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46527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0.7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effect of earplug and eyeshield application on sleep of patients in a ICU

      • 형태사항

        vi, 57장: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양영희
        참고문헌 : 43-47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환자실 환자들은 충분한 수면을 방해 받고 있고,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은 소음과 불빛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양, 주관적 수면, 수면방해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천안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4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8년 9월 16일에서 11월 20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는 입원 2일째 오후 11시에서 익일 오전 6시까지 수면동안 귀마개와 수면안대를 적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사후 조사로 수면양, 주관적 수면, 소음과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 형식으로 측정하였다. 이중 주관적 수면은 오진주, 송미순과 김신미(1998)가 개발한 ‘수면측정도구 A’를 손연정(2000)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 Square와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수면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수면양은 227.65(±31.92)분, 대조군의 수면양은 167.06(±66.22)분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의 수면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398, p= .002).
      2. 귀마개와 수면 안대의 적용이 주관적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주관적 수면 점수가 27.88(±3.77)점, 대조군의 주관적 수면의 점수가 20.18(±5.07)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의 주관적 수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031, p= .000).
      3.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소음과 불빛에 의한 수면방해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5.29(±1.83)점, 대조군의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8.65(±1.9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193, p= .000), 실험군의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5.29(±1.83)점, 대조군의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8.18(±2.2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107, p= .000).
      본 연구의 결과에서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소음과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를 감소시켜 수면상태를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증진을 위해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을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중환자실 환자들은 충분한 수면을 방해 받고 있고,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은 소음과 불빛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중환자실 환자의...

      중환자실 환자들은 충분한 수면을 방해 받고 있고,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은 소음과 불빛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양, 주관적 수면, 수면방해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천안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4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8년 9월 16일에서 11월 20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는 입원 2일째 오후 11시에서 익일 오전 6시까지 수면동안 귀마개와 수면안대를 적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사후 조사로 수면양, 주관적 수면, 소음과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 형식으로 측정하였다. 이중 주관적 수면은 오진주, 송미순과 김신미(1998)가 개발한 ‘수면측정도구 A’를 손연정(2000)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 Square와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수면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수면양은 227.65(±31.92)분, 대조군의 수면양은 167.06(±66.22)분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의 수면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398, p= .002).
      2. 귀마개와 수면 안대의 적용이 주관적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주관적 수면 점수가 27.88(±3.77)점, 대조군의 주관적 수면의 점수가 20.18(±5.07)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의 주관적 수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031, p= .000).
      3.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소음과 불빛에 의한 수면방해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5.29(±1.83)점, 대조군의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8.65(±1.9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193, p= .000), 실험군의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5.29(±1.83)점, 대조군의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는 8.18(±2.2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107, p= .000).
      본 연구의 결과에서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소음과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정도를 감소시켜 수면상태를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증진을 위해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을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tients in ICU are disturbed a good sleep. Noise and light are most frequently designated as causes of disturbed sleep of patient in ICU.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on the sleep quantity, the subjective sleep,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of patient in ICU, and to propose nursing interventions clinically applicable to the sleep of patients in ICU.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6 to November 20, 2008. The subjects were 34 patients in a ICU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hoongnam, Korea; 17 patients were selected for a control group and the 17 patients for a experimental group.
      For the 2nd night of admission, the experimental group let wear earplugs and eyeshields from 11 PM to 6 AM, in bed.
      The degrees of the sleep quantity, subjective sleep, sleep disturbance by noise and light were measured using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The sleep quantity was measured using an open end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ive sleep in this study was measured using 'Korean Sleep Scale A' developed by Oh., et al.(1998).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 SPSS/win 12.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 Square tes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leep qua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227.65±31.92min) who was applied to earplugs and eyeshields show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167.06±66.22mi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3.398, p= .002).
      2. The subjective sleep of the experimental group(27.88±3.77point) show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20.18±5.07),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5.031, p= .000).
      3.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by noise of the experimental group(5.29±1.83point) showed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8.65±1.94poi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5.193, p= .000).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by light of the experimental group(5.29±1.83point) showed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8.18±2.24poi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4.107, p= .000).
      This study showed that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for patients in a ICU increase the sleep quantity, subjective sleep and decrease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by noise and light.
      Based on these result, it could be recommended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on patients in ICU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sleep.
      번역하기

      The patients in ICU are disturbed a good sleep. Noise and light are most frequently designated as causes of disturbed sleep of patient in ICU.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on the sleep quantity, th...

      The patients in ICU are disturbed a good sleep. Noise and light are most frequently designated as causes of disturbed sleep of patient in ICU.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on the sleep quantity, the subjective sleep,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of patient in ICU, and to propose nursing interventions clinically applicable to the sleep of patients in ICU.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6 to November 20, 2008. The subjects were 34 patients in a ICU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hoongnam, Korea; 17 patients were selected for a control group and the 17 patients for a experimental group.
      For the 2nd night of admission, the experimental group let wear earplugs and eyeshields from 11 PM to 6 AM, in bed.
      The degrees of the sleep quantity, subjective sleep, sleep disturbance by noise and light were measured using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The sleep quantity was measured using an open end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ive sleep in this study was measured using 'Korean Sleep Scale A' developed by Oh., et al.(1998).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 SPSS/win 12.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 Square tes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leep qua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227.65±31.92min) who was applied to earplugs and eyeshields show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167.06±66.22mi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3.398, p= .002).
      2. The subjective sleep of the experimental group(27.88±3.77point) show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20.18±5.07),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5.031, p= .000).
      3.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by noise of the experimental group(5.29±1.83point) showed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8.65±1.94poi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5.193, p= .000).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by light of the experimental group(5.29±1.83point) showed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8.18±2.24poi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4.107, p= .000).
      This study showed that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for patients in a ICU increase the sleep quantity, subjective sleep and decrease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by noise and light.
      Based on these result, it could be recommended earplugs and eyeshields application on patients in ICU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slee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3. 연구가설 = 4
      • 4. 용어정의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3. 연구가설 = 4
      • 4. 용어정의 = 5
      • 5. 연구의 제한점 = 6
      • Ⅱ. 문헌고찰 = 7
      • 1. 수면의 생리와 기능 = 7
      • 2.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수면상태 = 9
      • 3. 수면 측정 도구 = 13
      • 4. 수면장애를 위한 간호중재와 효과 = 16
      • Ⅲ. 연구방법 = 18
      • 1. 연구설계 = 18
      • 2. 연구대상 및 표집 방법 = 19
      • 3. 연구도구 = 20
      • 4. 실험도구 및 처치 = 22
      • 5. 자료수집 및 방법 = 24
      • 6. 자료분석 방법 = 27
      • Ⅳ. 연구결과 = 28
      •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 28
      • 1)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 28
      •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면과 관련된 동질성 검증 = 30
      • 2. 가설검증 = 31
      • 1) 수면양의 차이 = 31
      • 2) 주관적 수면의 차이 = 32
      • 3) 수면방해 정도의 차이 = 33
      • Ⅴ. 논의 = 35
      • Ⅵ. 결론 및 제언 = 40
      • 1. 결론 = 40
      • 2. 제언 = 42
      • 참고문헌 = 43
      • 부록 = 48
      • (Abstract) = 54
      • 감사의 글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