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한국의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1999~2013) 전개와 특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92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탈추격형 혁신체제가 강조됨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기술역량 향상에 초 점을 맞춰온 기존의 방식과 달리 문제해결⋅실용화⋅사회적 영향을 모두 아우른 통합적 접 근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R&D예산의 효과적⋅효율적 집행과 성과관리가 중요 한 과제이나, 기존의 성과평가제도는 획일적 평가, 양적지표 위주 등으로 인해 한계를 가지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평가의 진화과정을 조사⋅분석⋅평가 체제와 1,2차 성과평가기본계획 체제 세 시기로 나누 어 제반 법⋅제도, 평가체제 및 내용, 평가의 활용 등의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성과평가제도는 조사⋅분석⋅평가에서 1차 기본계획, 2차 기본계획으로 이행되면서 R&D자원 투입에 따른 양적 성과관리 위주에서 연구사업의 다각적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평가인프라, 표준성과지표 등 평가체계의 고도화⋅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다수 마련되었다. 1차 기본계획에서는 과학기술행정체 계의 잦은 개편이 성과평가 진화의 일관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2차 기본계획 이후 체계가 안정화되면서 성과평가제도는 우리나라 혁신시스템 전환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 선되고 있다.
      번역하기

      탈추격형 혁신체제가 강조됨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기술역량 향상에 초 점을 맞춰온 기존의 방식과 달리 문제해결⋅실용화⋅사회적 영향을 모두 아우른 통합적 접 근을 필요로 한다. ...

      탈추격형 혁신체제가 강조됨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기술역량 향상에 초 점을 맞춰온 기존의 방식과 달리 문제해결⋅실용화⋅사회적 영향을 모두 아우른 통합적 접 근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R&D예산의 효과적⋅효율적 집행과 성과관리가 중요 한 과제이나, 기존의 성과평가제도는 획일적 평가, 양적지표 위주 등으로 인해 한계를 가지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평가의 진화과정을 조사⋅분석⋅평가 체제와 1,2차 성과평가기본계획 체제 세 시기로 나누 어 제반 법⋅제도, 평가체제 및 내용, 평가의 활용 등의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성과평가제도는 조사⋅분석⋅평가에서 1차 기본계획, 2차 기본계획으로 이행되면서 R&D자원 투입에 따른 양적 성과관리 위주에서 연구사업의 다각적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평가인프라, 표준성과지표 등 평가체계의 고도화⋅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다수 마련되었다. 1차 기본계획에서는 과학기술행정체 계의 잦은 개편이 성과평가 진화의 일관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2차 기본계획 이후 체계가 안정화되면서 성과평가제도는 우리나라 혁신시스템 전환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 선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New Public Management’ since the 1980s. The 1997 IMF crisis in Korea has necessitated the overhaul of S&T policy strategies in Korea. Reflecting this, effectiv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T investment and resources has emerged as a crucial policy agenda, while expansionary investment in S&T maintained. During the period of 1999-2005, the R&D evaluation has been more focused on the input side and execution processes than on the results of R&D. Evaluation results were to be reflected in the budgeting of national R&D, but there were some disputes over how to make use of evaluation results between the budgeting ministry and the evaluation agency partly because they were two separate entities. After the advent of the new government(1998-2003) which advocated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society’, the national R&D evaluation system has evolved through a new legislati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Agency to build up the unique framework for national R&D evaluation differentiated from the assessment system for general government investment programs. Most recently, due to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 in 2013, various components of national R&D evaluation seem to move on a new evolutionary track. For example, different types of evaluation are being developed and tried in accordance with differing evaluation goals, and the individual ministries and the research councils has got more enhanced autonomy and responsibility regarding R&D evaluation. So-called 'tailored' evaluation method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institutes / organizations to be evaluated, are now being tried. Competences of evaluation experts and agencies has also to be improved and strengthened.
      번역하기

      The national 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New Public Management’ since the 1980s. The 1997 IMF crisis in Korea has necessitated the overhaul of S&T policy strategies in Korea. Reflecting this, effective distri...

      The national 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New Public Management’ since the 1980s. The 1997 IMF crisis in Korea has necessitated the overhaul of S&T policy strategies in Korea. Reflecting this, effectiv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T investment and resources has emerged as a crucial policy agenda, while expansionary investment in S&T maintained. During the period of 1999-2005, the R&D evaluation has been more focused on the input side and execution processes than on the results of R&D. Evaluation results were to be reflected in the budgeting of national R&D, but there were some disputes over how to make use of evaluation results between the budgeting ministry and the evaluation agency partly because they were two separate entities. After the advent of the new government(1998-2003) which advocated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society’, the national R&D evaluation system has evolved through a new legislati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Agency to build up the unique framework for national R&D evaluation differentiated from the assessment system for general government investment programs. Most recently, due to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 in 2013, various components of national R&D evaluation seem to move on a new evolutionary track. For example, different types of evaluation are being developed and tried in accordance with differing evaluation goals, and the individual ministries and the research councils has got more enhanced autonomy and responsibility regarding R&D evaluation. So-called 'tailored' evaluation method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institutes / organizations to be evaluated, are now being tried. Competences of evaluation experts and agencies has also to be improved and strengthe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개괄
      • Ⅲ. 선행연구 분석 및 분석 틀 설정
      • Ⅳ.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의
      • 진화과정 분석
      • Ⅰ. 서론
      • Ⅱ.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개괄
      • Ⅲ. 선행연구 분석 및 분석 틀 설정
      • Ⅳ.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의
      • 진화과정 분석
      • Ⅴ.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의 한계와
      • 향후 과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지은, "한국혁신시스템의 전환 지향점과 방법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5-108, 2012

