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이 연구는 분권화된 단일국가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교육재정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기관들이 협력적으로 교육재정을 운영하는 사례를 통하여 현재 논쟁의 중심에 있는 교육자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59295
2023
Korean
Netherlands ; Education Finance ; Cooperative Educational Finance ; Autonomy ; Accountability ; 네덜란드 ; 교육재정 ; 협력적 재정 지원 ; 자율성 ; 책무성
KCI등재
학술저널
1-2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이 연구는 분권화된 단일국가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교육재정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기관들이 협력적으로 교육재정을 운영하는 사례를 통하여 현재 논쟁의 중심에 있는 교육자치...
[연구목적]이 연구는 분권화된 단일국가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교육재정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기관들이 협력적으로 교육재정을 운영하는 사례를 통하여 현재 논쟁의 중심에 있는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문헌 연구의 기틀 위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째, 네덜란드의 교육재정 현황과 특징적인 제도를 살펴보고, 둘째, 교육재정 부담 주체별로 학습자를 위한 지원 분석을 통해, 각 교육 재원 주체들의 연계·협력 지원을 유·초·중등교육 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셋째, 일반자치와 교육자치가 상호 협력·연계하기 위한 재정 구조를 위해 향후 우리나라 교육재정 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교육재정의 운영원리로서 적정규모 확보를 기반으로 한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상호·연계 협력을 강화할 것, 둘째, 공립과 사립학교 전반에 대한 재정 지원과 자율성을 확대하되, 단위 학교 차원의 책무성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성과관리체제를 유지할 것, 셋째,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의 교육재정에 대한 지원 역할을 강화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debat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finance in South Korea, using the analysis of Dutch educational finance, which is a decent...
[Purpose] The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debat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finance in South Korea, using the analysis of Dutch educational finance, which is a decentralized unitary state.
[Method] The specific objectives are progressed by utilizing the literature review as follows; first, to overall review Dutch education finance trends and its main characteristics; second, to analyze educational finance sources according to households and enterprises so that students, parents, and institutions are supported from pre-primary to upper secondary education; and lastly,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nance in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discourses on cooperation and linkages autonomy from Dutch education finance.
[Result &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as an operating principle of education finance, mutual and linked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general autonomy based on securing an appropriate scale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it was proposed to expand support and autonomy for overall finance for public and private schools, but maintain a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strengthening accountability at a school level. Third, it requires to enhance the support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enterprises in education fin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지 ; 유지연 ; 김상헌, "총액배분자율편성 예산제도: 이상과 현실의 괴리" 한국행정연구소 54 (54): 265-285, 2016
2 장영철, "지방분권강화 방안으로서 연방국가 원리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22 (22): 247-283, 2016
3 김민희 ; 장지현, "지방교육재정과 지방재정의 연계・협력 방안"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27-63, 2015
4 남수경 ; 김민희, "지방교육재정 평가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251-278, 2016
5 송기창,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관계 : 변화와 성과 및 과제" 157-184, 2015
6 나민주, "지방교육자치 발전을 위한 교육재정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30 (30): 1-22, 2021
7 송기창,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교육재정의 회고와 전망" 41-59, 2018
8 안성호, "정책분석을 통한 지방분권의 필요성과 방향" 전국시도지사협의회 2010
9 구균철, "정부 간 교육재정관계의 국제동향과 시사점"
10 정무경, "재정사업평가결과가 행정부 예산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회예산정책처 1 (1): 135-165, 2012
1 김은지 ; 유지연 ; 김상헌, "총액배분자율편성 예산제도: 이상과 현실의 괴리" 한국행정연구소 54 (54): 265-285, 2016
2 장영철, "지방분권강화 방안으로서 연방국가 원리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22 (22): 247-283, 2016
3 김민희 ; 장지현, "지방교육재정과 지방재정의 연계・협력 방안"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27-63, 2015
4 남수경 ; 김민희, "지방교육재정 평가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251-278, 2016
5 송기창,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관계 : 변화와 성과 및 과제" 157-184, 2015
