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크게 우리나라의 지방재정과 지역경제를 주제로 세 가지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그에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7044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학위논문(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경제학과 경제정책전공 , 2017. 8
2017
한국어
서울
Three essay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ocal public finance
iv, 98장 : 삽화 ; 26 cm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완규
참고문헌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크게 우리나라의 지방재정과 지역경제를 주제로 세 가지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그에 따...
본 연구는 크게 우리나라의 지방재정과 지역경제를 주제로 세 가지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1998∼2013년까지 총 16년간의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고 Pooled OLS, 시스템 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재정자립도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향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β-수렴 분석에서 절대적, 조건부 수렴 모두에서 재정자립도의 수렴이 나타났다. 또한 노인인구, 실질 GRDP, 인구밀도 변수를 통제한 조건부 분석 시 절대적 수렴보다 더 빠르게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광역시와 도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특·광역시와 도 모두에서 재정자립도의 절대적, 조건부 수렴현상을 확인하였으며 도보다 특·광역시에서 빠르게 수렴이 진행되고 있었다. 단체별 지역 환경 및 재정운영의 차이에 따라서 재정자립도의 결정요인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결정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광역시의 경우, 3차 산업 취업자 비중 변수가 재정자립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도에서 1인당 자동차 등록대수 변수는 재정자립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노인인구의 증가는 재정자립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시 군 지역의 2008년∼2011년까지 총 4개 연도의 연간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사회복지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Pooled OLS와 Panel GLS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 군 전체의 모형에서 사회복지지출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보육 가족 및 여성, 취약계층지원 지출 순으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기초생활보장 및 노동 지출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지출의 영향을 시·군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시에서는 취약계층지원, 보육 가족 및 여성 지출이 성장에 긍정적이었으나 기초생활보장, 노동의 경우 성장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의 경우, 보육 가족 및 여성, 취약계층지원, 노동 지출이 성장에 긍정적이었으나, 기초생활보장 및 노인 청소년 지출은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마지막 분석에서는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지역별로 경제성장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정변수들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각 지역에 대한 맞춤형 경제성장 전략을 도출하였다. 고정효과 모형으로 지역별 지역내총생산(GRDP)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낸 후, 이를 토대로 인과관계 검정을 통해 재정변수에서 GRDP로의 일방 및 쌍방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동부지역의 경우 지방세수입, 남부지역의 경우 세출결산 총액, 경상적 지출, 북부지역의 경우 사회복지 지출, 산업·중소기업 지출, 경상적 지출 등으로부터 GRDP로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변수들이 지역의 경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변수들이 지역의 경제력에 미치는 절대적 효과의 지역 간 상대 비교를 위해 GRDP에 대한 승수효과를 산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three essay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ocal public finance. The main purpose of firs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gap of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of 16 provincial governments in Korea has been narrowed, and to sugges...
This paper has three essay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ocal public finance. The main purpose of firs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gap of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of 16 provincial governments in Korea has been narrowed, and to suggest some remedie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panel data set from 1998 to 2013 is used and pooled OLS and system GMM regression techniques are employed. The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show downward trend and β-convergence exists in absolute and conditional convergence analysis. The speed of conditional convergence anlysis is proved to be faster than that of absolute analysis. Both metropolitan cities and prefectures show the convergence of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We have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metropolitan cities, the proportion of workers in the tertiary industry has positive effect on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and, in the case of prefectures number of cars per capita has positive effect. And, in both cases an increase in old population has negative effect.
Second chapt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panel data and adopting pooled OLS and panel GLS models for the sample of cities and counties from 2008 to 2011.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Child care, family and women, and vulnerable social group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But, basic living security and labor have all negative effects. We then classify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 into cities and counties. In case of cities, expenditures on vulnerable social group support, child care, family and women have positive effects. However expenditures on basic living security and labor have all negativ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 case of counties, expenditures on child care, family and women, vulnerable social group support and labor expenditur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But, expenditures on both basic living security and senior citizens & juveniles have negative effects.
