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의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 연구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7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 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국...

      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 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중독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 적 욕구가 반영되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심리변인(관계의 질), 페이스북 이용동 기(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 등 인간의 관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독립변인을 활용하여 페이스북 중독을 예측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 활용 (페이스북 정보 활용) 등의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변인(관계의 질)과 사회적 연결(교류 자 수)은 페이스북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심리변인(관계의 질)은 페 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를 통해 간접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페이스북 정보 활용과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의 질을 향 상하고자 하는 심리적 차원에 있다기보다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유발되는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페이스북을 통한 정보 활용 행위, 즉 페이스북 이용 습관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Facebook usage is surging at global levels, concern is growing over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s, a group living in one of the most wired countries in the wo...

      As Facebook usage is surging at global levels, concern is growing over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s, a group living in one of the most wired countries in the world. This study tests the assumption that a person becomes addicted to Facebook due to his or her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It thus examines such influences on the tendency of Facebook addiction as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motive, and number of Facebook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use Facebook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Facebook. Another factor influencing one's inclination to Facebook addiction is quality of relationship, which impacts one's motivation to make use of Facebook.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motive influenced both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information-gathering habits via Facebook. The study finds that two determining factors of Facebook addiction are usage pattern of Facebook and communication motive. What does not explain a person's tendency towards Facebook addiction is that person's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2. 이론적 논의 및 연구가설
      • 1) 사회심리적 변인(관계의 질)이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 2) 사회심리적 변인(관계의 질)이 페이스북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요약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2. 이론적 논의 및 연구가설
      • 1) 사회심리적 변인(관계의 질)이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 2) 사회심리적 변인(관계의 질)이 페이스북 중독에 미치는 영향
      • 3) 페이스북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과 페이스북 이용동기, 페이스북 정보 활용의관계에 관한 논의
      • 4)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에 관한 논의
      • 3.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변인의 측정
      • 3) 분석방법
      • 4. 연구결과
      • 1) 측정모형의 검증
      • 2)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주리, "휴대전화 중독 척도 개발 타당성 검증" 226-247, 2004

      2 김정기,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 황성욱,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91) : 68-95, 2011

      4 이지은, "페이스북 이용과 대인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한․미 문화 간 비교 연구: 자아개념과 자기노출, 대인불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57-281, 2013

      5 이희경,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 요인이 게임몰입과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55-380, 2003

      6 박웅기,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305-342, 2013

      7 이인숙, "일부 간호대학생들의 sNS 중독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25 (25): 22-30, 2012

      8 김형석, "이용자의 퍼스낼리티와 SNS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6 (6): 167-175, 2012

      9 김양은, "온라인게임 이용이 게임 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355-377, 2007

      10 송혜진, "스마트폰 이용을 통한 SNS 중독에 관한 연구" 31-49, 2012

      1 한주리, "휴대전화 중독 척도 개발 타당성 검증" 226-247, 2004

      2 김정기,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 황성욱,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91) : 68-95, 2011

      4 이지은, "페이스북 이용과 대인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한․미 문화 간 비교 연구: 자아개념과 자기노출, 대인불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57-281, 2013

      5 이희경,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 요인이 게임몰입과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55-380, 2003

      6 박웅기,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305-342, 2013

      7 이인숙, "일부 간호대학생들의 sNS 중독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25 (25): 22-30, 2012

      8 김형석, "이용자의 퍼스낼리티와 SNS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6 (6): 167-175, 2012

      9 김양은, "온라인게임 이용이 게임 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355-377, 2007

      10 송혜진, "스마트폰 이용을 통한 SNS 중독에 관한 연구" 31-49, 2012

      11 황정은, "수줍음이 친구관계 질의 하위 요인을 매개로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65-89, 2009

      12 이원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44-79, 2011

      13 이상호,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55-265, 2013

      14 김위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50-171, 2012

      15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 : 71-105, 2011

      16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간의 이용동기와 만족 비교"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5-32, 2013

      17 유현숙, "사회불안 및 페이스북 이용동기가 SNS 중독과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2013

      18 우형진,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 동기,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온라인 게임, 인터넷, 휴대폰 중독 비교 분석" 한국방송학회 21 (21): 101-140, 2007

      19 문성철, "라이프스타일, 구매성향, 복합시간성향이 스마트폰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9) : 101-143, 2011

      20 강현욱, "대학생의 SNS중독성향과 사회적 지지, 외로움, 건강지각, 대인관계의 관계와 신체활동을 통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21-133, 2013

      21 이준흠,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 73%, 2년 새 3배 증가"

      22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3 정우철, "개 정부부처 연합, 인터넷&스마트 중독 대응"

      24 오영탁, "‘대인 불안지수’ 높은 한국 SNS에 목 맨다"

      25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UN Broadband Commission releases latest country-by-country data on state of broadband access worldwide"

      26 Kalpidou, M.,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and the well-being of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14 (14): 183-189, 2011

      27 Ellison, N. E., "The benefits of Facebook"friends" :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12): 1143-1168, 2007

      28 Osborne, C., "South Korea hits 100% mark in wireless broadband" CNET

      29 boyd, D.,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7

      30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31 김형석, "SNS의 이용동기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48-553, 2012

      32 Kuss, D. J.,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8 (8): 3528-3552, 2011

      33 Barker, V., "Older adolescents' motivations for social network site use : The influence of gender group ident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12 (12): 209-213, 2009

      34 Raacke, J., "MySpace and Facebook : Applying the use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11 (11): 169-174, 2008

      35 Young, K. 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Vol. 17" Professional Resource Press 19-31, 1999

      36 박준기, "IT서비스품질과 관계품질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55-365, 2010

      37 Kirschner, P. A.,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ce" 26 (26): 1237-1245, 2010

      38 Andreassen, C. S.,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110 (110): 501-517, 2012

      39 Hong, F. Y.,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Facebook usage, and Facebook addiction model of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Advance online publication 2014

      40 Spanos, Y. E., "An examination into the casual logic of rent generation : Contrasting Poter's competitive strategy framework and the resource-based perspective" 22 (22): 907-934, 2001

      41 Echeburua, E., "Addiction to new technologies and to online social networking in young people : A new challenge" 22 (22): 91-95, 2010

      42 Lampe, C., "A Face(book) in the crowd: Social searching vs. social browsing" 2006

      43 이정기, "10대의 휴대폰 이용 동기와 중독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 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3 (23): 296-33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