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수출전선의 첨병, ‘상사맨’의 등장과 ‘신화’ = Frontline Soldiers of Korea’s Export Drive: The Emergence and Myth of the Sangsa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44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70~1980년대 수출을 주력으로 삼은 한국 산업화과정에서 새롭게 부상한 종합무역상사의 세일즈맨, 곧 상사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상사맨의 등 장부터 이들에 대한 사회적 조명은 어떠한 계기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를 통해 이미지화된 ‘상사맨’을 두고 사회와 기업은 무엇을 강조하고 활용하였는지, 나아가 이는 어떻게 변화되어 나갔는지, 또한 실제 상사맨의 삶과 활동은 어떠 하였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상사맨’은 당대 자본-기업의 특화된 조건과 필요에따라 호명된 주체이자 결과적으로 한국 자본주의사회의 능력주의와 경쟁을 가속 화·당연시하는 데 중요 역할을 담당했다.
      번역하기

      본고는 1970~1980년대 수출을 주력으로 삼은 한국 산업화과정에서 새롭게 부상한 종합무역상사의 세일즈맨, 곧 상사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상사맨의 등 장부터 이들에 대한 사회적 조명...

      본고는 1970~1980년대 수출을 주력으로 삼은 한국 산업화과정에서 새롭게 부상한 종합무역상사의 세일즈맨, 곧 상사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상사맨의 등 장부터 이들에 대한 사회적 조명은 어떠한 계기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를 통해 이미지화된 ‘상사맨’을 두고 사회와 기업은 무엇을 강조하고 활용하였는지, 나아가 이는 어떻게 변화되어 나갔는지, 또한 실제 상사맨의 삶과 활동은 어떠 하였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상사맨’은 당대 자본-기업의 특화된 조건과 필요에따라 호명된 주체이자 결과적으로 한국 자본주의사회의 능력주의와 경쟁을 가속 화·당연시하는 데 중요 역할을 담당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the sangsaman (상사 맨)—salesmen working in general trading companies who rose to prominence during Korea’s export-driven industrialization of the 1970s and 1980s. It explores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rise of the sangsaman, how they came under public attention, and how their image was constructed, emphasized, and strategically utilized by both corporations and society. The study further traces how this image evolved over time and compares it with the lived realities and work experiences of sangsamen themselves. As subjects shaped by the particular demands of capital and enterprise during this transformative period, ‘sangsamen’ ultimately played a key role in normalizing and accelerating meritocracy and competition in Korean capitalist socie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the sangsaman (상사 맨)—salesmen working in general trading companies who rose to prominence during Korea’s export-driven industrialization of the 1970s and 1980s. It explores the conditions th...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the sangsaman (상사 맨)—salesmen working in general trading companies who rose to prominence during Korea’s export-driven industrialization of the 1970s and 1980s. It explores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rise of the sangsaman, how they came under public attention, and how their image was constructed, emphasized, and strategically utilized by both corporations and society. The study further traces how this image evolved over time and compares it with the lived realities and work experiences of sangsamen themselves. As subjects shaped by the particular demands of capital and enterprise during this transformative period, ‘sangsamen’ ultimately played a key role in normalizing and accelerating meritocracy and competition in Korean capitalist socie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