6 나민주, "지방교육자치 발전을 위한 교육재정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30 (30): 1-22, 2021
7 송기창,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교육재정의 회고와 전망" 41-59, 2018
8 안성호, "정책분석을 통한 지방분권의 필요성과 방향" 전국시도지사협의회 2010
9 구균철, "정부 간 교육재정관계의 국제동향과 시사점"
10 정무경, "재정사업평가결과가 행정부 예산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회예산정책처 1 (1): 135-165, 2012
11 금창호 ; 이지혜,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연계·협력방안"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3-25, 2015
12 이남국, "우리나라 책임운영기관 평가제도 및 운영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13 (13): 79-111, 2006
13 이강호, "예산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Top-down System)의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4 윤정일, "신교육재정학" 학지사 2015
15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성질별 세출 결산"
16 이홍재, "성과관리와 예·결산 심의의 연계성 제고방안 연구: 국회 예·결산 심의과정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1
17 교육부, "사업별 세출 자료"
18 김민희, "단위학교 교육서비스 재정투자 실태 및 개선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85-114, 2015
19 공은배, "교육재정 운영상황 종합 진단 연구: 4대 재정개혁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6
20 송기창, "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발전적 관계 정립 방안" 2 : 45-72, 1997
21 European Union, "YouthWiki. National strategy on creativity and culture for young people"
22 World Bank, "World Bank Development Indicator; Government expenditure on education, total(% of GDP)" World Bank 2023
23 World Bank, "World Bank Development Indicator; GDP & Country Income Classification"
24 Kim, J. M., "Top-Down Budgeting as a Tool for Central Resource Management" 6 (6): 2006
25 Hooghe, L., "The Rise of Regional Authority: A Comparative Study of 42 Democracies" Routledge 2010
26 Rijksoverheid, "Summary of the 2020 Budget Memorandum"
27 European Education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Subsidie per leerling via de prestatiebox"
28 Sjoerd Karsten, "School-Based Management in the Netherlands: The Educational Consequences of Lump-Sum Funding" SAGE Publications 13 (13): 421-439, 1999
29 Central Bureau Voor de Statistiek, "School size by type of education and ideological basis"
30 Patrinos, H. A., "School Choice in The Netherlands" 9 (9): 55-59, 2011
31 Jürgen Enders, "Regulatory autonomy and performance: the reform of higher education re-visited"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65 (65): 5-23, 2012
32 Budding, G., "Performance-Based Budgeting in the Public Sector" 79-99, 2019
33 Central Bureau Voor de Statistiek, "Onderwijs; uitgaven aan onderwijs en CBS/OESO indicatoren"
34 Pieter Duisenberg, "New development: How MPs in the Dutch parliament strengthened their budgetary and accounting powers" Informa UK Limited 36 (36): 521-526, 2016
35 World Atlas, "Maps of the Netherlands"
36 The Association of Netherlands Municipalities, "Local Government in t he Netherlands"
37 Ben Jongbloed, "Improving study success and diversity in Dutch higher education using performance agreement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6 (26): 329-343, 2019
38 European Observatory of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Framework in Netherlands"
39 European Union, "Funding in Education"
40 European Union, "Fiscal Decentralization of Netherlands, Division of Powers"
41 Witt, K. D., "F. EDGE: EDucation & GEnder" Waxmann 2013
4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at a Glance 2022, Expenditure on Education"
43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at a Glance 2021, How are public funds allocated to schools?"
4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GPS: Diagram of Funding Flows_Netherlands, Korea" OECD
45 Vermeulen, W., "Decentralization in of social policy in the Netherlands?, The Cophenhagen Worksshop 2015"
46 Kooij,W., "Case Study of Netherlands: performance management and indicators"
47 Stirling, A., "A general framework for analysing diversity i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4 (4): 707-719, 2007
국내대학 인증평가와 주요 세계대학 순위평가의 연계 방안 연구
한국과 일본의‘교과(과목)’규정에 대한 법과 국가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한 학교의‘과목’개설 규정의 문제와 과제
인문학 강좌_바로크 시대의 시민미술 : 네덜란드 황금기의 회화
한국연구재단 이한순Personal Finance Education: The School Disco
Teachers TV Teachers TVPersonal Finance Education: The Money Quiz
Teachers TV Teachers TVAutonomy, Choice and Competition
Teachers TV Teachers TVEducation White Paper: Ofsted and Accountability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