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고려대장경판의 이안 시기와 그 배경 및 사원의 위상 변화를 진단하였다. 기존 연구성과와 그 근거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새로운 자료도 발굴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67962
2012
Korean
911.005
KCI등재
학술저널
319-390(7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고려대장경판의 이안 시기와 그 배경 및 사원의 위상 변화를 진단하였다. 기존 연구성과와 그 근거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새로운 자료도 발굴하...
본 논문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고려대장경판의 이안 시기와 그 배경 및 사원의 위상 변화를 진단하였다. 기존 연구성과와 그 근거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새로운 자료도 발굴하여 활용하면서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따르면, 현재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수용하고 있는 태조 7년(1398) 5월 해인사로 이안했다는 핵심적인 근거로 삼고 있는 『태조실록』 권14, 태조 7년 5월 병진 및 무오, 『정종실록』권1, 정종 원년 정월 경진 등과 같은 기록은 필요충분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다른 여러 자료를 통해 이안 시기는 충숙왕 5년(1318) 11월 이후부터 공민왕 9년(1360) 윤5월을 전후한 인접 시기이전까지라고 잠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해인사의 이안 배경은 지리적으로 봉안의 지속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역대실록 등 국가의 중요 자료를 보관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가졌으며, 11세기 이래 해인사의 고려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 필요한 敎學的 연구 역량이나 경판 판각의 인적·물적 기반과 역량 등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판각을 위한 기반과 역량은 고려대장경판의 이안 이후 훼손된 경판의 보완을 위한 현실적인 조건이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고려대장경판이 해인사로 이안된 이후에는 사원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었다. 특히 불교를 억제한 조선 왕조에서도 『고려대장경』을 국보로 인식되면서 해인사의 위상도 확보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developed primarily in an effort to analyz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and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time. According to my analysis, I have concluded that the Tripi...
This paper was developed primarily in an effort to analyz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and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time. According to my analysis, I have conclud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ere enshrined at Haein-sa sometime between November of the 5th year of King Chungsugwang`s reign (1318) and May (leap month) of the 9th year of King Gongminwang`s reign (1360). In particular, the record of May of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which has been widely embraced by researchers, I deem insufficient to establish an accurate timeframe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The reasons for moving the Rripitaka Koreana woodblocks to Haein-sa are as follows` Geographically, it ensured lasting stability; Haein-sa had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preserve important national documents, such as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t had research capabilities, experience in doctrinal studies and the manpower and resources to reproduce Tripitaka Koreana printing woodblocks which was a practical consideration for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damaged printing blocks afte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ere moved to Haein-sa. The enshrinement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levated the status of Haein-sa.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Buddhist community,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has regarded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s an important national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판본의 특징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국역 고려사』 완간과 학술적 의의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국역 고려사』의 도전, 그리고 한계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고려 역법의 이해, 『국역 고려사 역지』 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