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시기 ‘민족적인 것’을 둘러싼 박종홍의 철학적 사유는 일본 지성계에 대한 모방과 변용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는 교토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니시다 기타로의 ‘자각’ 개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58089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35-477(4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시기 ‘민족적인 것’을 둘러싼 박종홍의 철학적 사유는 일본 지성계에 대한 모방과 변용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는 교토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니시다 기타로의 ‘자각’ 개념...
식민지시기 ‘민족적인 것’을 둘러싼 박종홍의 철학적 사유는 일본 지성계에 대한 모방과 변용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는 교토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니시다 기타로의 ‘자각’ 개념을 통해 ‘민족적 주체’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전개할 수 있었고, 미키 기요시를 경유하여 하이데거와 조우하였다. 박종홍은 교토학파의 영향을 거쳐 ‘현대성의 위기’를 논하는 철학적 사유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포스트 식민지에서 ‘후진국민’으로서의 자의식을 갖고 있던 박종홍은 서구의 근대비판 철학을 곧이곧대로 수용할 수는 없었다. 1950년대 이후 그의 철학적 화두는 ‘근대비판’이 아니라, ‘근대성취’에 있었다. 1950년대 박종홍은 한국적 전통의 기반 위에서 서구근대의 과학기술문명을 수용할 때 ‘현대의 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사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시대의 낙오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 ‘후진국’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전통’을 강조하였는데, 그때 전통은 그저 지나간 과거 자체가 아니라 ‘후진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긍정의 자원을 찾기 위한 일종의 단서였다. 박종홍은 대한민국이라는 국민국가가 탈후진 근대화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과거의 자원을 ‘전통’에서 구했다. 그는 조선 성리학의 전통을 ‘경(敬)’과 ‘성(誠)’의 철학으로 정리하면서 자각과 성실이라는 민족적 주체의 실천윤리와 접속시켰다. 1960년대 이래 그는 ‘민족주체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산업화의 대열에 의지와 사명감을 갖고 능동적으로 나설 주체를 구성하기 위한 통치권력의 필요와 맞물려 있었다. 전후 일본의 교토학파 철학자들이 ‘새로운 국민적 주체’를 구성하기 위해 <기대되는 인간상>을 제정하였고, 불과 2년 후에 교토학파의 강한 자장 속에 있었던 박종홍이 국민주체를 양육하고자 <국민교육헌장>을 기초하였던 사실은 의미심장한 일이었다. 1970년 12월 청와대에 대통령 특별보좌관으로 들어간 박종홍은 유신헌법 성립 이후 ‘민족적 자각’을 위해서는 ‘강력한 지도자의 결단’과 ‘영도력’이 요구된다면서 유신체제 옹호의 이데올로기를 생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 Jong-hong was one of philosophical thinking to configure ‘the National’ was made in the process of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Colonial Era. He was able to do through the ‘awareness’ concept of a repr...
Park Jong-hong was one of philosophical thinking to configure ‘the National’ was made in the process of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Colonial Era. He was able to do through the ‘awareness’ concept of a representative character, Nishida Kitaro of Kyoto School deploy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national subjects’. He encountered with Heidegger through Miki Kiyoshi. Park Jong-hong had paid much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thinking ‘crisis of modernity’ that after discussing the impact of the Kyoto School. However, Chong-hong Pak had a self-conscious as a ‘backward people’ in the post-colonial Korea as it was not able to accept western criticism of modern philosophy. His philosophical topic since the 1950s, was not a ‘modern criticism’, was the ‘modern achievements’. Park Jong-hong had argued that could lead to new idea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modernity to accommodate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of the West based on Korean traditions.
He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what is out in the ‘backward countries’ status in order not to be a “Loser of the day”. He highlighted were the ‘tradition’, then it was not just the past, the tradition itself. It was a kind of clue to find the resources in the affirmative, which can overcome the ‘backwardness’. Park Jong-hong sought the resources needed to overcome the backwardness and modernization march in the tradition. He was connected to the Confucian tradi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National ethical practice of the awareness and integrity. He highlighted were the ‘national subjectivity’ since the 1960s, which was coupled with the need of rulership for configuring actively embark on industrial subjects have the will and commitment. After the WWⅡ the Kyoto School philosophers of Japan have enacted the〈Expected Japanese〉 to construct a ‘new national subject’, Park Jong-hong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Kyoto school shortly thereafter was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to raising ‘national subject’ in Korea. After December 1970 the President appointed a special adviser he produced an ideology advocating the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commitment of the President in 1972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ushin(Revitalizing Reforms) Constitu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朝鮮史』(朝鮮史編修會 간행) 편찬 사업 전후 일본인 연구자들의 갈등 양상과 새로운 연구자의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