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 과정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78830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100
서울
vi, 73 p. ; 26 cm
지도교수: 이승연
I804:11048-0000002423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 과정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 과정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5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SPSS 25.0과 Mplus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 간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 을 통해 성별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 간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토한 결과, 감정표현불능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애착불안이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쳐 데이트폭력 가해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애착불안이 데이트폭력 가해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애착불안이 타인과의 친밀감에 대한 과도한 욕구와 버려짐에 대한 민감성을 특징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로는 데이트폭력 가해를 촉발하지 않으며, 감정표현불능을 거치거나,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과정을 통해서만 데이트폭력 가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다집단 분석 결과, 모든 경로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뿐 아니라, 모든 간접효과에서도 성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에만 애착불안이 감정표현불능을 통해 데이트폭력 가해로 이어지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성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 간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녀 집단 모두에서 우울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남녀 집단 모두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을 모두 거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했을 뿐 아니라, 특히 남성 집단에서만 애착불안이 감정표현불능을 거쳐 데이트폭력 가해에 기여하는 유의한 양상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데이트폭력 가해를 예방, 개입하기 위해 감정표현불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는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and investigating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and investigating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data from 452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8.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Furthermore, multigroup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SEM pathways across gend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indicated that alexithymia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operating first through alexithymia and subsequently through de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Notably, attachment anxiety did not directly predict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This suggests that despite attachment anxiety being characterized by excessive desire for intimacy and heightened sensitivity to rejection, it does not directly trigge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Instead, it operates through alexithymia or through the sequential pathway involving both alexithymia and depression. Second,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any of the direct or indirect pathways. However, for males only, attachment anxie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via alexithymia, suggesting potential gender-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diating roles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highlighting that depression's mediating role was non-significant for both genders. Moreover,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alexithymia in preventive and intervention efforts, as the sequential mediation through alexithymia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for both genders, and the unique pathway through alexithymia was significant only in males. These results underline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alexithymia as a critical factor in addressing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