In third study, we divided Gyeonggi-do into four regions(northern,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parts) and found out fiscal variables which affected regional economic growth of each part differentially. And we suggested a customized economic growth strategy for each region. After find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fixed effect model, we carried out the causality test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fiscal variable causes economic growth. In the Eastern Part, local tax reven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Total expenditures, current expenditure in the Southern Part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expenditure on industries, and current expenditure in the northern part had noticeable effects on economic growth respectively. And we calculated multipliers of fiscal variables to compare the magnitudes of effects among these Parts.
목차 (Table of Contents)
1 이준구, "재정학(제4판)", 다산출판사, 2011
2 민인식, 최필선,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2012
3 주만수, "지방재정은 수렴하는가?", 응용경제, 11(3), 147-172, 2009
4 Gujarati, Damodar N, "『Gujarati의 계량경제학』", 지필, 도서출판 지필, 2009
5 민인식, 최필선,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10
6 주만수, 홍서빈, "자치구 재정의 장기 수렴성 분석",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재정학연구, 4(3), 67-94, 2011
7 인경석, "『한국복지국가의 이상과 현실』", 서울: 나남출판, 1998
8 노대명,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9 김정훈, "재정분권과 지역경제 성장의 수렴",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2010
10 류덕현 ( Deock Hyun Ryu ), "재정준칙의 재정건전화 효과 분석", 재정학연구, 6(1), 1-26, 2013
1 이준구, "재정학(제4판)", 다산출판사, 2011
2 민인식, 최필선,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2012
3 주만수, "지방재정은 수렴하는가?", 응용경제, 11(3), 147-172, 2009
4 Gujarati, Damodar N, "『Gujarati의 계량경제학』", 지필, 도서출판 지필, 2009
5 민인식, 최필선,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10
6 주만수, 홍서빈, "자치구 재정의 장기 수렴성 분석",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재정학연구, 4(3), 67-94, 2011
7 인경석, "『한국복지국가의 이상과 현실』", 서울: 나남출판, 1998
8 노대명,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9 김정훈, "재정분권과 지역경제 성장의 수렴",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2010
10 류덕현 ( Deock Hyun Ryu ), "재정준칙의 재정건전화 효과 분석", 재정학연구, 6(1), 1-26, 2013
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중앙과 지방의 사회복지 재원분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2 이창근, "지방재정지출의 지역별 효과 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지방재정논집, 18(2), 57-81, 2013
13 김성태, Kim, Sung Tai, "우리나라 지방재정지출의 수렴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12(7), 65-76, 2014
14 최재헌,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233-246, 2013
15 이외희, 정연봉, 임지현, "경기북부지역 규제와 지원제도 개선방안", 경기연구원, 경기연구원. GRI 정책연구, 2015
16 조임곤,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3(2), 79-93, 2013
17 김성태, "한국 지방공공자본의 지역경제 성과분석", 한국재정학회, 재정논집, 14(2), 99-124, 2000
18 김을식, 이지혜, 김정훈, "기초자치단체의 경제력 측정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경기연구원. GRI 정책연구, 2015
19 김성순 ( Seong Suhn Kim ), "지방 재정과 지역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재정학연구, 6(1), 27-57, 2013
20 김성순, "기능별 재정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정책학회, 재정정책논집, 12(4), 3-31, 2010
21 주만수, "지방재정의 의존성과 의존재원의 추이 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지방재정 학회 세미나자료집, 6, 23-44, 2011
22 오병기(吳炳奇), "지역경제 성장과 지방재정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8(3), 143-164, 2014
23 양재진, 이명진, "복지국가와 국가 경쟁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한국 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11
24 김성록, "산업의 지역간 파급효과에 의한 연계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지 리학회지, 15(3), 424-436, 2012
25 박창수, "한국 동남권 지역의 서비스산업 생산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지 리학회지, 9(2), 181-196, 2006
26 박완규,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줄어들고 있는가?”", 한국응용경제학회, 응용경제, 10(1), 197-223, 2009
27 김대욱, 김홍배, "인적자본과 지역성장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지 역연구, 16(2), 67-81, 2000
