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孟子의 良心論 — 양심과 관련된 세 가지 문제[원천ㆍ형성ㆍ저항권]를 중심으로 — = Study on the Theory of Conscience in Mencius: focusing on three problems related to conscience, the origin, the formation, and the right of resis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y of conscience and the meaning in Mencius(孟子). The conscience is a concept connected with a sense of sin and moral consciousness. It is a foundation of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Whenever we discuss human nature, conscience is the important concept. In East philosophical history, Mencius was the first man who spoke the conscience in connection with the view of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Mencius recognised innately conscience in the base of meaning of confucian traditional Tian(天). There are three problems of conscience, the origin, the formation, and the right of resistance concerning the conscience. The origin of conscience in Mencius is Tian. We have a priori conscience given by the Tianming(天命). It is a standard when we judge right from wrong facing the moral situation. The formation of conscience is not the result of our efforts but the intrinsic, the transcendental, and the transcendental nature. The gap of the great man(大人) and the worthless fellow(小人) depends upon inner moral efforts. The right of resistance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liberty of conscience holding fast to right notwithstanding the death. The theory of revolution is radical in political thoughts of Mencius. It is a basis of his ruling people with justice and morality. In conclusion, the theory of conscience in Mencius has meaning by showing a standard of right on the feel of ashamedness(羞惡之心) in the present da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y of conscience and the meaning in Mencius(孟子). The conscience is a concept connected with a sense of sin and moral consciousness. It is a foundation of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Whenever we disc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y of conscience and the meaning in Mencius(孟子). The conscience is a concept connected with a sense of sin and moral consciousness. It is a foundation of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Whenever we discuss human nature, conscience is the important concept. In East philosophical history, Mencius was the first man who spoke the conscience in connection with the view of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Mencius recognised innately conscience in the base of meaning of confucian traditional Tian(天). There are three problems of conscience, the origin, the formation, and the right of resistance concerning the conscience. The origin of conscience in Mencius is Tian. We have a priori conscience given by the Tianming(天命). It is a standard when we judge right from wrong facing the moral situation. The formation of conscience is not the result of our efforts but the intrinsic, the transcendental, and the transcendental nature. The gap of the great man(大人) and the worthless fellow(小人) depends upon inner moral efforts. The right of resistance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liberty of conscience holding fast to right notwithstanding the death. The theory of revolution is radical in political thoughts of Mencius. It is a basis of his ruling people with justice and morality. In conclusion, the theory of conscience in Mencius has meaning by showing a standard of right on the feel of ashamedness(羞惡之心) in the present 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맹자사상에 드러난 양심에 대해 논의하고, 그 윤리적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양심은 죄의식, 혹은 도덕의식과 관련되며, 인격과 도덕성의 근거이다. 그것은 인간만이 지니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간을 문제 삼을 때마다 핵심이 된 개념이다. 서양에서 양심은 도덕의식의 내용보다 형식적 측면을 강조한다. 양심 문제에서 핵심은 양심의 원천, 형성, 저항권이라고 볼 수 있다. 동양에서 양심이란 말은 맹자에서 단초를 찾을 수 있다. 맹자는 유학의 도덕적 천에 근거하여 선천적 양심을 강조한다. 그것은 良知良能, 四端, 仁義, 平旦之氣라고 표현되는데, 善惡 선택 상황에서 義의 기준이 된다. 맹자 양심의 문제에서, 그 원천은 中庸의 ‘天命之謂性’의 天으로, 天命에 의해 인간에게 부여된 본성이 양심이다. 양심은 天命에 의한 선천적인 것으로, 대인소인의 차이는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도덕적 노력에 달린 것이다. 양심에 대한 신념은 죽음을 불사하고 義를 지키려는 ‘양심의 자유’와도 직결되는데, 맹자 왕도정치의 핵심으로, 혁명론의 기반이기도 하다. 혁명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오로지 義에 타당한가, 즉 양심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맹자의 양심은, 옳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羞惡之心]을 기반으로 한, ‘올바름[義]’에의 지향성으로 규정지을 수 있겠다.
      번역하기

      이 글은 맹자사상에 드러난 양심에 대해 논의하고, 그 윤리적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양심은 죄의식, 혹은 도덕의식과 관련되며, 인격과 도덕성의 근거이다. 그것은 인간만이 지니는 고유...

