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관분석을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과천시를 대상으로 - = Application of Cumulative Viewshed-Frequency Map for Landscape Analysis - Focused on Gwache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89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별도로 조망점을 선정할 필요 없이 대상지 내 모든 지점을 조망점으로 하는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고, 시지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함...

      본 연구는 별도로 조망점을 선정할 필요 없이 대상지 내 모든 지점을 조망점으로 하는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고, 시지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경관계획에 필요한 객관적, 합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경관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정확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관현황조사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정 해상도를 200m로 도출하였다. 둘째, 도시 전체의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여 도시 내에서 시각적 민감도가 높은 지역을 실증적이고, 가시적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거리 가중치를 고려한 누적가시빈도도는 단순 누적가 시빈도도에 비해 전체적인 변별력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강도를 좌우하는 요소로 ‘거리’만을 고려하였는데, 향후 지면의 수직·수평 경사각 등을 고려하여 경관민감도를 작성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being used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 For achieving the objective,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to make a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ithout having to select a viewpoint. The 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being used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 For achieving the objective,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to make a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ithout having to select a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er resolution of the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as proposed 200m DEM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the source data and the its applica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area having the high visible frequency empirically. Third, the cumulative-viewshed frequency map considering the viewing distance had less discrimination than the simple map.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viewing-distance, but we will study on the intensity of visual perception considering an incidence angle, elevation angle and depression angle additional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