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습기술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Study Skill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20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기능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학습기술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습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교육 과정 설계에 대한 연구와 기능별 영역에 대한 연구로 유형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 통합적 교육에 대한 논의는 미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기술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학습기술과 제2 언어교육에서의 학습기술로 나누어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습기술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학문을 수행하기 위해서 알고 익혀야 하는 보편적이면서 복합적인 언어 기능들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학습기술을 크게 듣고 쓰기 기술, 듣고 말하기 기술, 읽고 쓰기 기술, 읽고 말하기 기술, 쓰고 말하기 기술로 나누고 각각의 세부 학습기술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세부 학습기술들에 대해 논의한 후 난이도에 따라 가능한 학습 활동과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난이도의 결정을 위해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세부 학습기술의 난이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러한 학습기술의 구성을 바탕으로 15주 기준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전 단계로 현재 국내 대학에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어떤 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등 5개 권역의 학교를 선정하여 개설되어 있는 과목과 학점을 정리한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 밝힌 다섯 유형의 학습기술 중 쓰고 읽기를 제외한 네 유형의 학습기술로 한 학기의 수업을 개설한다는 가정 하에 전체적인 학습 목표와 매 차시별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구성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학습기술을 정의하였다.
      둘째, 학습기술을 이해 기능과 표현 기능의 통합적 방법으로 가르치기 위한 체계를 세웠다.
      셋째, 통합 기능이라는 큰 틀 아래에 세부 기술과 사용 상황을 기준으로 학습기술을 정리하였다.
      넷째, 학습기술의 교육만으로 한 학기의 수업이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큰 어려움 없이 학문을 수행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추후 다른 연구들에서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세부 학습기술들에 대한 교수법과 교수․학습 내용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기능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학습기술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학문 목...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기능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학습기술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습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교육 과정 설계에 대한 연구와 기능별 영역에 대한 연구로 유형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 통합적 교육에 대한 논의는 미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기술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학습기술과 제2 언어교육에서의 학습기술로 나누어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습기술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학문을 수행하기 위해서 알고 익혀야 하는 보편적이면서 복합적인 언어 기능들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학습기술을 크게 듣고 쓰기 기술, 듣고 말하기 기술, 읽고 쓰기 기술, 읽고 말하기 기술, 쓰고 말하기 기술로 나누고 각각의 세부 학습기술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세부 학습기술들에 대해 논의한 후 난이도에 따라 가능한 학습 활동과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난이도의 결정을 위해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세부 학습기술의 난이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러한 학습기술의 구성을 바탕으로 15주 기준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전 단계로 현재 국내 대학에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어떤 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등 5개 권역의 학교를 선정하여 개설되어 있는 과목과 학점을 정리한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 밝힌 다섯 유형의 학습기술 중 쓰고 읽기를 제외한 네 유형의 학습기술로 한 학기의 수업을 개설한다는 가정 하에 전체적인 학습 목표와 매 차시별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구성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학습기술을 정의하였다.
      둘째, 학습기술을 이해 기능과 표현 기능의 통합적 방법으로 가르치기 위한 체계를 세웠다.
      셋째, 통합 기능이라는 큰 틀 아래에 세부 기술과 사용 상황을 기준으로 학습기술을 정리하였다.
      넷째, 학습기술의 교육만으로 한 학기의 수업이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큰 어려움 없이 학문을 수행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추후 다른 연구들에서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세부 학습기술들에 대한 교수법과 교수․학습 내용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Korean learns for academic purposes can enhance their study skills.
      Section 2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use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study skills.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classified into two parts: 1) studies on the planning of curriculum 2) studies on language function.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the discussions on the language function integrated education which meet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study skills into pedagogical perspectives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then looks into the definition and patterns of study skills.
      Section 3 analyses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defined as the universal and complex language functions needed for Korean learners to be able to study at the university level.
      Based on this definition, this paper categorizes study skills into 'listening and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reading and speaking' skills and organized detailed skills for each category.
      It then suggests study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detailed skill based on the level of difficulty. To decide the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of the detailed skills, this study surveys lear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t a university in Korea.
      Section 4 presents a design for a 15-week teaching syllabus based on these study skills. Before designing the teaching syllabus,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t courses currently open at universitie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
      It selects 5 universities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regions and investigates the courses and credits and realizes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t designs a syllabus with teaching objectives and content for each lesson with the presumption that the course will be teaching five different study skills other than the ‘writing and speaking’ skill.
      Section 5 significance of this study sums up of the result and clarifies the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een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defines study skills which are suitable for learning Korean.
      - Second, this study systemizes ways to teach study skills by integrating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functions)
      - Third, this study organizes study skills based on detailed skills and context of use within the outline of integrative functions.
      - Fourth, this study designs a teaching syllabus on teaching study skills.
      This study aims to give practical help to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study in academic contexts. Further studies on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tudy skills are need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Korean learns for academic purposes can enhance their study skills. Section 2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use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study skills. The previous studi...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Korean learns for academic purposes can enhance their study skills.
      Section 2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use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study skills.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classified into two parts: 1) studies on the planning of curriculum 2) studies on language function.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the discussions on the language function integrated education which meet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study skills into pedagogical perspectives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then looks into the definition and patterns of study skills.
      Section 3 analyses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defined as the universal and complex language functions needed for Korean learners to be able to study at the university level.
      Based on this definition, this paper categorizes study skills into 'listening and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reading and speaking' skills and organized detailed skills for each category.
      It then suggests study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detailed skill based on the level of difficulty. To decide the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of the detailed skills, this study surveys lear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t a university in Korea.
      Section 4 presents a design for a 15-week teaching syllabus based on these study skills. Before designing the teaching syllabus,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t courses currently open at universitie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
      It selects 5 universities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regions and investigates the courses and credits and realizes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t designs a syllabus with teaching objectives and content for each lesson with the presumption that the course will be teaching five different study skills other than the ‘writing and speaking’ skill.
      Section 5 significance of this study sums up of the result and clarifies the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een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defines study skills which are suitable for learning Korean.
      - Second, this study systemizes ways to teach study skills by integrating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functions)
      - Third, this study organizes study skills based on detailed skills and context of use within the outline of integrative functions.
      - Fourth, this study designs a teaching syllabus on teaching study skills.
      This study aims to give practical help to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study in academic contexts. Further studies on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tudy skills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1.2 연구 범위 및 내용 5
      •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7
      • 2.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7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1.2 연구 범위 및 내용 5
      •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7
      • 2.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7
      • 2.1.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과정 설계에 대한 선행 연구 7
      • 2.1.2. 학문 목적 한국어의 기능별 영역에 관한 선행 연구 9
      • 2.2. 학습기술 이론 15
      • 2.2.1.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학습기술 15
      • 2.2.2. 제2 언어교육에서의 학습기술 18
      • 3.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습기술 23
      • 3.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의 정의 23
      • 3.1.1. 학습기술 교육의 대상 23
      • 3.1.2. 학습기술 교육의 단계 25
      • 3.1.3. 학습기술 교육의 범위 27
      • 3.2.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의 구성 28
      • 3.2.1. 듣고 쓰기 관련 학습기술 31
      • 3.2.2. 듣고 말하기 관련 학습기술 36
      • 3.2.3. 읽고 쓰기 관련 학습기술 43
      • 3.2.4. 읽고 말하기 관련 학습기술 50
      • 3.2.5. 쓰고 말하기 관련 학습기술 57
      • 4.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기술 교육의 활용 59
      • 4.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61
      • 4.2. 학부 과정에서의 학습기술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67
      • 5. 결론 및 제언 74
      • 참고문헌 77
      • 부록 80
      • Abstract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