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프로스포츠는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상관없이 전두환 정권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급조된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프로스포츠가 오직 전두환 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허상이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프로스포츠는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상관없이 전두환 정권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급조된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프로스포츠가 오직 전두환 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허상이었다...
한국의 프로스포츠는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상관없이 전두환 정권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급조된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프로스포츠가 오직 전두환 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허상이었다면, 민주화 이후 소멸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프로스포츠의 인기와 산업적 비중은 오히려 커졌고, 계속 성장하고 있다. 그것은 프로스포츠가 이미 충분한 사회경제적인 배경 위에 전두환 정권의 행동이 결합되면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는 정치경제적 위기담론이 지배했지만 대중의 소비능력과 욕망은 꾸준히 성장했고, 스포츠 선수들의 몸값도 급등했다. 특히 야구의 인기는 군산상고가 극적으로 우승한 1972년 황금사자기 고교야구대회를 계기로 전국화 되었고, 지역대결구도를 통해 국민적인 관심을 모았다. 그런 과정에서 프로야구 창설 시도가 이어졌고 1982년에 결실을 볼 수 있었다.
위기를 오히려 정권 유지의 기회로 삼았던 박정희 정권은 늘 긴축과 절제를 강조했다. 하지만 시민의 저항을 유혈진압하고 집권한 전두환 정권은 정치적인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일이 가장 절실했다. 그래서 박정희 정권 때 억눌려왔던 소비와 문화에 대한 욕망을 해방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프로야구에 대한 두 정권의 상반된 행동은 그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요컨대 한국 프로야구는 전두환 정권에 의해 ‘급조된’ 것이었다기보다는 ‘해금된’ 것이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Korean professional sports have been promoted by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Chun regime regardless of socio‒economic conditions. If it were illusions made only by the Chun regime, they would have vanished after demo...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Korean professional sports have been promoted by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Chun regime regardless of socio‒economic conditions. If it were illusions made only by the Chun regime, they would have vanished after democratization. On the contrary, the popularity and economic importance of professional sports has grown, and continues to grow. This is because professional sports has already begun to combine the actions of the Chun regime on a sufficiently socio‒economic background.
The 1970’s was dominated by the discourse of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However, the consumption power and desire of the public grew steadily, and the value of sports players also skyrocketed. Especially after the popularity of baseball became nationwide in 1972, an attempt was made to make a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and eventually it could be started in 1982.
Park regime, which used the crisis as an opportunity to maintain its regime, has always emphasized austerity and temperance. However, The Chun regime, which slaughtered the opposing citizens in the process of ruling, sought to turn political attention elsewhere. The opposing behavior of the two regimes against professional baseball can be understood in that context. In shor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was not ‘improvised’ by the Chun regime, but ‘unblocked’.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학동, "한국프로축구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6