      이 글은 맹자사상에 드러난 양심에 대해 논의하고, 그 윤리적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양심은 죄의식, 혹은 도덕의식과 관련되며, 인격과 도덕성의 근거이다. 그것은 인간만이 지니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간을 문제 삼을 때마다 핵심이 된 개념이다. 서양에서 양심은 도덕의식의 내용보다 형식적 측면을 강조한다. 양심 문제에서 핵심은 양심의 원천, 형성, 저항권이라고 볼 수 있다. 동양에서 양심이란 말은 맹자에서 단초를 찾을 수 있다. 맹자는 유학의 도덕적 천에 근거하여 선천적 양심을 강조한다. 그것은 良知良能, 四端, 仁義, 平旦之氣라고 표현되는데, 善惡 선택 상황에서 義의 기준이 된다. 맹자 양심의 문제에서, 그 원천은 中庸의 ‘天命之謂性’의 天으로, 天命에 의해 인간에게 부여된 본성이 양심이다. 양심은 天命에 의한 선천적인 것으로, 대인소인의 차이는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도덕적 노력에 달린 것이다. 양심에 대한 신념은 죽음을 불사하고 義를 지키려는 ‘양심의 자유’와도 직결되는데, 맹자 왕도정치의 핵심으로, 혁명론의 기반이기도 하다. 혁명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오로지 義에 타당한가, 즉 양심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맹자의 양심은, 옳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羞惡之心]을 기반으로 한, ‘올바름[義]’에의 지향성으로 규정지을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論語集註大全" 보경문화사 1992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3 이인숙, "칸트에 있어서 ‘양심’의 의미 : ‘양심의 자유’와 관련하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8 : 2004

      4 철학사전편찬회, "최신 철학사전" 일신사 1988

      5 박종홍, "철학개론" 박영사 1996

      6 강성위, "철학 소사전" 이문출판사 1996

      7 황갑연, "중국 유가철학에 있어서 理性과 欲望의 관계 ― 先秦儒家(孔孟荀과 中庸 및 樂記)를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45 : 397-420, 2002

      8 "조성을, 金谷 治 외, 『중국사상사』[『中國文化叢書』(思想史), 大修?書店, 1967], 이론과실천, 1988"

      9 "조성을, 赤塚 忠?金谷 治 외, 『중국사상개론』[『中國文化叢書』(思想槪論), 大修?書店, 1967], 이론과실천, 1987"

      10 김능근, "유교의 천사상" 숭실대학교출판부 1988

      1 論語, "論語集註大全" 보경문화사 1992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3 이인숙, "칸트에 있어서 ‘양심’의 의미 : ‘양심의 자유’와 관련하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8 : 2004

      4 철학사전편찬회, "최신 철학사전" 일신사 1988

      5 박종홍, "철학개론" 박영사 1996

      6 강성위, "철학 소사전" 이문출판사 1996

      7 황갑연, "중국 유가철학에 있어서 理性과 欲望의 관계 ― 先秦儒家(孔孟荀과 中庸 및 樂記)를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45 : 397-420, 2002

      8 "조성을, 金谷 治 외, 『중국사상사』[『中國文化叢書』(思想史), 大修?書店, 1967], 이론과실천, 1988"

      9 "조성을, 赤塚 忠?金谷 治 외, 『중국사상개론』[『中國文化叢書』(思想槪論), 大修?書店, 1967], 이론과실천, 1987"

      10 김능근, "유교의 천사상" 숭실대학교출판부 1988

      11 이기동, "유교의 수도" 동양철학연구회 34 : 2003

      12 조천수, "유가의 자연법 사상 : 선진의 공자·맹자·순자를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5 (5): 2002

      13 백승영, "양심과 양심의 가책, 그 계보의 차이" 한국철학회 90 : 2007

      14 속담사전편찬부, "속담사전" 대경출판사 1993

      15 김성호, "서양윤리사상사" 서광사 2003

      16 성백효, "맹자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993

      17 박승현, "맹자의 자율도덕 : 칸트의 도덕철학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2 : 2007

      18 이호연, "맹자와 칸트의 양심이론의 비교연구" 한국국민윤리학회 42 : 1999

      19 김형효, "맹자와 순자의 철학사상:철학적 사유의 두 원천" 삼지원 1990

      20 여종현, "도의 현상학(Ⅱ)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을 人性의 현상학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孟子의 良心개념에로의 志向的 접근" 한국철학회 74 : 2003

      21 장승희, "다산 윤리사상 연구" 경인문화사 2005

      22 성백효,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992

      23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97

      24 孟子, "孟子集註大全" 보경문화사 1992

      25 周易, "周易傳義大全" 보경문화사 1994

      26 儒敎事典編纂委員會, "儒敎大事典" 박영사 1990

      27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 "中文大辭典" 中華學術院印行

      28 조성열, "『논어』, 『맹자』에 나타난 군자/소인, 대인/소인 연구" 서울대학교 철학과 34 : 2006

      29 David S. Nivison, "The Ways of Confucianism: Investigation in Chinese Philosophy"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96

      30 "EBS 다큐프라임, 『아이들의 사생활 : 도덕성』(5부작 중 제2부), 2008.5.13 방영"

      31 XinZhong Yao,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2 Chad Hansen, ""Duty and Virtue", Chinese Lange, edited by Philip J. Ivanhoe, Thought, and Culture: Nivison and his Critics"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