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 분석 = Analysis on Overeducation and High-education Attainments of Youth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5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alysis on Overeducation and High-education Attainments of Youth in KoreaJooseop KimOvereducation has been a hot issue in Korean labor market since 1990's from when the higher education started to expand rapidly. This study aims to overview the current state of the overeducation, and analyse the determinants of probability of overeducation, the change of overeducation states, and the penalty in wage premium of surplus education. Several facts were found from this study. Firstly, other things equal, older individuals, drop-outs, non-standard workers, and workers in service sector have higher probability of falling into overeducation. Secondly, the married individuals have lower probability of escaping from overeducation state, while two year college graduates and the individuals with higher tenure have higher probability of escaping from overeducation state. Thirdly, the average wage penalty for the surplus education in Korea is small, compared to the other major countries.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labor policies need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services especially for the disadvantaged, and the expansion of labor market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the under-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This study also predicts that the clarification of job description, introduction of reasonable reward system in workplace would reduce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and the inefficiency caused by the overeducation.
      번역하기

      Analysis on Overeducation and High-education Attainments of Youth in KoreaJooseop KimOvereducation has been a hot issue in Korean labor market since 1990's from when the higher education started to expand rapidly. This study aims to overview the curre...

      Analysis on Overeducation and High-education Attainments of Youth in KoreaJooseop KimOvereducation has been a hot issue in Korean labor market since 1990's from when the higher education started to expand rapidly. This study aims to overview the current state of the overeducation, and analyse the determinants of probability of overeducation, the change of overeducation states, and the penalty in wage premium of surplus education. Several facts were found from this study. Firstly, other things equal, older individuals, drop-outs, non-standard workers, and workers in service sector have higher probability of falling into overeducation. Secondly, the married individuals have lower probability of escaping from overeducation state, while two year college graduates and the individuals with higher tenure have higher probability of escaping from overeducation state. Thirdly, the average wage penalty for the surplus education in Korea is small, compared to the other major countries.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labor policies need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services especially for the disadvantaged, and the expansion of labor market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the under-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This study also predicts that the clarification of job description, introduction of reasonable reward system in workplace would reduce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and the inefficiency caused by the over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이후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하향취업 문제와 이로 인한 학력과잉 문제가 노동시장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이러한 교육․노동정책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중앙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1차년도 및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력과잉의 개괄적 실태를 살펴보고, 학력과잉 발생확률 결정요인과 학력과잉 상태변화, 학력과잉으로 인한 임금손실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분석 결과 여타 조건이 일정할 때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과잉 상태에 빠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퇴자나 재학생에 비해서 졸업을 한 경우가, 그리고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이, 산업별로는 3차산업에 속한 근로자가 학력과잉에 빠질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기혼자의 경우 학력과잉 상태에서 탈출할 가능성이 적으며, 근속연수가 높을수록 학력과잉 상태를 탈피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문대졸자의 경우 적정학력으로의 상태변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국의 경우에 비해 학력과잉으로 인한 임금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력과잉으로 인한 인적자원의 저활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용서비스 선진화, 노동시장 정보 확충 등의 정책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며, 기업에서 직무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직무평가와 직무에 대한 보상체계가 합리적으로 개선될 경우 고학력에 대한 수요는 현재 수준보다는 낮아질 것이고, 고학력화로 인한 비효율이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90년대 이후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하향취업 문제와 이로 인한 학력과잉 문제가 노동시장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이러한 교육․노동정책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초 ...

      1990년대 이후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하향취업 문제와 이로 인한 학력과잉 문제가 노동시장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이러한 교육․노동정책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중앙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1차년도 및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력과잉의 개괄적 실태를 살펴보고, 학력과잉 발생확률 결정요인과 학력과잉 상태변화, 학력과잉으로 인한 임금손실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분석 결과 여타 조건이 일정할 때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과잉 상태에 빠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퇴자나 재학생에 비해서 졸업을 한 경우가, 그리고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이, 산업별로는 3차산업에 속한 근로자가 학력과잉에 빠질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기혼자의 경우 학력과잉 상태에서 탈출할 가능성이 적으며, 근속연수가 높을수록 학력과잉 상태를 탈피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문대졸자의 경우 적정학력으로의 상태변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국의 경우에 비해 학력과잉으로 인한 임금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력과잉으로 인한 인적자원의 저활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용서비스 선진화, 노동시장 정보 확충 등의 정책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며, 기업에서 직무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직무평가와 직무에 대한 보상체계가 합리적으로 개선될 경우 고학력에 대한 수요는 현재 수준보다는 낮아질 것이고, 고학력화로 인한 비효율이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성, "한국의 숙련형성" 한국노동연구원 1992

      2 정태화, "한국의 과잉교육 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94

      3 조우현, "한국산업의 이중적 구조와 임금결정 메카니즘" 1992

      4 류장수, "한국노동시장의 숙련별 분단구조" 1993

      5 김주섭, "학력과잉과 노동시장 불균형 실태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6 정진호, "학력간 임금격차의 변화와 요인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4

      7 장원섭,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8 김기헌, "하향취업 실태와 과잉교육 노동자의 특성" 한국노동연구원 (3) : 1-11, 2003