2 김명권, "한국프로야구의 창립배경과 성립과정" 7 (7): 163-183, 2012
3 이혜지, "한국프로야구의 성립과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한국은행 경제통계"
5 한국야구위원회, "한국야구사" 1999
6 이강우, "한국사회의 스포츠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Ⅱ)" 36 (36): 43-58, 1997
7 이종길, "한국 프로야구의 지역연고제와 정치적 지역주의의 관계" 37 (37): 84-95, 1998
8 김응식, "한국 프로스포츠의 발전과정과 미래지향적 모형" (7) : 35-68, 1997
9 김미경, "한국 발전주의적 자본주의의 위기와 반-인플레이션 정치 : 1970년대 말 박정희 정부의 경제안정화정책 전환의 정치적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59 (59): 80-114, 2016
10 안민석, "프로야구 선수협의회 사태와 한국 프로스포츠의 구조" (30) : 357-367, 2001
1 송학동, "한국프로축구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6
2 김명권, "한국프로야구의 창립배경과 성립과정" 7 (7): 163-183, 2012
3 이혜지, "한국프로야구의 성립과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한국은행 경제통계"
5 한국야구위원회, "한국야구사" 1999
6 이강우, "한국사회의 스포츠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Ⅱ)" 36 (36): 43-58, 1997
7 이종길, "한국 프로야구의 지역연고제와 정치적 지역주의의 관계" 37 (37): 84-95, 1998
8 김응식, "한국 프로스포츠의 발전과정과 미래지향적 모형" (7) : 35-68, 1997
9 김미경, "한국 발전주의적 자본주의의 위기와 반-인플레이션 정치 : 1970년대 말 박정희 정부의 경제안정화정책 전환의 정치적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59 (59): 80-114, 2016
10 안민석, "프로야구 선수협의회 사태와 한국 프로스포츠의 구조" (30) : 357-367, 2001
11 김태민, "프로 스포츠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EPL, NFL, La Liga, KBO를 통한사례분석" 62-67, 2013
12 유재구, "중국의 경제발전과 프로스포츠 상호 영향력 고찰" 한국체육학회 53 (53): 281-291, 2014
13 "조선일보"
14 이종원, "제5공화국의 스포츠정책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5 심은정, "제5공화국 시기 프로야구 정책과 국민여가" 역사학연구소 (26) : 197-238, 2014
16 조정민, "전후일본의 내셔널리즘과 스포츠 문화 - 재일조선인 프로레슬러 역도산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7) : 323-343, 2014
17 김은식, "서울의 야구" 서울역사편찬원 2017
18 김은식, "삶의 여백 혹은 심장, 야구" 한겨레출판 2013
19 "매일경제"
20 "동아일보"
21 정진원, "도시성장과 프로스포츠 활성화간의 상호작용 분석 : 한국 4대 프로스포츠에 관한 경험적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7 (27): 139-166, 2015
22 "국가통계포털"
23 "국가지표체계"
24 "구술 자료: 이용일, 박영길, 김응용, 김성근, 김영덕, 이광환, 박용진, 임호균,홍순일"
25 "경향신문"
26 남행웅, "경제발전에 따른 프로스포츠의 실태와 전망" (4) : 323-330, 1995
27 Murray, Bill, "The World’s Game: A History of Socce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6
28 Walter Camp, "The Truth about Baseball" 213 : 483-488, 1921
29 Giulianotti, Richard, "Supporters, Followers, Fans and Flaneurs: A Taxonomy of Spectator Identities in Football" 26 : 25-46, 2002
30 김지영, "MBC 청룡 팀 선수를 통해서 살펴본 한국 프로야구 출범의 사(史)적인 의미" 한국체육사학회 23 (23): 69-83, 2018
31 Shafir, Gershon, "Immigrants and Nationalists: Ethnic Conflict and Acommodation in Catalonia, the Basque Country, Latvia and Eston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32 Crolley, Liz, "Football and European Identity: Historical Narratives through the press" Routledge 2006
33 Paul J. Zingg, "Diamond in the Rough : Baseball and the Study of American Sports History" 19 : 385-403, 1986
34 이정은, "1970년대 초중반 두 차례의 경제위기와 박정희정부의 대응" 고려사학회 (38) : 249-282, 2010
3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0년대 전반기의 정치사회변동" 백산서당 1999
36 이상록, "1970년대 소비억제정책과 소비문화의 일상정치학" 역사문제연구소 17 (17): 137-182, 2013
37 김정주, "1970년대 경제적 동원기제의 형성과 기원: 한국사회는 박정희체제를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역사문제연구소 (81) : 285-309, 2007
38 김성환, "1960∼70년대 노동과 소비의 주체화 연구: 취미의 정치경제학을 위한 시론(試論)" 인문학연구소 81 : 544-585, 2017
냉전, 민주화 이행 그리고 한국학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40년의 성과와 의의
19세기 후반 서세동점 하의 상해(上海) 상황과 오페르트 도굴 사건의 국제적 배경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