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록파 시인의 자연관을 통해 드러난 한국적 정서가 작곡가들의 해석에서는 어떤 음악적 소재를 사용해서 가곡으로 성취되었는지에 관해 논의한 것이다. 가곡은 시가 독립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99893
이내선 (경북대학교)
2013
Korean
Korean art song ; Chungrokpa ; View point on the nature ; Lyricism ; Pentatonic scale ; Transformation of scale ; 한국 가곡 ; 청록파 ; 자연관 ; 서정성 ; 5음음계 ; 음계변형
KCI등재
학술저널
185-214(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록파 시인의 자연관을 통해 드러난 한국적 정서가 작곡가들의 해석에서는 어떤 음악적 소재를 사용해서 가곡으로 성취되었는지에 관해 논의한 것이다. 가곡은 시가 독립적인 ...
본 연구는 청록파 시인의 자연관을 통해 드러난 한국적 정서가 작곡가들의 해석에서는 어떤 음악적 소재를 사용해서 가곡으로 성취되었는지에 관해 논의한 것이다. 가곡은 시가 독립적인 자율성을 확보해 그 성립조건을 만들고 난 후 이로부터 시적영감과 음악적 해석이 다시 통합된 것이다. 논의에서는 시인들이 시 속에서 형상화시킨 자연에 대한 순수한 동경들이 음악 안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선율로 전환시켜 놓았는지를 살펴보았다.
청록파 시인의 가곡에서도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고자 하는 공통분모를 갖고 있지만, 한국적 어법, 서양적 어법, 그리고 그 사이를 절충하는 개별적인 음악어법을 보여준다.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재료 중에 하나인 5음음계는 장조느낌, 단조느낌으로 사용 가능한데, 그 이유는 이 음계가 장조의 3화음, 단조의 3화음을 구성하는 음계이기 때문이다. 이 음계에서 조성적 느낌을 갖기 위해 화성적 딸림화음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 변화음, 혹은 새로운 추가음들을 일시적으로 사용하면서 음계의 변형 혹은 확장을 만들어낸다.
압축된 시어를 음악적 시간 속에서 풀어내는 작곡가들은 절제된 언어에 대비되는 상대적 여백을 청각적 감성으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면 《나그네》에서는 시에 담겨있는 시각적 형상과 그 이미지의 긴 여운을 피아노 음형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로서 작곡가들에 의해 시와 노래가 공존했던 음악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면서 ‘시’와 ‘노래’라는 각각의 영역이 재통합되는 가곡의 본질적인 성격이 완성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korean art song with lyrics from Chungrokpa poets. Analysis took a look at 'how the composers musically analyzed the theme, “nature” which Chungrokpa poets expressed', and this can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po...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korean art song with lyrics from Chungrokpa poets. Analysis took a look at 'how the composers musically analyzed the theme, “nature” which Chungrokpa poets expressed', and this can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poem and music” which should be handled in vocal music in the end.
In preceding research on Korean art songs, there are pentatonic scale representing Korean sentiment. However in this study, more specific and detailed facts are newly added on the results until now. Let's take analyzed songs example, we can see the melodic shapce is decid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pentatonic scale or hexatonic scale or transformation of these scales.
Chungrokpa regarded nature as “forever home of life” and took this nature as material and also tried to express human mind in the nature. These are the reasons why Chungrokpa poets' sense is picturesque, so it is often expressed with visual language. This feeling can also be delivered by the space between lines and stanzas. In Chungrokpa’s songs, the expression of space is showing up through prelude and interlude, and the visual effect is affirmatively showing up through pianistic figures of the accompaniment.
In conclusion, composers commonly read the emotion of Korean style longing regarding the nature of Chungrokpa poets and idealized nature inside the poets but as each poet pursues individual world of differences, so is each composer showing individual music language method through Korean style language, Western style language, and the compromises between them etc.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희복, "해방기 시단의 청록파와 전위시인파 비교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7) : 113-145, 2012
2 홍정수, "한국음악의 관점: 친근성?민족성?현대성(1)" 민족음악학회 (32) : 9-53, 2006
3 홍정수, "한국음악의 관점(3): 현대성" 민족음악학회 (35) : 9-47, 2008
4 신인선, "한국음악 20세기: 작곡가들의 음악어법(1)" 민족음악학회 33 (33): 71-106, 2007
5 신인선, "한국음악 20세기 <김동진>" 민족음악학회 (26) : 17-64, 2003
6 송희복, "한국 서정시의 이해-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예하출판주식회사 1993
7 민경찬, "한국 근대음악과 ‘고향’" 한국문학연구소 (30) : 75-99, 2006
8 조강석,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3) : 321-346, 2011
9 오문석,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한국문학연구학회 (46) : 115-143, 2012
10 김미옥, "초기 한국가곡 양식사" 민족음악학회 (32) : 55-98, 2006
1 송희복, "해방기 시단의 청록파와 전위시인파 비교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7) : 113-145, 2012
2 홍정수, "한국음악의 관점: 친근성?민족성?현대성(1)" 민족음악학회 (32) : 9-53, 2006
3 홍정수, "한국음악의 관점(3): 현대성" 민족음악학회 (35) : 9-47, 2008
4 신인선, "한국음악 20세기: 작곡가들의 음악어법(1)" 민족음악학회 33 (33): 71-106, 2007
5 신인선, "한국음악 20세기 <김동진>" 민족음악학회 (26) : 17-64, 2003
6 송희복, "한국 서정시의 이해-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예하출판주식회사 1993
7 민경찬, "한국 근대음악과 ‘고향’" 한국문학연구소 (30) : 75-99, 2006
8 조강석,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3) : 321-346, 2011
9 오문석,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한국문학연구학회 (46) : 115-143, 2012
10 김미옥, "초기 한국가곡 양식사" 민족음악학회 (32) : 55-98, 2006
11 한홍자, "청록파의 자연관 연구" 13 : 127-149, 2000
12 이상호, "청록파 연구 - ≪청록집≫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28) : 325-352, 2005
13 김슬기, "청록파 시의 특성과 시사적 의의" 25 : 65-89, 2011
14 김미옥, "채동선의 삶과 음악" 민족음악학회 (28) : 29-62, 2004
15 김용희, "전후 한국시의 ‘현대성’과 그 계보적 가설 -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 (1): 89-122, 2009
16 이상근, "우리가곡 시론(2)" 7 : 8-30, 1994
17 오희숙, "안기영" 민족음악학회 (28) : 63-81, 2004
18 이홍경, "시와 음악의 이중주 - 예술가곡에 나타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한국독일어문학회 18 (18): 85-108, 2010
19 서우석, "시와 리듬" (주)문학과지성사 2011
20 오문석, "박두진의 후기시론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37) : 75-95, 2009
21 Joel, Lester, "The Rhythms of tonal music"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86
22 Grosvenor, Cooper, "The Rhythmic structure of music"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23 David, Lewin, "Studies in Music with text"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4 Yonatan, Malin, "Song in 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5 Chailly, Jacques, "Elements de phiologie musicale" A. Leduc 1984
26 김용환, "'한국 최초의 예술가곡'에 관한 소고" 20 : 253-287, 2000
연극사 각 시대별 연기 양식 비교 연구 :음악적 대사의 연극적 재현의 역사
티베트 악기재료에 나타난 상징적 의미 - 티베트의 다마루(Damaru)와 캉링(Kangling)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5 | 0.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