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회(기독교) 상담사의 협동조합 모델 실천 경험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on Pastoral Counselors’ Experience in Cooperative M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6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목회돌봄이 교회를 넘어 공적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에 출현한 협동조합 모델의 실천이 돌봄의 또 한 명의 주체인 상담사에게 이 경험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이 모...

      이 연구는 목회돌봄이 교회를 넘어 공적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에 출현한 협동조합 모델의 실천이 돌봄의 또 한 명의 주체인 상담사에게 이 경험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이 모델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통해 한국 목회상담의 모델로서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성과 중심의 무한 경쟁 사회로 달리고 있던 신자유주의 체제의 시대는 사회적으로 불평등과 양극화의 심화 등의 한계가 대두되며 사회적이고 공평한 체제로의 전환을 위하여 세계는 사회적 경제를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사회적 경제는 자본보다 사람 중심을 강조하며 등장하였다. 삶의 질 증진, 빈곤, 소외 극복 등을 위해 협력과 호혜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시점에 코로나19 팬데믹이 나타나면서 삶의 현장에서 연대와 민주적 상호 호혜의 가치는 더욱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강조되고 있다. 목회돌봄 또한 교회 내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목회신학적 가치로 사회에 공적 역할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협동조합 모델이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목회상담가들이 각자 개인의 한 주체로서 협동조합에 참여하여 공적 역할의 실천을 기대하고, 그 실천을 행하고 있다. 그렇기에 연구자는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한 협동조합 모델이 그동안의 실천 경험 속에서 각 주체로서 개인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협동조합의 철학과 운영이 실천 경험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인터뷰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사회적 경제 체제로, 코로나19로 인하여 마음의 연대가 중요하게 대두되는 시대의 전환기에서 돌봄의 현장의 필요와 목회상담가들의 필요에 목회(기독교) 상담의 협동조합 모델이 응답하는 실제적인 대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e practice of the cooperative model which emerged at a time when pastoral care was called to play a public role beyond the church. It also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experiencer the counselors, another practitioner of ca...

      This study considers the practice of the cooperative model which emerged at a time when pastoral care was called to play a public role beyond the church. It also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experiencer the counselors, another practitioner of care. Finally it looks at the requirements for this model in the future. Through pastoral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e study is also an attempt establish a new alternative for Korean pastoral counseling. In an era of neoliberalism, marked by a performance-centered society in endless competition, negative impacts of social inequality and deepening polarization are emerging. The world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economy in order to transition to a social and equitable system. The social economy has placed the emphasis on people over capital. It is based on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oward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overcoming of poverty and alienation. With the occurrence of COVID-19, the values of solidarity and democratic reciprocity are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social values in various walks of life. It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for pastoral care to play a public role in society, with pastoral theological values. Thus, the cooperative model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Pastoral counselors participate in the cooperative model as individual subjects and, embracing their public roles, put it into practice. By analyzing interviews, this study looks at the cooperative model and its significance for individuals as subjects in their practical experience,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cooperatives’ philosophy and practical experience of operation. In an era shifting from the neoliberal system to the social economy, and in an era where solidarity of the mind becomes vital due to COVID-19, this study hopes to offer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needs of caregivers and pastoral counselors through the cooperative model of pastoral (christian) counsel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상담사들의 협동조합 출현
      • Ⅱ. 협동조합 모델의 이해와 필요
      • Ⅲ. 상담사의 협동조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Ⅳ. 목회신학적 성찰
      • Ⅴ. 나가는 글
      • Ⅰ. 상담사들의 협동조합 출현
      • Ⅱ. 협동조합 모델의 이해와 필요
      • Ⅲ. 상담사의 협동조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Ⅳ. 목회신학적 성찰
      • Ⅴ. 나가는 글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