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고서] 운동과제의 특성이 기억과 망각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09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hibition theory as well as positive transfer on timing task because both inhibition and transfer occurred in similar situation. The task consisted of pressing three buttons by requir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hibition theory as well as positive transfer on timing task because both inhibition and transfer occurred in similar situation. The task consisted of pressing three buttons by required format and timing interval. Eigh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performed different conditions of interference: 1) same motor pattern with same relative timing (SMPSRT), 2) same motor pattern with different relative timing (SMPDRT), 3) different motor pattern with same relative timing (DMPSRT), and 4) different motor pattern with different relative timing (DMPDRT). AE and VE were calculated from the raw data(CE) for examining the degree of forgetting.
      In acquisition,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t was found and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difficulty differences among interference tasks. In retention, SMPSRT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consistently than SMPDR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learning of timing movement inhibited by a different relative timing practice in condition of same motor pattern rather than that of different motor patter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피험자 2. 과제 3. 실험과정 4. 통계분석 Ⅲ. 결과 1. 연습단계 2. 파지단계 Ⅳ. 논의 참...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피험자
      2. 과제
      3. 실험과정
      4. 통계분석
      Ⅲ. 결과
      1. 연습단계
      2. 파지단계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상황을 상반되게 설명하는 간섭이론과 정적전이 이론의 규명과 이해를 위해서 두 가지 동작의 과제를 연습하는데 있어서 주과제 학습 이후의 간섭과제의 특성이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상황을 상반되게 설명하는 간섭이론과 정적전이 이론의 규명과 이해를 위해서 두 가지 동작의 과제를 연습하는데 있어서 주과제 학습 이후의 간섭과제의 특성이 주과제의 파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총 80명의 피험자를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주과제를 학습한 후에 4가지 다른 조건의 간섭과제에 의한 주과제 파지의 망각정도를 분석하였다. 주어진 과제는 가로와 세로로 3줄씩 총 9개의 버튼 중에서 3개의 버튼을 요구되는 시간의 간격으로 누르는 것이었다. 간섭과제의 조건에는 1) 같은 동작 패턴과 같은 상대적인 타이밍 (SMPSRT), 2) 같은 동작 패턴과 다른 상대적인 타이밍 (SMPDRT), 3) 다른 동작 패턴과 같은 상대적인 타이밍 (DMPSRT), 그리고 4) 다른 동작 패턴과 다른 상대적인 타이밍 (DMPDRT)이 제공되었다. 피험자의 반응오차로 절대오차(AE)와 가변오차(VE)를 산출하여 간섭과제에 의한 망각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학습단계의 분석결과에서 학습과제와 간섭과제의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어진 과제의 난이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지단계의 결과에서 SMPSRT집단이 SMPDRT집단보다 정확하고(AE), 일관적으로(VE) 반응한 것으로 분석되어 같은 동작 패턴이면서 다른 상대적인 타이밍에 의한 간섭과제가 가장 많은 망각을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다. 또한, 다른 동작 패턴의 간섭과제는 상대적 타이밍의 조건과 관계없이 주과제의 파지에 망각을 가져오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