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 Ethnic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3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In particular, the analysis seeks to identify the processes how the ethic nationalism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multiculturalism in 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In particular, the analysis seeks to identify the processes how the ethic nationalism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dominance of collective nationalism, liberalism had a difficult time taking root in Korea. The principle of bloodline defines the notion of Korean nationhood and citizenship, which leads to discrimination to immigrants and social minorities and the formation of the ethnocentric-Korean type multiculturalism. Because the notion of nation is closely linked to political legitimacy in Korea, the state's role has to enforce an uniformity against the complexity and the growing diversity in formation of muticulturalism. Nevertheless, South Korean society will be gradually transformed into more plural, multicultural, and open one by globalization and the expansion of democ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강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다문화주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에 관한 ...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강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다문화주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에 관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을 검토한 후, 한국의 민족주의가 다문화주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파악하였다. 한국의 뿌리 깊은 종족-혈통적 민족주의는 한국 근대사에서 자유주의의 발달을 저해하였고, 보편적 인권을 바탕으로 하는 시민적 국민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강한 혈연중심 민족주의 정서는 이주자와 소수자에 대한 배타적 태도와 차별로 이어졌고 동화주의에 가까운 한국식 다문화주의를 형성하게 하였다. 산업화, 세계화와 같은 주요 사회변혁과정에서 한국인들이 과거 채택하였던 민족주의 접근방법은 다문화주의 형성과정에서도 상당 부분 재현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의 단일민족주의는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주요 이념이었기 때문에 국가의 역할 또한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유입인구의 증가와 민주주의 이념의 확대는 현재와 같은 제한된 한국형 다문화주의를 다원적 다문화주의로 서서히 변화시킬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579-591, 2009

      4 강원택,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편), In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동아시아연구원 15-38, 2006

      5 송호근,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삼성경제연구소 2006

      6 김남국, "한국에서 다문화주의 논의의 전개와 수용" (80) : 343-361, 2008

      7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8 임지현, "한국사학계의 ‘민족’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26 : 114-137, 1994

      9 김혜숙,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주의:열린 주체 형성의 문제" 철학연구회 76 (76): 203-218, 2007

      10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21-56, 2007

      1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579-591, 2009

      4 강원택,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편), In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동아시아연구원 15-38, 2006

      5 송호근,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삼성경제연구소 2006

      6 김남국, "한국에서 다문화주의 논의의 전개와 수용" (80) : 343-361, 2008

      7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8 임지현, "한국사학계의 ‘민족’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26 : 114-137, 1994

      9 김혜숙,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주의:열린 주체 형성의 문제" 철학연구회 76 (76): 203-218, 2007

      10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21-56, 2007

      11 전영준, "신라사회에 유입된 서역 문물과 다문화적 요소의 검토(편), In 다문화의 이해" 경진문화 2009

      12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후마니타스 2008

      13 권혁범, "민족주의와 발전의 환상" 솔 2000

      14 안호상, "민족사상의 정통과 역사" 한뿌리 1992

      15 김이선,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6 Kymlicka, W., "다문화주의 시민권" 동명사 1996

      17 김은미, "다문화사회, 한국" 나남 2009

      18 천선영, "다문화사회' 담론의 한계와 역설" 한독사회과학회 14 (14): 363-380, 2004

      19 박성혁, "다문화교육정책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 모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97-127, 2009

      20 박윤경,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10

      21 김희정,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57-79, 2007

      22 김형완, "[야! 한국사회] 위선의 다문화주의"

      23 Alford, F., "Think no evil : Korean valu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24 Duncan, J., "Proto-nationalism in pre-modern Korea, In Perspectives on Korea" Wild Peony Press 198-221, 1998

      25 Hobsbawm, E.,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6 Habermas, J, "National unification and popular sovereignty" 219 : 3-13, 1996

      27 Eum, H., "Minjok as a modern and democratic construct: Shin Chaeho's historiography of Korea, In Colonial modernity i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336-361, 1999

      28 Kim, S., "Korea and globalization: a framework for analysis, In Korea's glob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8, 2000

      29 Shin, K., "Ethnic nationalism in Korea :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30 Brubaker, R.,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France and German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31 Manent, P., "An intellectual history of libe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32 김동춘,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 맑스주의 이론의 성격변화와 한국 사회과학" 21 (21): 302-328,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