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슬러가(家)는 한국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날 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프랜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는 미북 장로교 선교사(1928-1970)로 일제 강점기에 학교와 교회를 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96038
이선이 (호남신학대학교)
2020
Korean
프랜시스 킨슬러 ; 성경구락부 ; 현지인 중심 선교 ; 아서 킨슬러 ; 신영순 ; 킨슬러 재단 ; Francis Kinsler ; Bible Club ; Native-Centered Mission ; Arthur Kinsler ; Sue Kinsler ; Kinsler Foundation
KCI등재
학술저널
207-236(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킨슬러가(家)는 한국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날 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프랜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는 미북 장로교 선교사(1928-1970)로 일제 강점기에 학교와 교회를 섬...
킨슬러가(家)는 한국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날 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프랜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는 미북 장로교 선교사(1928-1970)로 일제 강점기에 학교와 교회를 섬기면서 빈곤 아동들을 대상으로 성경구락부(Bible Club) 운동을 하였다. 그는 해방 이후 교회와 학교 재건, 한국전쟁 시 피난민 구호사업을 하였다. 아내 도로시 킨슬러(Dorothy Kinsler)는 장애아동과 고아들을 위하여 사역했다. 아들 아서 킨슬러(Arthur Kinsler)는 미남장로교 선교사 (1972-2011)로 성경구락부, 숭실대, 등대복지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아서 부부는 1998년 북한 방문을 계기로, 특별히 아내 수 킨슬러(Sue Kinsler)는 킨슬러 재단 대표로 민족 평화와 통일을 위해 일하고 있다. 이들의 선교는 ‘현지인 중심적 선교’로 요약된다. 킨슬러가의 선교사역 은 철저히 기독교 정신에 토대를 두고, 현지인의 필요에 부합하는 선교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지인 중심의 성육신적 정신이 제대로 이양되지 못한 면이 있다. 한국의 해외 선교는 킨슬러가의 선교를 모델로 삼아 현지화 선교와 전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inslers have influenced Korea according to the nation’s needs in various ways to this day. Francis Kinsler served in the schools and church, and created a Bible Club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he rebuilt th...
The Kinslers have influenced Korea according to the nation’s needs in various ways to this day. Francis Kinsler served in the schools and church, and created a Bible Club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he rebuilt the church and schools. During the Korean War, he organized relief projects for refugees. Arthur Kinsler worked at the Bible Club, Soongsil University, and the Light-house Foundation. In particular, Arthur and his wife, Sue worked for the peace and unification of Korea since they visited North Korea in 1998. Their mission is summarized as ‘native-centered mission.’ The missions of the Kinslers were based on the Bible and worked to meet the needs of locals, but the founder’s dedication has become discredited over time. The Korean mission is recommended to be modeled on the Kinslers’ and move towards glocalization mis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금현, "해방 후 경북지역 성경구락부(Bible Club)의 변화 - 경북 경안노회를 중심으로 -" 한국대학선교학회 (43) : 93-127, 2020
2 한인세계선교사회, "한국선교의 반성과 혁신 : 한국선교의 미래를 준비하라" 예영 B&P 한인세계선교사회(KWMF)회장단 2015
3 김한성, "한국교회의 아시아 선교 이슈들" 한국선교신학회 (52) : 74-112, 2018
4 류은정, "한국교회 교육 복지의 모판, “성경구락부”운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80-194, 2017
5 장금현, "프란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와 성경구락부(Bible Club) 운동" 한국실천신학회 (68) : 527-553, 2020
6 김칠성, "최초의 한인 선교사에 관한 연구: 감리교와 장로교를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55) : 98-127, 2019
7 Kinsler, Francis, "인간 예수와 유혹" 대한기독교서회 1965
8 이병옥,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선교패러다임의 모색: 선포중심의 독백적 선교에서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교로 전환" 한국선교신학회 (54) : 209-240, 2019
9 한병선, "이름 없는 선교사들의 마을, 블랙마운틴을 찾아서" 홍성사 2012
10 김득렬, "씨를 뿌리러 나왔더니" 도서출판 카이로스 2007
1 장금현, "해방 후 경북지역 성경구락부(Bible Club)의 변화 - 경북 경안노회를 중심으로 -" 한국대학선교학회 (43) : 93-127, 2020
2 한인세계선교사회, "한국선교의 반성과 혁신 : 한국선교의 미래를 준비하라" 예영 B&P 한인세계선교사회(KWMF)회장단 2015
3 김한성, "한국교회의 아시아 선교 이슈들" 한국선교신학회 (52) : 74-112, 2018
4 류은정, "한국교회 교육 복지의 모판, “성경구락부”운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80-194, 2017
5 장금현, "프란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와 성경구락부(Bible Club) 운동" 한국실천신학회 (68) : 527-553, 2020
6 김칠성, "최초의 한인 선교사에 관한 연구: 감리교와 장로교를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55) : 98-127, 2019
7 Kinsler, Francis, "인간 예수와 유혹" 대한기독교서회 1965
8 이병옥,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선교패러다임의 모색: 선포중심의 독백적 선교에서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교로 전환" 한국선교신학회 (54) : 209-240, 2019
9 한병선, "이름 없는 선교사들의 마을, 블랙마운틴을 찾아서" 홍성사 2012
10 김득렬, "씨를 뿌리러 나왔더니" 도서출판 카이로스 2007
11 한국일, "선교와 교회갱신:교회와 선교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18 (18): 11-48, 2008
12 대한청소년성경구락부, "사랑의 교육 60주년" 대한청소년구락부 1988
13 송현강, "미국남장로교의 한국선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14 김영동, "동반자 선교의 신학 정립과 실천적 방향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53) : 56-83, 2019
15 한강희, "내한 선교사들은 정말로 오리엔탈리스트였나?: 엘리자베스 쉐핑의 성육신적 인식론과 포스트오리엔탈리즘" 세계선교연구원 (46) : 421-450, 2018
16 Kinsler, Francis, "기독교와 민주주의" 대한예수교장로회 종교교육부 1928
17 홍순권,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석당학술원 (46) : 1-17, 2010
18 숭실대학교뿌리찾기위원회, "권세열 그리고 조선의 풍경"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17
19 Kinsler, Sue, "가족관계, 한국선교, 북한선교"
20 "https://ssu.ac.kr/%ed%95%99%ea%b5%90%ec%86%8c%ea%b0%9c/%ec%97%ad%ec%82%ac/%ed%8f%89%ec%96%91%ec%88%ad%ec%8b%a4/"
21 "https://kb7cm.org"
22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2539b"
23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31XXXXXX2552"
24 "http://www.pckworld.com/article.php?aid=5013949919"
25 "http://www.newspower.co.kr/sub_read.html?uid=26656"
26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89326"
27 "http://m.pck-good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59"
28 Goodall, Norman, "Missions under the Cross, Addresses delivered at the Enlarged Meeting of th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at Willingen" Edinburgh House Press 1953
29 Fuller, Harold, "Mission-Church Dynamics" William Carey Library 1980
30 Hartenstein, Karl, "Mission zwischen Gestern und Morgen" Evang. Missionsverlag 1952
중국교회 선교 운동의 현황, 당면 과제와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Tabor Laughlin의 연구를 중심으로
북한선교의 상수와 변수로 본 통일 이전과 이후의 북한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8-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4 | 0.56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