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홍주목 부속 도서의 행정편제와 설진(設鎭)·설군(設郡) -도서민의 세역(稅役) 부담을 중심으로 =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military base and an administrative county of Hongjumokaffiliated island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with the focus on the tax burden imposed on the inhabitants of island area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94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충청도 서해안에는 적지 않은 유인도서가 존재하였다. 이곳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입도하여 생활했지만, 조선전기 중앙정부가 추진한 공도정책空島政策[섬을 비우는 정책]...

      조선시대 충청도 서해안에는 적지 않은 유인도서가 존재하였다. 이곳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입도하여 생활했지만, 조선전기 중앙정부가 추진한 공도정책空島政策[섬을 비우는 정책]에 따라 도서는 국가의 관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양란이 끝난 17세기 이후 홍주목 부속 도서에는 입도민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입도의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내륙에 비해 가벼운 부세 부담, 군역 도피, 원산도와 삽시도 등 도서목장의 폐지에 따른 경작지 확대, 풍부한 어족자원과 해산물 등이 핵심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그중 17세기 후반 홍주목 부속 도서 중 규모가 가장 크고 해로 요충지였던 원산도에 충청수영의 우후가 주둔하면서 이 일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도서민이 증가하자 국가는 점차 도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도서민을 파악하고, 그들을 실질 지배하고자 했다. 홍주목에서는 이 섬들을 면리로 편제하여 통치하였다. 이 섬들은 기본적으로 홍주목 용천면의 소속된 리로 편제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도서들의 분동分洞으로 면리편제는 더욱 세분화되었다.
      국가와 홍주목이 주도한 면리편제는 부세와 민역 등을 징수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따라서 17세기 이후 서해 도서에는 여러가지 세역이 부과되었다. 기본적으로 해세海稅라고 불리는 어염선세漁鹽船稅 등 외에 전복 진상, 군사시설의 군역 충정, 홍주목의 세곡을 수납하기 위해 바다에서 경강선을 잡는 착선역, 바다에 빠진 세곡을 건져내는 구증역 등이 대표적이었다. 이러한 세역은 중앙각사와 궁방, 홍주목, 충청수영 등 여러 기관에 의해 다층적으로 부과되었고, 이는 도서민의 부세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도민들의 세역 부담은 19세기에 더욱 과중했는데, 이를 바로잡고자 충청수사와 어사들은 서해 도서를 충청수영으로 귀속하여 세역을 일원화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중엽 원산도에 원산별장진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그 외의 도서들은 여전히 중층적이고 복잡다단한 세역에 시달려야 했다. 서해 도서의 세역 부담을 일원화 하려는 노력은 공교롭게도 충청수영이 폐지된 직후인 1901년(광무 5)에 이르러서야 이루어졌다. 충청수영 폐지 이후 수영은 보령군으로 합속되었는데, 이에 반대한 충청수영 영속들이 충청수영이 있는 보령군 금신면을 포함하여 종래 홍주목 부속 도서들을 합쳐 오천군鰲川郡이라는 새로운 군郡을 만들어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oseon, there were many inhabited islands along the west coast of Chungcheongnam province. People first settled the islands in prehistoric tim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of emptying th...

      In Joseon, there were many inhabited islands along the west coast of Chungcheongnam province. People first settled the islands in prehistoric tim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of emptying the islands, which were accordingly excluded from the scope of its interest. A considerable percentage of these island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Hongjumok.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the islands attached to the Hongjumok began to increase in the seventeenth century after two major wars. There were several core reasons behind this change, such as the lower tax burden compared to inland areas, the opportunity they presented to escape from military service, the reclamation of arable land after farms were closed on Wonsan and Sapsi Islands, and the abundant fish resources and marine products. Furthermore, the Woohoo of the Chungcheong Suyeong was stationed on Wonsan Island, the largest of the islands attached to Hongjumok and a strategic point of the sea route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resulting in the attraction of many more people to the islands. Once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s increased, the government gradually showed more interest in them, figured them out, and tried to impose its rule over them. This process led to the recording of the islands in geography books and eup documents, and the Hongjumok organized them into myeon or ri to facilitate its control of them. These islands were basically organized as a ri of Yongcheonmyeon, Hongjumok, and the system of organization into myeon and ri became more sophisticated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islands over time.
      The government and the Hongjumok took the lead in the myeon and ri organization to levy taxes and labor service, imposing different kinds of taxes on the islands in the Yellow Sea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ward. The major ones included the Chaebokyeok, which compelled the islands’ inhabitants to offer abalone to the king, Eoyeomseonse or maritime taxes, indigenous soldiers of Wonsanjin as a military facility, military service of Bongsugun and Yomanggun, Chakseonyeok to hold hard steel wires in the sea to store the tax grain of Hongjumok, and Gujeungyeok to pull tax grain out of the sea. These taxes were levied in layers by several agencies including the central Gaksa, Gungbang, Hongjumok, and Cheongcheong Suyeong, imposing a heavy tax burdens on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s.
      The tax burden on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s increased further still in the nineteenth century. Trying to address them, the Susa and Eosa of Chungcheong placed the islands of the Yellow Sea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hungcheong Suyeong and worked to unify the taxes. Wonsanbyeoljangjin was installed on Wonsan Island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in the process, but the other islands were all excluded. Such efforts to unify the tax burdens on the islands of the Yellow Sea coincidentally came to fruit in 1901 (the 5th year of Gwangmu) right after the abolition of the Chungcheong Suyeong, when these islands were incorporated into Boryeong-gun. Opposing it, the Yeongsoks of Chungcheong Suyeong created a new gun title, Ocheon-gun, by bringing all the old island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Hongjumok, including Gimsin-myeon, Boryeong-gun, where the Chungcheong Suyeong was loca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