소리학회 (25) : 65-87, 2008

      6 판소리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17-, 2000

      7 최혜진, "판소리의 생성·향유와 지역성" 어문연구학회 89 : 217-240, 2016

      8 이정원, "판소리의 공간 묘사 대목 연구 - 이야기 공간의 정체와 의미를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13 : 295-317, 2002

      9 김기형, "판소리와 이상향"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4 : 27-44, 2008

      10 서유석, "판소리 용궁 잔치의 의미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26) : 49-74, 2012

      11 김현주, "판소리 연행에서의 공간 침범과 전위의 문제" 판소리학회 (23) : 265-288, 2007

      12 최진형, "판소리 서사체의 주제에 대한 일고찰" 반교어문학회 (27) : 213-245, 2009

      13 정충권, "판소리 사설의 연원과 변모" 다운샘 30-, 2001

      14 김현주, "판소리 문학에서 구술성과 기술성의 관련양상 및 의미" 판소리학회 2 : 127-159, 1991

      15 설성경, "춘향전의 형성과 계통" 정음사 64-, 1986

      16 김진영, "춘향전 전집" 박이정 298-377, 1997

      17 이명규, "춘향전 이본의 노정기 고찰(2)" 국어국문학회 10 : 17-43, 1993

      18 이명규, "춘향전 이본의 노정기 고찰(1)" 국어국문학회 100 : 403-415, 1988

      19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5

      20 이기숙,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3-, 2011

      21 시모어 채트먼,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15-, 1990

      22 이명진, "연행 공간에 따른 판소리의 변화양상 연구" 민속학연구소 (29) : 155-194, 2014

      23 서유석, "실전 판소리의 그로테스크(Grotesque)적 성향과 그 미학" 한국고전연구학회 (23) : 291-327, 2011

      24 김선현, "숙영낭자전의 이본과 여성 공간" 보고사 1-325, 2018

      25 김대행, "수궁가의 구조적 특성" 한국어교육학회 27 : 167-168, 1976

      26 최시한, "소설분석방법" 일조각 113-, 2015

      27 장일구, "서사 공간과 소설의 역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13-45, 2009

      28 김현주, "문장체 고소설과 판소리 서사체의 언어조직 방식 -<구운몽>과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비교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19) : 199-226, 2005

      29 이지영, "무가 路程記와 판소리 노정기의 영향관계에 대한 再論" 한국어문학회 (117) : 153-177, 2012

      30 최시한, "근대 소설의 형성과 ‘공간’" 현대문학이론학회 (32) : 5-26, 2007

      31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61-96, 2004

      32 손동국, "공간적 서사로서의 <열녀춘향수절가> 읽기 - 사랑가와 이별가대목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연구학회 (31) : 247-274, 2015

      33 한국소설학회, "공간의 시학" 예림기획 35-, 2002

      34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6-7, 2005

      35 김현주, "고전서사체계 담화 분석" 보고사 140-143, 2006

      36 서유석, "고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적 공간과 장소의 의미 연구-<숙영낭자전>의 ‘옥련동’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8 : 177-198, 2014

      37 서유석, "「춘향전」 ‘십장가’ 연구 -춘향 항거 의미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0) : 249-282, 2009

      38 안순태, "「열녀춘향수절가」의 漢詩 語句 활용양상 연구" 한국한시학회 (23) : 395-430, 2015

      39 黃慶淑, "「심청전」에 나타난 토포스와 서사적 意味"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3-92, 2007

      40 최진형, "‘판소리계 소설’ 개념 재론" 인문학연구원 (60) : 399-429, 2016

      41 염원희, "<황제풀이> 무가 연구 -타 문학 장르와의 교섭양상을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26) : 141-165, 2010

      42 김선현,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1) : 281-308, 2011

      43 김선현, "<변강쇠가>에 나타난 공간과 유랑민의 삶" 판소리학회 (34) : 5-31, 2012

      44 김종철, "19~20세기 전반기 공동체의 변화와 판소리" 한국구비문학회 (21) : 289-325, 2005

      45 이욱, "18, 19세기 조선유학자의 정원 조영과 성격" 남도문화연구소 (26) : 243-26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