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디커플링(decoupling)이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doption and Decoupling of Flexible Work and Voluntary Turnover Rate: Moderating Effects of Firm Siz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42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생활 균형 정책의 일환인 유연근무제는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계기로 급격히 활성화 되었지만, 선진외국에 비하면 여전히 제한적인 수준에서 운영되고 있다. 유연근무제의 효과성...

      일-생활 균형 정책의 일환인 유연근무제는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계기로 급격히 활성화 되었지만, 선진외국에 비하면 여전히 제한적인 수준에서 운영되고 있다. 유연근무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들 역시 양·질적으로 많은 보완이 필요하며 특히 유연근무제의 형식적 운영행태인 디커플링(decoupling)에 대한 심층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조직의 유연근무제 도입과 디커플링이 자발적 이직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조직의 규모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2017년과 2019년 사업체패널조사를 활용하여 2,447개의 공·사조직을 분석한 결과, 유연근무제의 미도입은 조직의 자발적 이직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도의 도입 정도가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현상은 작은 규모의 조직에서만 나타났으며, 디커플링이 이직률을 높이는 결과는 큰 조직에서만 관찰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의 유연근무제 도입은 자발적 이직률 감소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지만, 이를 형식적으로 운영할 경우 오히려 이직률이 증가되어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규모가 큰 조직은 제도의 실질적 운영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제도주의 조직론의 관점에서 유연근무제와 이직률 간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실증하고, 이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라는 대전환의 상황에 대한 관리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조직의 유연근무제 실행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실증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exible Work Arrangements(FWAs) have been widely adopted in Korea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mandated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However, there are still unsolved issu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FWAs. The extant literature, moreover, doe...

      Flexible Work Arrangements(FWAs) have been widely adopted in Korea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mandated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However, there are still unsolved issu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FWAs. The extant literature, moreover, does not pay full attention to the decoupling between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FWA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doption and decoupling of FWAs affect voluntary turnover, which is also moderated by the size of an organization. After analyzing data from 2,447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obtained from the Workplace Panel surveys in 2017 and 2019, we argue that non-adoption of FWAs leads to higher turnover rates. On the other hand, the adoption of multiple FWAs reduces turnover rates for smaller organizations, while the decoupling increases turnover rates for larger organiza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adoption of FWAs can lower the voluntary turnover rate, but it may increase if the adoption is decoupled from the actual implementation. Careful attention is necessary to ensure proper implementation of FWAs, particularly in larger organiza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a complex mechanism between FWAs and turnover rate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and provide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ost-COVID-19 transi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