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沙石集』에 나타난 無住道曉 불교가론 - 卷五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1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세 일본의 대표적인 불교설화집 『沙石集』의 권 5는 설화와 和歌 그리고 불교와 와카와의 관계를 논하는 歌論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와카와 불교의 결합을 논리화하기 위해 전략적으...

      중세 일본의 대표적인 불교설화집 『沙石集』의 권 5는 설화와 和歌 그리고 불교와 와카와의 관계를 논하는 歌論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와카와 불교의 결합을 논리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되었다. 와카를 중심부에 배치하고 각각 神, 佛, 法, 僧, 陀羅尼 와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沙石集』 전체 구조를 권 5 안에서 응축하여 불법의 소우주를 형성하였으며 와카의 기능과 역할을 불법과 관련하여 강조하는 논증의 효과를 성취하였다. 와카의 불교적 의미 발견은 언어관의 변화와 노래의 역할에 대한 인식전환에서 비롯되었다. 와카가 불교와 통하는 근거는 짧은 형식 안에 담긴 무한의 의미 창출, 일상어의 중의적 사용 등이다. 와카의 언어는 무상과 제법실상의 도리를 체득하게 하고 감정을 관조함으로써 마음의 평정을 소환한다. 와카가 곧 다라니인 근거이다. 또한 노래는 신과 인간을 감동시켜 현세적 이익을 가능하게 하는 역동성이 있다. 자국어로 부른 노래가 부처에게도 통한다는 자의식의 강화는 와카의 실용성과 결합하여 강력한 영향력을 형성하였다. 와카의 언어와 형식을 불교사유 안에서 해석하고 와카의 매력을 현실 문제 해결력으로 파악한 무주의 문학관을 반영한다. 중세 일본이 처한 혼란과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종교와 문학의 융합을 고안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대립을 완화하는 방편을 문학에서 구하였다. 특히 와카를 방편삼았다. 이는 문학적 토양이 풍부하여 자국어 문학의 생산 능력이 무르익었던 당대 문학 환경과 관련된다. 또한 문학을 포용할 수 있을정도로 불교가 사상적으로 다양화되었으며 서민불교로 대중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라고 하겠다. 이러한 당대 환경은 무주의 불교와카관에 반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서정성과 표현력을 불교적 틀에 자의적으로 맞춤으로써 결국 문학을 제한하게 된 것은 중세불교문학의 한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Volume 5 of ‘shasekishu’,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lktale books of medieval Japan’s Buddhism,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the Buddhist interpretation of Waka, and the Buddhist interpreta...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Volume 5 of ‘shasekishu’,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lktale books of medieval Japan’s Buddhism,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the Buddhist interpretation of Waka, and the Buddhist interpretation projected in Waka's interpret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the volume 5 of ‘shasekishu’ is that it is the key to connecting the Buddhism, on which ‘shasekishu’ was based, and Waka. The Volume 5 consists of two parts, folktale and Waka. The first part of the Buddhist folktale explains the mistakes that could be made and the virtues that must be observed in Buddhist practice. As a medium for introducing Waka, the Buddhist monk’s motivation to compose Waka is placed in the introduction part. The latter part laid a logical and ideological foundation by explaining the reason why Waka is Darani. In addition, it explains Waka's usefulness and functions as exemplified by the works of Waka that were enjoyed by various classes of people, starting with the works of Manyo and Saikyo. Lastly, it re-emphasizes Waka as an instrument of the Buddhism by listing the life stories of Waka's Kyogi Bodhisattva.Its ideological background is wakatarani and everything has it own nature, which are deeply related to Esoteric Buddhism. It chose literature as a way to alleviat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used the methodology of Esoteric Buddhism as a medium of combining literature and Buddhism. The works of Waka utilize various themes and materials. This article focuses on theme of nature, life and love. By analyzing the manner in which nature, human and feeling are expressed, it is shown that Waka has contributed to the profound meaning creation by embracing Buddhism as a means of interpretation. It is noteworthy that a combination of religion and literature was devised as a way to overcome the chaos of medieval Japan. Harmonized broad-mindedness that neither discriminates nor makes a difference resolved human conflicts, and promoted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classes. Nonetheless, restricting literature’s own lyricism and expressiveness by arbitrary adaptation to the Buddhist framework is a limitation of medieval Buddhist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구성과 배치의 의미
      • Ⅲ. 무주의 불교 와카론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구성과 배치의 의미
      • Ⅲ. 무주의 불교 와카론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선, "한ㆍ 일 불교 歌論의 비교 고찰 ― 『均如傳』과 『沙石集』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16) : 33-58, 2009

      2 정천구, "와카(和歌)에 대한 밀교적 해석 ㅡ『샤세키슈 (沙石集)』를 중심으로" (8) : 37-70, 2013

      3 무주이치엔, "모래와 돌 (상.하)" 소명출판 2008

      4 追塩千尋, "無住の本地垂迹説と神" 13 : 2010

      5 山下 正治, "沙石集の研究(2) : 西行と無住の歌論について" (45) : 51-68, 1972

      6 渡邊網也, "日本古典文学大系<第85>" 岩波書店 1966

      7 小島孝之,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52)" 2001

      8 稲田繁夫, "中世歌論に及ぼした仏教思想の影響" 長崎大学教育学部人文科学研究報告 2001

      9 山本章博, "上智大学国文学論集" 2007

      10 엄인경, "『쓰레즈레구사(徒然草)』 모두(冒頭)의 문제― 광언기어관(狂言綺語観)과 관련하여 ―" 한국일본학회 (65) : 437-456, 2005

      1 최정선, "한ㆍ 일 불교 歌論의 비교 고찰 ― 『均如傳』과 『沙石集』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16) : 33-58, 2009

      2 정천구, "와카(和歌)에 대한 밀교적 해석 ㅡ『샤세키슈 (沙石集)』를 중심으로" (8) : 37-70, 2013

      3 무주이치엔, "모래와 돌 (상.하)" 소명출판 2008

      4 追塩千尋, "無住の本地垂迹説と神" 13 : 2010

      5 山下 正治, "沙石集の研究(2) : 西行と無住の歌論について" (45) : 51-68, 1972

      6 渡邊網也, "日本古典文学大系<第85>" 岩波書店 1966

      7 小島孝之,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52)" 2001

      8 稲田繁夫, "中世歌論に及ぼした仏教思想の影響" 長崎大学教育学部人文科学研究報告 2001

      9 山本章博, "上智大学国文学論集" 2007

      10 엄인경, "『쓰레즈레구사(徒然草)』 모두(冒頭)의 문제― 광언기어관(狂言綺語観)과 관련하여 ―" 한국일본학회 (65) : 437-456, 2005

      11 최귀묵,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사석집(沙石集)』에 나타난 신불(神佛)관계 양상 비교" 한국문학치료학회 30 : 73-111, 2014

      12 常吉由樹子, "『沙石集』の和歌論 :和歌陀羅尼論の意義と本質』" 49 : 37-5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