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시장상황이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y and market situation on real estate investment : Focus on the real estate market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34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가 2017년 8월 2일 발표한 ‘8·2 부동산 대책’ 이후 부산 지역 부동산 가격이 100주 이상 연속 하락하면서 거래량과 주택가격 동반 하락을 겪는 등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있는 현 시점에서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측면에서는 부산 지역 조정대상지역 선정으로 인한 대출제한, 양도세 중과, 전매제한, 그리고 1순위청약자격제한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부산 지역 시장상황 측면에서는 부산 지역 아파트 공급물량, 부산 지역 주택가격, 그리고 부산 지역 부동산 전망 측면에서 각각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일반투자자 및 부동산업 종사자 341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방법론은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각각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조정대상지역 선정은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정대상지역 선정에 따른 대출제한 및 양도세 강화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상황 중 현재 부산 지역 부동산 공급물량 초과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산 지역 비관적인 부동산 전망 및 낮은 수준의 부동산 가격은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가분석에서 그 외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유세 강화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리 인하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 조정대상지역 부동산 보유 여부 및 조정대상지역 부동산 투자계획 여부에 따라 부산 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2019년 현 시점에서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는 정부정책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 지역 부동산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정부 규제정책의 완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부산 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효과는 향후 정부당국이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부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경기 부진과 함께 부동산 침체가 부산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이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며 연구의 시사점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하나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정부정책, 시장상황,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부가 2017년 8월 2일 발표한 ‘8·2 부동산 대책’ 이후 부산 지역 부동산 가격이 100주 이상 연속 하락하면서 거래량과 주택가격 동반 하락을 겪는 등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

      본 연구는 정부가 2017년 8월 2일 발표한 ‘8·2 부동산 대책’ 이후 부산 지역 부동산 가격이 100주 이상 연속 하락하면서 거래량과 주택가격 동반 하락을 겪는 등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있는 현 시점에서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측면에서는 부산 지역 조정대상지역 선정으로 인한 대출제한, 양도세 중과, 전매제한, 그리고 1순위청약자격제한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부산 지역 시장상황 측면에서는 부산 지역 아파트 공급물량, 부산 지역 주택가격, 그리고 부산 지역 부동산 전망 측면에서 각각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일반투자자 및 부동산업 종사자 341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방법론은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각각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조정대상지역 선정은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정대상지역 선정에 따른 대출제한 및 양도세 강화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상황 중 현재 부산 지역 부동산 공급물량 초과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산 지역 비관적인 부동산 전망 및 낮은 수준의 부동산 가격은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가분석에서 그 외 부동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유세 강화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리 인하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 조정대상지역 부동산 보유 여부 및 조정대상지역 부동산 투자계획 여부에 따라 부산 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2019년 현 시점에서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는 정부정책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 지역 부동산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정부 규제정책의 완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부산 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효과는 향후 정부당국이 부산 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부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경기 부진과 함께 부동산 침체가 부산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이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며 연구의 시사점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하나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정부정책, 시장상황, 부산 지역, 부동산 투자의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5
      • 1. 연구방법 5
      • 2. 논문의 구성 6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 제1절 이론적 배경 8
      • 1. 부동산 투자의 특성 8
      • 2. 부동산 정부정책 10
      • 3. 부동산 시장상황 20
      • 제2절 선행연구 22
      • 1. 정부정책과 부동산 투자 23
      • 2. 시장상황과 부동산 투자 25
      • 3. 기타 부동산 투자 27
      •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8
      • 제3장 연구설계 30
      • 제1절 연구가설 30
      • 1. 정부정책 측면 : 조정대상지역 선정과 투자의향 30
      • 2. 시장상황 측면 : 부동산 시장상황과 투자의향 35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1
      • 1. 연구의 범위 41
      •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1
      • 제4장 실증분석 결과 50
      • 제1절 인구표본의 특성 50
      • 제2절 기술통계량 53
      • 1. 부동산 정부정책(조정대상지역) 53
      • 2. 부동산 시장상황 55
      • 제3절 상관관계 분석 57
      • 제4절 다중회귀분석 60
      • 1. 정부정책 측면 : 조정대상지역 선정과 투자의향 60
      • 2. 시장상황 측면 : 부동산 시장상황과 투자의향 69
      • 제5절 추가분석 73
      • 1. 기타 부동산 투자에 영향 미치는 요인 73
      • 2. 투자자 특성분석 77
      • 3. 정부정책 및 시장상황의 변화 84
      • 제5장 결 론 90
      • 제1절 연구결과 및 공헌점 90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방향 93
      • 참고문헌 95
      • 설문지 104
      • abstract 11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최차순, "“주택가격 거품유무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28 권 제1호, pp.195-217, 2010