      2 성지은, "핀란드 R&D 성과관리의 특징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6) : 2013

      3 공병천, "평가와 예산부문의 성과관리 연계" 한국정책학회 13 (13): 67-89, 2004

      4 송위진, "탈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7

      5 성지은, "탈(脫)추격형 혁신과 통합적 혁신정책" 한국과학기술학회 10 (10): 1-36, 2010

      6 성지은,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7 권명화, "주요국의 성과지향적 R&D 예산조정⋅배분체계의 활용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8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2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안)(2011-2015)"

      9 이장재, "정책과이슈: 국가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국가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조사, 분석, 평가체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2-51, 2007

      10 류영수, "정부의 R&D평가 시스템에 대한 메타평가" 한국정책학회 18 (18): 157-186, 2009

      1 성지은, "한국혁신시스템의 전환 지향점과 방법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5-108, 2012

      2 성지은, "핀란드 R&D 성과관리의 특징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6) : 2013

      3 공병천, "평가와 예산부문의 성과관리 연계" 한국정책학회 13 (13): 67-89, 2004

      4 송위진, "탈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7

      5 성지은, "탈(脫)추격형 혁신과 통합적 혁신정책" 한국과학기술학회 10 (10): 1-36, 2010

      6 성지은,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7 권명화, "주요국의 성과지향적 R&D 예산조정⋅배분체계의 활용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8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2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안)(2011-2015)"

      9 이장재, "정책과이슈: 국가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국가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조사, 분석, 평가체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2-51, 2007

      10 류영수, "정부의 R&D평가 시스템에 대한 메타평가" 한국정책학회 18 (18): 157-186, 2009

      11 이길우,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12 황용수, "정부R&D 성과평가시스템의 진단 및 발전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13 성지은, "저성장시대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지원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14 성지은, "연구개발사업의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가능성과 과제" 2014

      15 김소정, "연구개발 프로세스 평가 체계 및 시스템 개발 : IT 산업을 중심으로" 엘지씨엔에스 10 (10): 59-70, 2011

      16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안)(2006-2010)"

      17 국무조정실, "성과지표 개발⋅관리 매뉴얼"

      18 송위진,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발전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19 김신, "미국 연방정부의 성과관리체계: GPRA 시행 7년의 성과와 교훈"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9 (39): 163-186, 2000

      20 유영철,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있어 성과평가지표적용에 관한 연구: 농업 R&D 경제⋅사회문화⋅환경 지표적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4 (24): 27-49, 2012

      21 이종훈, "국정평가기본법하 통합적 성과관리에 대한 성과관리 전략계획⋅성과관리시행계획 수립 및 집행방안에 대한 연구" 국무조정실 2005

      22 이종훈, "국정평가기본법하 통합적 성과관리에 대한 성과관리 전략계획⋅성과관리시행계획 수립 및 집행방안에 대한 연구" 국무조정실 2005

      23 이재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균형성과표 설계에 대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2 (12): 291-314, 2006

      24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개정)"

      25 김정언,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시스템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26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 1999

      27 이정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실실패제도 개선방안" 한국기술혁신학회 16 (16): 346-366, 2013

      28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실시계획" 2007

      29 류영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측정 방법론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30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31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개선 종합대책(안)"

      32 국무총리실, "국가R&D사업, 평범한 성공보다 도전적인 실패에 중점 지원"

      33 박영아, "국가R&D 조정체계의 발전방향 모색" 명지대학교 원자력기초공동연구소 2008

      34 이준, "국가 R&D 성과평가 및 예산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13 (13): 44-67, 2010

      35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의 행정조직적 특성 및 발전과제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36 성지은,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검토와 새로운 개편방안" 한국행정학회 1-22, 2012

      37 성지은, "과학기술정책결정구조의 변화: 참여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43-264, 2006

      38 주혜정, "과학기술정책 수용의 제도적 맥락과 상이성 - 한국과 미국의 R&D 성과평가제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8 (18): 121-158, 2009

      39 "과학기술기본법"

      40 Donovan, C, "‘Payback Framework’ explained" 20 (20): 181-183, 2011

      41 De Jong, S, "Understanding social impact through studying productive interaction" Rathenau Instituut 2013

      42 Lundvall, B.-A,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Frances Pinter 1988

      43 European Commission, "Smart Innovation: A Practical Guide to Evaluating Innovation Programmes" DG Enterprise and Industry 2004

      44 Callon, M, "Science and Technology in a Policy Context" DSWO Press 1992

      45 MK뉴스, "R&D 평가방식 대전환 필요하다"

      46 Vedung, E, "Public Policy and Program Evaluation" Transaction Publishers 1997

      47 Hyvärinen, Jari, "Measuring additionality and systemic impacts of public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the case of TEKES" 16 (16): 205-215, 2007

      48 Brown, M.G, "Measuring R&D Productivity" 41 (41): 1998

      49 Georghiou, L, "Issue in the Evaluation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Policy" 4 (4): 1998

      50 Boxeman, B, "Evaluating R&D Impacts: Methods and Practice" Kluwer Academic 1993

      51 Noyons E.C.M, "Combining Mapping and Citation Analysis for Evaluative Bibliometric Purpose" 50 : 1999

      52 Coccia, Mario, "A Basic Model for Evaluating R&D Performance: Theory and Application In Italy" 31 (31): 2001

      53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4년도 성과평가 실시계획(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