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1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을 분석하여 이옥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이옥의 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

      본고는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을 분석하여 이옥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이옥의 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 자체의 미적 특질에 주목한 작가였다. 일반의 사람들이 꽃의 향기와 자태에 주목하는데 반해 이옥은 꽃에서 변화와 소멸을 발견했다. 그가 꽃에서 느끼는 미적 체험은 아름다움이 사라지는 소멸의 애상감이었다. 애상감과 무상성이라는 이옥 문체의 특질은 문체반정의 상처 이전에 이미 이옥 안에 내재한 근원적인 감수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벌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존재와 관심의 층위에서 이옥은 벌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 작가였다. 이옥은 벌레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처지를 역전시켜, 벌레가 인간의 어리석음을 질책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물아균시(物我均視)는 이옥의 사물 인식을 규정짓는 말이었다. 사물과 나를 균등하게 보는 입장은 나와 벌레는 존재론적으로 같다는 생각으로 심화되었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존재성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작은 존재들을 존중하고 이들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려 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이 사랑한 물은 노자(老子)의 물이었다. 이옥의 유약하고 조용한 성격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약하고 고요한 노자의 물을 사랑하게끔 이끌었다. 노자의 물에 나타난 유약함과 고요함은 여성의 성질이기도 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옥의 감성이 여성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옥이 사랑한 노자의 물을 통해 그 연관성을 확인했다. 이옥의 벌레, 꽃, 물의 표상을 통해 살핀 그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통찰, 차별 없는 시선, 유연한 감성이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살펴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symbol of worm, flower and water in Ok Rhee’s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him more deeply. Firstly, it reveals the flower of Ok Rhee’s. He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feature of flower itself. People usually catc...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symbol of worm, flower and water in Ok Rhee’s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him more deeply. Firstly, it reveals the flower of Ok Rhee’s. He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feature of flower itself. People usually catch the beauty of flower in its scent and figure, but Ok Rhee found change and extinction in flower. His aesthetic experience from flower is an aesthetics of extinction. His feeling about beauty is based on his grief for extinction. Grief and transience, the feature of his writing style, is his fundamental feeling before his suffering of restoration policy. Next it reveals Ok Rhee’s worm. He had deep concern on worm. He had compassion on it and learned from it. Furthermore, he changed both’s position and considered that worm rebukes people. ‘Mul-A-Kyun-Si’(which means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definition of his ontology. His position of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connected with his thought that self (I) and worm is the same in ontology. He placed the value of worm and people in the same place, considered small things preciously, tried to learn something from them. Finally it reveals the water of Ok Rhee’s. His water was of Noh-Ja. He was weak and quiet. This characters had him love the weak and quiet water of Noh-Ja’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weakness and quietness of Noh-Ja’s water was those of women. It will more progressively be developed to study how to reveal his aesthetic sense, his deep insight of existance and relationship, his equal view and his flexible feeling in his 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사물의 표상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사물의 표상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향남, "李鈺의 ‘벌레(蟲)’에 대한 인식과 문예적 의미" 국어국문학회 (174) : 123-152, 2016

      2 김영진, "李鈺 문학과 明淸 小品-신자료의 소개를 겸하여-" 한국고전문학회 23 : 13-388, 2003

      3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4 김영진, "조선후기의 명청소품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5 안대회, "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태학사 2003

      6 박수밀, "조선후기 散文에 나타난 꽃에 대한 인식과 심미의식" 동방한문학회 (56) : 97-128, 2013

      7 안대회, "조선의 프로페셔널" 휴머니스트 2007

      8 김인구, "이옥의 『백운필』 연구 : 동식물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9 박수밀,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와 그 의미" 우리어문학회 (54) : 325-356, 2016

      10 박현숙, "이옥 소품문의 작품 세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 김향남, "李鈺의 ‘벌레(蟲)’에 대한 인식과 문예적 의미" 국어국문학회 (174) : 123-152, 2016

      2 김영진, "李鈺 문학과 明淸 小品-신자료의 소개를 겸하여-" 한국고전문학회 23 : 13-388, 2003

      3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4 김영진, "조선후기의 명청소품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5 안대회, "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태학사 2003

      6 박수밀, "조선후기 散文에 나타난 꽃에 대한 인식과 심미의식" 동방한문학회 (56) : 97-128, 2013

      7 안대회, "조선의 프로페셔널" 휴머니스트 2007

      8 김인구, "이옥의 『백운필』 연구 : 동식물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9 박수밀,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와 그 의미" 우리어문학회 (54) : 325-356, 2016

      10 박현숙, "이옥 소품문의 작품 세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1 이현우, "이옥 소품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2 신익철, "이옥 문학의 일상성과 사물 인식" 한국실학학회 (12) : 181-213, 2006

      13 박지원, "열하일기 2" 돌베개 2009

      14 강희안, "양화소록" 2012

      15 한영규, "소품문 글쓰기와 ‘林園經濟’ -李鈺의 『白雲筆』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8 (18): 907-931, 2008

      16 이옥, "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 태학사 2001

      17 최진석, "도덕경" 소나무 2001

      18 오강남, "도덕경" 현암사 1999

      19 잔스 추앙, "도교와 여성" 창해 2005

      20 노먼 지라르도, "도교와 생태학"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21 강민경, "도교 문학에 나타난 생태 여성주의" 한국도교문화학회 (47) : 139-165, 2017

      22 김백희, "도가의 생태윤리적 조명" 한국동서철학회 (55) : 151-174, 2010

      23 김갑수, "도가사상의 페미니즘적 전망"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8 (18): 7-47, 2007

      24 김려, "담정총서 전6권" 학자원 2014

      25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노자강의" 예문서원 2004

      26 김경미,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 - 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48) : 367-400, 2015

      27 김동석, "白雲筆硏究" 한국고전번역원 30 (30): 169-214, 2007

      28 이옥, "完譯李鈺全集" 휴머니스트 2009

      29 정민,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2007

      30 송호빈,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8 : 127-158, 2010

      31 정민,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한국한문학회 (35) : 37-73,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