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산업사회를 지나 정보화 시대를 걷고 있다. 세계는 획기적인 교통통신과 인터넷이라는 무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대처하고 있으며 그 시대에 발맞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98304
2004
-
370
학술저널
103-122(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산업사회를 지나 정보화 시대를 걷고 있다. 세계는 획기적인 교통통신과 인터넷이라는 무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대처하고 있으며 그 시대에 발맞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산업사회를 지나 정보화 시대를 걷고 있다. 세계는 획기적인 교통통신과 인터넷이라는 무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대처하고 있으며 그 시대에 발맞추어 살아가는 우리는 새로운 사고와 인식을 갖추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경쟁 생존의 방식에 이르렀다. 정보화 시대에 대처하며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 개인의 능력과 사회의 능력이 다양화되면서 개별적 잠재 능력이 곧 경쟁력이며 또한 이것이 국가나 사회의 경쟁력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런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라도 정신적 가치를 물질적 가치로 창조해 내는 문화예술이 고부가가치를 지니며 경쟁력 있는 상품이 될 수밖에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인류의 역사와 문화는 동고동락의 관계이다. 고도의 산업사회일수록 최고 가치의 문화 예술사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어린이들에게 각자의 능력과 소질을 개발해 주는 교육 과정과 내용을 확립할 때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식위주의 현재 교육제도나 내용의 문제점을 개선하며 그 대안과 다양한 교육을 실천하지 않으면 미래 사회의 문화는 기약하기 힘들 것이다. 이런 시대적 필요성과 나아가 인간 존립의 역사를 이루는 문화의 근간을 위해서 어린 시기인 유아동기의 열린 사고와 교육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과로서 미술 교육이 부각되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