      9 박천수, "청소년의 과잉학력 현상이 인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고용정보원 199-225, 2004

      10 이주호, "청년층 고용문제와 대책" 한국개발연구원 1996

      1 박기성, "한국의 숙련형성" 한국노동연구원 1992

      2 정태화, "한국의 과잉교육 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94

      3 조우현, "한국산업의 이중적 구조와 임금결정 메카니즘" 1992

      4 류장수, "한국노동시장의 숙련별 분단구조" 1993

      5 김주섭, "학력과잉과 노동시장 불균형 실태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6 정진호, "학력간 임금격차의 변화와 요인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4

      7 장원섭,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8 김기헌, "하향취업 실태와 과잉교육 노동자의 특성" 한국노동연구원 (3) : 1-11, 2003

      9 박천수, "청소년의 과잉학력 현상이 인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고용정보원 199-225, 2004

      10 이주호, "청년층 고용문제와 대책" 한국개발연구원 1996

      11 이병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0

      12 조우현, "유휴인력과 인력난 병존의 경제분석" 19 : 1996

      13 어수봉, "우리 나라 일궁합 실태와 노동이동" 한국노동경제학회 1994

      14 조영철, "산업구조 변화와 직업불일치" 47집 (47집): 1999

      15 김형만, "대졸실업자 직업교육훈련 정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6 최강식, "기술진보와 노동시장의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1997

      17 정진화, "고학력화와 인력정책의 방향" 산업연구원 1996

      18 박세일, "고등교육확대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I-II 한국개발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9821983

      19 "‘Over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Journal of Labor Economic 9" 1991

      20 Norton Grubb, "The Varied Economic Returns to Postsecondary Education -New Evidence from the Class of 1972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spring1993

      21 Frenette, M, "The Overqualified Canadian Graduate: the Role of the Academic Program in the Incidence, Persistence, and Economic Returns to Overqualification" 23 (23): 29-45, 2004

      22 Jones, S. R. G, "The Measurement of Unemploy- ment: an Empirical Approach" 67 (67): 147-161, 1999

      23 Duncan, "The Incidence and Wage Effects of Overducation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 75-86, 1981

      24 Dolton, P, "The Incidence and Effects of Overeducation in the U.K. Graduate Labour Market" 19 (19): 179-198, 2000

      25 Tsang, "The Impact of Underutilization of Education on Productivity a Case Study of the US Bell Companies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6" 149-158, 1987

      26 Mun, "The Impact of Surplus on Worker Productivity" spring1991

      27 Mun C, "The Impact of Surplus Schooling on Worker Productivity" 1991

      28 Russell W, "The Impact of Surplus Schooling on Productivity and Earnings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2" 1991

      29 Rumberger, "The Impact of Surplus Schooling on Productivity and Earnings Journal of Human Resources 22" 24-50, 1987

      30 Tsang, "The Impact of Surplus Schooling on Productivity" 209-228, 1991

      31 Verdugo, "The Impact of Surplus Schooling on Earnings Journal of Human Resources 24" 629-643, 1989

      32 Vahey, S. P, "The Great Canadian Training Robbery: Evidence on the Returns to Educational Mismatch" 19 (19): 219-227, 2000

      33 Mellor, J. M, "The Effect of Family Planning Programs on the Fertility of Welfare Recipients: Evidence from Medicaid Claims" 33 (33): 866-895, 1998

      34 Daniel S, "The Economics of Job Satisfaction Department of Labor" 1974

      35 Cohn, "The Economics of Education" 1979

      36 Card, D, "The Causal Effect of Education on Earning" Amsterdam: North-Hollan 1801-1863, 1999

      37 Eugene A, "Schooling as Human Capital or a Signal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6" 1994

      38 Daly, M. C, "Premiums and Penalties for Surplus and Deficit Education: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19 (19): 169-178, 2000

      39 Finnie, R, "Post-secondary Graduates: Holding their Own in Terms of Employment Rates and Earnings Patterns" 7 (7): 48-64, 1999

      40 Frenette, M, "Overqualified? Recent Graduates, Employer Needs" 13 (13): 45-53, 2001

      41 Rumberger, "Overeducation in the U" 1981

      42 Groot, W, "Over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a Meta-analysis" 19 (19): 149-158, 2000

      43 Sicherman,N, "Over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9 (9): 101-122, 1991

      44 Alfonso Alba-Ramirez, "Mismatch in the Spanish Labor Market - 학력과잉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1993

      45 Freeman, "Longitudinal Analyses of the Effects of Trade Unions Journal of Labor Economics 2" 1-26, 1984

      46 Bauer, T. K, "Educational Mmismatch and Wages: a Panel Analysis" 21 (21): 221-229, 2002

      47 Belfield Clive R, "Economic Principles for Ecucation - Theory and Evidence" Edward Elgar 2000

      48 Freeman Richard B, "Demand for Educatio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North Holland Press 1986

      49 O, "A Theory of Career Mobil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8" 169-192, 1990

      50 어수봉, "21세기 노동시장정책" 한국노동연구원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