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만 한국어문학 전공에서 '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부 및 대학원의 문학 교과목 개설을 중심으로 -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es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ograms - Focus on Undergraduate and Graduate Curriculum Offerings and Conten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2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and to propose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Universities in Taiwan that offer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all have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is,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ducted specifically examining the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 Therefore, this paper meticulousl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NCCU), Chinese Culture University (PCCU), and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NKU) of Hospitality and Tourism, which are institutions conduct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literary courses and their conten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discusses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With this initiative, we hope to contribute meaningfully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becoming a significant pillar alongs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and to propose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Universities in Taiwan that offer education in th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and to propose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Universities in Taiwan that offer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all have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is,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ducted specifically examining the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 Therefore, this paper meticulousl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NCCU), Chinese Culture University (PCCU), and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NKU) of Hospitality and Tourism, which are institutions conduct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literary courses and their conten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discusses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With this initiative, we hope to contribute meaningfully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becoming a significant pillar alongs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善娥, "홍콩 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과 사례" 이화어문학회 (42) : 5-32, 2017

      2 조영미 ; 한혜민, "협력학습을 활용한 한국문학 교육 사례-해외 대학(대만, 홍콩) 수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70) : 225-250, 2021

      3 한정한,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517-540, 2020

      4 유홍주,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275-294, 2011

      5 강경희 ; 강승혜, "한국어문학교육 연구 현황과 동향 분석 - 유형 및 주제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29-64, 2015

      6 신하영,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인터넷전환…"22년 응시자 37만→70만"" 이데일리

      7 이인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 연구 -황순원의 「소나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유정의 「봄봄」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80 : 103-131, 2019

      8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현대 문학 정전 연구" 10 : 39-64, 2002

      9 윤여탁 ; 유영미 ; 박은숙,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10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도서출판 하우 2015

      1 金善娥, "홍콩 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과 사례" 이화어문학회 (42) : 5-32, 2017

      2 조영미 ; 한혜민, "협력학습을 활용한 한국문학 교육 사례-해외 대학(대만, 홍콩) 수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70) : 225-250, 2021

      3 한정한,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517-540, 2020

      4 유홍주,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275-294, 2011

      5 강경희 ; 강승혜, "한국어문학교육 연구 현황과 동향 분석 - 유형 및 주제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29-64, 2015

      6 신하영,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인터넷전환…"22년 응시자 37만→70만"" 이데일리

      7 이인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 연구 -황순원의 「소나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유정의 「봄봄」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80 : 103-131, 2019

      8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현대 문학 정전 연구" 10 : 39-64, 2002

      9 윤여탁 ; 유영미 ; 박은숙,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10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도서출판 하우 2015

      11 김대행,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학, 외국인을 위한한국어교육 연구 3, 서울대학교 외국인을 위한한국어교육 지도자 과정"

      12 고은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9 : 293-323, 2019

      13 류종렬,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현황과 방향" 345-360, 2011

      14 박지순 ; 김유미,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 문학 활용 양상 분석 - 교재에 제재화된 고전 산문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8 (18): 103-138, 2022

      15 김혜영,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소설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변인에 대한 고찰-" 한국독서학회 (27) : 179-221, 2012

      16 황인교,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553-589, 2011

      17 남연, "한국 문학사 교육을 위한 한국 현대 문학작품 선정 연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73-115, 2015

      18 황인순, "프랑스 한국학 강의에서의 고전문학콘텐츠교육 - 리옹3대학교 한국어학과의 경우 -" 청람어문교육학회 (57) : 277-305, 2016

      19 김경선, "중국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활용의현황과 과제" 14 : 213-233, 2004

      20 박은숙, "중국내 한국-조선문학작품 정전 선정에 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49) : 221-241, 2015

      21 지수용,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 연구" 한중인문학회 (52) : 21-43, 2016

      22 전지운 ; 한종진, "중국 내 한국문학 교재개발 현황 및 제언" 한국문학언어학회 (82) : 377-420, 2019

      23 장용수, "이집트 아인샴스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1 (11): 293-329, 2017

      24 이명현, "외국인의 한국문화 교육에서 고전소설의 가치와 학습 방향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7) : 229-252, 2014

      25 윤여탁,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 교육" 한국문화사 2007

      26 최지현, "영어권 한국어 교재 편찬에 활용되는한국 문학의 범위와 과제" 14 : 337-364, 2004

      27 김대행, "영국의 문학 교육-평가를 통한 언어와문학의 투시" 4 : 1-47, 1997

      28 교육부, "연도별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지원자・응시자․합격자 현황"

      29 조영미,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문화 수업 방안 연구 -대만 한국학 부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반교어문학회 (51) : 325-354, 2019

      30 조영미, "상호문화 감수성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대만 대학교의 부전공 과정생을 대상으로-" 이중언어학회 (79) : 249-276, 2020

      31 김유미, "북미 대학에서 한국 고전문학 강의와 교재 고찰" 한국한문학회 (58) : 317-345, 2015

      32 김영옥,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7 : 61-94, 2010

      33 윤여탁,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6 : 136-145, 1999

      34 김해옥, "문학 정전을 통한 한국 문화 및 한국학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 -『사랑손님과 어머니』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관점 문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4, 2012

      35 김대행, "문학 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6 김선효, "대만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현황과 방향 - 중국문화대학교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 -" 배달말학회 (61) : 57-85, 2017

      37 조영미, "대만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 연구 -시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73) : 461-480, 2021

      38 진경지, "대만 고등학교의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전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64) : 23-38, 2017

      39 김경선, "난이도 조절을 통한 문학교육 연구" 동악어문학회 (80) : 425-444, 2020

      40 오지혜, "국외 한국어교육의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언어학습자문학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269-302, 2013

      41 김서형,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전래 동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7) : 113-139, 2013

      42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한국어능력시험 국적 연령별 응시자 수"

      43 中國文化大學, "韓國語文學系"

      44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45 劉順福作, "韓國明時人金素月詩選集" 釀出版 2014

      46 崔末順, "誰能說自己看見天空:韓國小說大家經典代表作(戰後篇)"

      47 國立高雄大學, "東亞語文學系"

      48 國立高雄大學, "學生選課系統"

      49 尹東柱, "天空、風、星星和詩, 印刻"

      50 崔末順, "吹過星星的風:韓國小說大家經典代表作(戰前篇)"

      51 "博客來"

      52 한국국제교류재단, "2023년 해외대학 한국학과정 운영 현황" 한국국제교류재단 2023

      53 臺灣敎育部, "111學年度大專校園概況統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