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적 형식주의와 심리적 내재론 = Aestehtic Formalism and Psychological Inter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94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심리철학에서 섬리적 내재론은 한 심적 상태의 내용이 전직으로 그 심적 상태의 소유자가 지닌 본래적 속성이나 그의 내부에서 발생한 사건 및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심리적 내재론...

      심리철학에서 섬리적 내재론은 한 심적 상태의 내용이 전직으로 그 심적 상태의 소유자가 지닌 본래적 속성이나 그의 내부에서 발생한 사건 및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심리적 내재론의 등장과 함께 그것이 데카르트 이후의 지식, 언어, 심성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어떻게 지지해 왔으며 또 심리적 내재론에 바탕을 둔 이론들이 어떤 특징 및 장단점을 지니는가를 고찰하는 비판적 재구성 작업이 전개되었는데, 필자는 그러한 작업이 미학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미학 이론들 중 미적 형식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미적 형식주의는 ‘이차적 미적 지각(판단)’과 ‘일차적 미적 지각’이라는 두 종류의 심적 상태들 사이의 의존 관계에 대해 심리적 내재론의 전제를 가정하고 있음을 보이고, 더 나아가 형식주의의 규범적 주장은 문제 의 심리적 내재론걱 전제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형식주의가 미적 지각(판단)에 대한 내재론적 견해라면 그에 대비되는 외재론적 견해가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그 견해의 모습을 간략히 설명한 후 미적 지각(판단)을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이 내재론인가 외재론인가에 대한 연구는 심리철학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심리적 외재론의 적용 범위에 대한 논쟁에 중용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one of the assumptions crucially operative ill aesthetic formalism is psychologically internalistic in character. Psychological internalism views that the content of an individual``s mental state is determined e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one of the assumptions crucially operative ill aesthetic formalism is psychologically internalistic in character. Psychological internalism views that the content of an individual``s mental state is determined entirely by the intrinsic or intern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The debate between psychological internalism and externalism since the 1970s helps many philosophers realize that psychological intemalism is the basis of major theories of knowledge, language, and mind etc., and also that it shapes their characrensrics, merits and demerits. 1 believe that this project of ``critical reconsrtuction`` of past theories can be productively pursued in aesthetics as well, and rhus focus on aesthetic formalism with the intention of showing rhar it is based on psychological inrernalisrn. Aesthetic formalism argue.<; that what are aesthetically relevant in judging a work of an aesthetically are formal qualities of the work, and the assumption 1 find in the rheory holds that an individual``s ``aesthetic judgmem`` is the kind of judgement which is entirely dependent upon the phenomen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s perceptual experience of formal qualities. 1 argue that this is an assump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orts of mental states, and since it claims that the content of an aesthetic judgment is entirely determined by the inrrinsic property of rhe individual. to be precise, the so-called qualia of the individual`s perceptual experience of formal qualities, it is committed to psychological intern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agel, T., "What is it like to be a Bat?" 83 : 435-456, 1974

      2 Beardsley, M., "What is an Aesthetic Quality? In The Aesthetic Point of View"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3 Fry, R., "Vision and Design" Meridian 1956

      4 Chalmers, D.,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 of experience In The Future for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Dickie, G., "The Myth of the Aesthetic Attitude" 1 (1): 56-65, 1964

      6 Putnam, H., "The Meaning of Meaning, Philosophical Papers II: Mind, Language, and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7 Eaton, M., "The Intrinsic, Non-Supervenient Nature of Aesthetic Properties" 52 : 383-397, 1994

      8 Dickie, G., "The Century of Taste: The Philosophical Odyssey of Taste in the Eigh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 Stolnitz, J.,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Rise of Modern Aesthetics" 36 : 409-423, 1978

      10 Peacocke, C., "Sense and Cont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1 Nagel, T., "What is it like to be a Bat?" 83 : 435-456, 1974

      2 Beardsley, M., "What is an Aesthetic Quality? In The Aesthetic Point of View"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3 Fry, R., "Vision and Design" Meridian 1956

      4 Chalmers, D.,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 of experience In The Future for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Dickie, G., "The Myth of the Aesthetic Attitude" 1 (1): 56-65, 1964

      6 Putnam, H., "The Meaning of Meaning, Philosophical Papers II: Mind, Language, and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7 Eaton, M., "The Intrinsic, Non-Supervenient Nature of Aesthetic Properties" 52 : 383-397, 1994

      8 Dickie, G., "The Century of Taste: The Philosophical Odyssey of Taste in the Eigh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 Stolnitz, J.,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Rise of Modern Aesthetics" 36 : 409-423, 1978

      10 Peacocke, C., "Sense and Cont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11 Carruthers, P., "Phenomenal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2 Burge, T., "Other Bodies In Thought and Object: Essays on Intentionality" Oxford 1982

      13 Hanslick, E., "On the Musically Beautiful"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86

      14 Dretske, F., "Naturalizing the Mind, Cambridge" MIT Press 1995

      15 Allison, H, "Kant's Theory of Tas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Guyer, P., "Kant and the Experience of Free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7 Zangwill, N., "In Defence of Moderate Aesthetic Formalism" 50 : 476-493, 2000

      18 Guyer, P., "History of Modern Aesthetics In The Oxford Handbook of Aesthe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9 Lycan, W.,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MIT Press 1996

      20 Burge, T., "Cartesian Error and the Objectivity of Perception In Subject, Thought, and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21 Carroll, N., "Beauty and the Genealogy of Art Theory" 22 : 307-334, 1991

      22 Greenberg, C., "Art and Culture" Beacon 1961

      23 Bell, C., "Art" Chatto and Windus 1914

      24 Kivy, P, "Antithetical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5 Kivy, P., "Aesthetics and Rationality" 34 : 51-, 1975

      26 Stolnitz, J.,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Criticism" Houghton Mifflin 1960

      27 Cohen, T., "Aesthetic/Non-aesthetic and the Concept of Taste : A Critique of Sibley’s Position" 39 : 113-152, 1973

      28 Sibley, F., "Aesthetic and nonaesthetic" 74 : 135-159, 1965

      29 Sibley, F., "Aesthetic Concepts" 68 : 421-450, 19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미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1.02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