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인 GKS사업과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를 중심으로, 두 제도의 운영방식이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59296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9-9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인 GKS사업과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를 중심으로, 두 제도의 운영방식이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인 GKS사업과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를 중심으로, 두 제도의 운영방식이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비교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비교연구와 문헌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분석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비교준거를 도출하였으며, 정부초청 장학제도의 운영방식, 장학요건, 효과성이라는 수정 보완한 기준을 최종적으로 채택했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한국의 GKS 사업과 미국의 풀브라이트 사업은 공공성을 강조한다는 면에서는 공통점을 가졌지만 예산의 규모와 대상 국가 구성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GKS 사업이 정량적이고 획일적인 지표로 학업의 우수성을 평가한 데 반해 풀브라이트 사업은 다양한 기준으로 학생이 선발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두 사업 모두 장학생들이 본국으로 돌아갔을 때의 소프트파워를 위해 장학생들의 네트워크를 강조하며 활용했다.
[결론]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유학생을 지원하는 사업을 좀 더 지속가능하고 확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국제 사회에 발맞춘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는 대상 국가를 확대하고 장학요건들의 다각화를 통해 다양한 인재들의 선발을 통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의 GKS 사업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활발한 국제교류를 끌어냄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 확장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a government-sponsored international scholarship program in Korea by investigating management styles and trend...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a government-sponsored international scholarship program in Korea by investigating management styles and trend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Fulbright Program.
[Methods]This study selected cross-national study and literature review as research methods.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produce criteria for comparison.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criteria suggested by former research, management, selection, and influence were adopted as criteria.
[Results]As the main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purpose of the GKS Program of Korea and the Fulbright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are similar as they both emphasize public interest and diplomatic aspect. However, they show a substantial gap in the size of the budget and the composition of target nations. Next, while the GKS Program evaluated academic excellence based on quantitative and standardized indicators. the Fulbright Program affirmed that students may be selected based on multifaceted indicators. The third result is that both programs highlighted and utilized the network among scholars for the soft power that can be exercised after returning to their own countries.
[Conclusion]Korea needs to promote change that can lead GKS to keep pace with global society at the government level by focusing on making it more sustainable. This change would be possible by expanding the range of target nations and diversifying the selection criteria,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attracting more quality students with diversity. Furthermore, the GKS Program should expand its influence in the global society by utilizing the existing network platform to encourage international cooper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쑹화 ; 김빛나라 ; 주철안, "한중 장학행정제도의 비교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9-41, 2017
2 김병주 ; 김태완 ; 홍준영, "한국, 영국, 프랑스의 장학행정제도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51-76, 2010
3 남수경, "한‧중‧일 3국의 정부지원 유학생정책 비교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2 (22): 75-98, 2012
4 이은화, "한‧중 양국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발전과 주요 제도 비교 연구" 대한중국학회 (53) : 161-184, 2015
5 한유경, "한·중·일 국비유학제도 비교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9 (29): 193-214, 2011
6 교육부, "제2의 고향, 한국을 다시 찾은 정부초청장학사업 동문"
7 한경숙,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한국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8 교육부,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 오리엔테이션 실시"
9 이현주 ; 이미정,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국내 지원 정책 연구" 인문사회 21 10 (10): 235-250, 2019
10 변수연 ; 변기용,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 국제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29, 2014
1 류쑹화 ; 김빛나라 ; 주철안, "한중 장학행정제도의 비교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9-41, 2017
2 김병주 ; 김태완 ; 홍준영, "한국, 영국, 프랑스의 장학행정제도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51-76, 2010
3 남수경, "한‧중‧일 3국의 정부지원 유학생정책 비교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2 (22): 75-98, 2012
4 이은화, "한‧중 양국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발전과 주요 제도 비교 연구" 대한중국학회 (53) : 161-184, 2015
5 한유경, "한·중·일 국비유학제도 비교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9 (29): 193-214, 2011
6 교육부, "제2의 고향, 한국을 다시 찾은 정부초청장학사업 동문"
7 한경숙,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의 한국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8 교육부,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 오리엔테이션 실시"
9 이현주 ; 이미정,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국내 지원 정책 연구" 인문사회 21 10 (10): 235-250, 2019
10 변수연 ; 변기용,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 국제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29, 2014
11 오정은, "대한민국 정부초청 외국인 유학생 실태 분석" 이민정책연구원 2014
12 서영인,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관리 및 지원 체제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3 남수경, "글로벌 인재양성 및 교류방안 연구" 교육부 2009
14 국립국제교육원, "국립국제교육원 주요업무 추진실적 및 계획"
15 Choudaha, R., "Trends in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25 (25): 2012
1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The Policies of the J. William 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
17 Jan C. Rupp, "The Fulbright Program, or the Surplus Value of Officially Organized Academic Exchange" SAGE Publications 3 (3): 57-81, 1999
18 Starr, Julia Catherine, "The Fulbright Program's Contemporary Relevance" 2012
1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Program Details by Country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20 Jeong-eun Rhee, "International Students: Constructions of Imperialism in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Project MUSE 28 (28): 77-96, 2004
21 Anthony R Welch, "Higher Education and Global Talent Flows: Brain Drain, Overseas Chinese Intellectuals, and Diasporic Knowledge Network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1 (21): 519-537, 2008
22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Funding and Administration |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23 Foreign Fulbright Program, "Fulbright Scholars"
2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Fulbright Alumni |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25 Foreign Fulbright Program, "Facts about Fulbright Scholar Program"
26 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 "Annual Report 2020"
27 George O. Odhiambo, "Academic Brain Drain: Impact and Implications for Public Higher Education Quality in Kenya" SAGE Publications 8 (8): 510-523, 2013
국내대학 인증평가와 주요 세계대학 순위평가의 연계 방안 연구
한국과 일본의‘교과(과목)’규정에 대한 법과 국가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한 학교의‘과목’개설 규정의 문제와 과제
교육재정의 협력적 지원 및 운영 사례 연구: 네덜란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