      2 권대중, 황종규, 이동주, "“부동산 투자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대 한부동산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51-168, 2017

      3 옥재관, "“인구 변화에 따른 주택시장의 추이”", 동의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9

      4 김종호, 노영학, "“부동산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연구”", 부 동산학보, 제50권 제50호, pp.108-122, 2012

      5 임덕호, 조태진, "“거시경제변수가 지역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디지털경제연구, 제14권, pp.1-21, 2009

      6 양화석, "“부동산마케팅의 투자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7 유원상, 이창석,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부동산 투자와의 상관관 계”", 부동산학보, 제42권, pp.284-298, 2010

      8 박원석, "“수도권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 및 영향요인”", 부 동산연구, 제25권 제3호, pp53-65, 2015

      9 백준석, "“개인투자자 특성별 부동산 투자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0 조윤성,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주택유형별 수요 전망에 관한 연 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 최차순, "“주택가격 거품유무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28 권 제1호, pp.195-217, 2010

      2 권대중, 황종규, 이동주, "“부동산 투자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대 한부동산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51-168, 2017

      3 옥재관, "“인구 변화에 따른 주택시장의 추이”", 동의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9

      4 김종호, 노영학, "“부동산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연구”", 부 동산학보, 제50권 제50호, pp.108-122, 2012

      5 임덕호, 조태진, "“거시경제변수가 지역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디지털경제연구, 제14권, pp.1-21, 2009

      6 양화석, "“부동산마케팅의 투자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7 유원상, 이창석,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부동산 투자와의 상관관 계”", 부동산학보, 제42권, pp.284-298, 2010

      8 박원석, "“수도권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 및 영향요인”", 부 동산연구, 제25권 제3호, pp53-65, 2015

      9 백준석, "“개인투자자 특성별 부동산 투자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0 조윤성,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주택유형별 수요 전망에 관한 연 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강금옥, "“부동산 시장의 환경요인에 대한 투자자의 인식에 관한 연 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박성균, "“주거용과 상업용 부동산의 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비교 연 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정삼석, 하정순, 정상철, "“부동산투자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선호속 성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68권, pp.82-96, 2017

      14 임대봉, "“주택시장의 대출규제(LTV DTI)와 주택가격, 그리고 가계 부채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제48권 제3호, pp.361-381, 2013

      15 고필송, 박창수, "“부동산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시계열분석과 회귀분석 중심으로),”",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 5권 제2호, pp.205-213, 2010

      16 전해정, "“패널공적분을 이용한 거시경제변수 및 주택정책이 주택매 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57권, 251-263, 2014

      17 김리영, 서원석, "시기별 거시경제 환경변화에 따른 주택시장의 가 격변동성 연구 :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을 중심으로", 부동산학 보, 제53권 제53호, pp.99-113, 2013

      18 이용래, 정의철, "“소득변동성이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가구주 근로소득의 변동성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제 23권 제1호, pp.55-78, 2015

      19 안상현, "“조선 산업이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과 정책적 대안 연구 -경남 거제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9

      20 강지원, "“양도소득세제 변화에 따른 주택시장 분석 : System Dynamics를 이용한 주택시장의 장기예측모형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