28 김대영, 오병기, "지방자치단체 사회개발비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한 국지방재정논집, 10(2), 53-84, 2005
29 김지욱, "한국패널자료를 이용한 지역경제 수렴화 연구", 서울연구원, 서울도시연 구, 5(4), 93-103, 2004
30 정윤한, "지방재정의 쟁점: 지방재정의 현황과 운영형태",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지방재정 과 지방세, 10, 156-164, 2008
31 남기범, 조영진, 신기동, 배영미, "경기도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 실 태와 정책과제",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2015
32 최성은, "사회복지 재정지출과 지방재정 부담에 관한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2010
33 최성은, "자치단체 유형별 지방복지재정의 특징과 시사점", 한국조세 재정연구원, 2013
34 손승호 ( Seung Ho Son ),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 제지리학회지, 18(1), 45-59, 2015
35 김성태,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자립도 결정요인 분석", 동서경제학회, 한국 동서경제연구, 16(1), 1-18, 2004
36 소순창, 최순영,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사회복지정책과 재정 확립방 안",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2012
37 김지욱, "서울시 자치구 재원조달능력 및 재정력 격차수렴성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도시연구, 13(3), 1-14, 2012
38 박완규, "우리나라 지방정부는 생산적인가?-Barro Rule에 의한 검 정-", 재정학연구, 2(1), 113-138, 2009
39 서정섭,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의 영향분석과 구조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40 심재희, "한국의 광역자치단체에서 인적자본의 지역성장효과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8(7), 201-209, 2003
41 여준호, "일자리 증가가 지역 인구유입과 재정자립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농업경제연구, 50(4), 87-101, 2009
42 박경돈, "“복지와 경제성장 간의 실증적 분석: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5(3), 161-183, 2011
43 이순배, "시군 재정자립도의 내생적 결정요인 분석: 인구규모별 횡단면 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지방재정논집, 13(2), 27-51, 2008
44 김태완, "『저소득층 현금 및 현물서비스 복지지출의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 원, 2013
45 김종구, "우리나라 지방자치제하 지방재정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친 영 향", 국제지역학회, 국제지역연구, 12(1), 143-164, 2008
46 김지욱, "“패널자료를 이용한 한국 지역소득 확률 수렴성과 수렴클럽 분석”", 한국경제학회, 경제학연구, 59(3), 53-80, 2011
47 박완규, "지방자치단체의 경제력 격차에 대한 분석: GRDP 대리변수를 이 용하여", 한국지역학회, 지역연구, 26(4), 75-101, 2010
48 오연천, "지방재정자립도 산정방식의 한계와 지방재정력 측정지표의 활용방안",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26(2), 267-293, 1988
49 이영성, "시,군,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실증분석", 한국지역학회, 지역연구, 25(3), 5-23, 2009
50 박완규, 이경진, "우리나라 지역경제력의 수렴현상에 대한 분석-기 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4(4), 189-210, 2010
51 박완규 ( Wan Kyu Park ), 김두수 ( Du Su Kim ), "재정변수 및 비재정변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554-566, 2014
52 박지현, "“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사업 차등보조율 도입이 지방재정에 미친 영 향”", 한국지방세연구원,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53 강윤호,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 : 시 군 자 치구간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34(1), 213-227, 2000
54 김태일, "지방의회 구성과 단체장 선출이 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규 모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35(1), 69-89, 2001
55 김종백, 조동근, "지방재정 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7(1), 147-171, 2005
56 박완규 ( Wan Kyu Park ), 지은초 ( Ann Cho Ji ), ""우리나라 사회복지 재정지출이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시,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42(1), 81-101, 2015
57 박완규, "지방자치단체의 세입 및 세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내 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7(2), 75-91, 2013
58 이영, 차병섭,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성장을 저해하는가?: 도구변수 법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재정학연구, 6(4), 109-149, 2013
59 주만수, "사회복지지출의 정부 간 재원분담체계 조정방안: 영유아보 육지원 및 기초노령연금을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 29(3), 1-32, 2013
60 오병기, "수요함수 추정에 기초한 지방 복지지출의 효율성 평가-도 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도시연구, 8(2), 197-214, 2007
61 박은하, 변영우, "사회지출과 경제지출이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OECD 국가자료와 WCS지수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37(3), 215-23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