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허혈성 심전도 변화와 흉통의 발생이 내피세포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Ischemic ECG Change and Chest Pain on Acetylcholine-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during Acetylcholine Provocation Tes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발생하는 흉통과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아세틸 콜린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동맥의 내피세포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흉통으...

      연구배경: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발생하는 흉통과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아세틸 콜린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동맥의 내피세포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흉통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과 아세틸 콜린 유발검사를 시행받은 1,0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를 하는 동안 허혈성 심전도 변화 및 흉통의 발생 유무에 따른 관상동맥 내피세포 기능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539명의 환자에서 아세틸 콜린 검사시 내피세포 기능 장애가 발생 하였다.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있었던 그룹이 심전도 변화가 없었던 그룹보다 흉통이 더 많았고(78.1% vs. 60.8%, P=0.007), 관상동맥 조영술상 다발성 관상동맥 경련이 빈번하였고(59.4% vs. 40.6%, P=0.004), 관상동맥의 경련 정도도 더 심하였다(64.1% vs. 46.5%, P=0.006). 흉통이 있었던 그룹이 흉통이 없었던 그룹보다 허혈성 심전도 변화의 빈도가 더 높았다(14.7% vs. 7.5%, P=0.007). 또한 흉통이 있었던 그룹이 관상동맥 경련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 (50.7% vs. 29.5%, P<0.001), 미만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87.1% vs. 75%, P<0.001), 관상동맥의 경련의 정도도 더 심하였다(51.6% vs. 43.5%, P=0.041).
      결론: 아세틸 콜린 유발검사시 발생하는 허혈성 심전도 변화와 흉통은 관상동맥 경련의 정도와 경련이 발생하는 관상동맥 개수와 연관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acetylcholine (Ach) provocation tests may constitute important clinical parameters for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

      Background: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acetylcholine (Ach) provocation tests may constitute important clinical parameters for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the Ach-provocation test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Methods: A total of 1,085 patients with anginal symptoms underwent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CAG) and Ach-provocation tests. We compare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ECG change and chest pain.
      Results: A total of 539 patients experienced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Patients who experienced ECG change group suffered more frequent chest pain (78.1% vs. 60.8%, P=0.007), angiographically more frequent multiple coronary artery spasm (59.4% vs. 40.6%, P=0.004), and more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64.1% vs. 46.5%, P=0.006) than patients without ECG chang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 of endothelial dysfunction between the groups. The incidence of ischemic ECG changes in patients with chest pain was higher than in patients without chest pain (14.7% vs. 7.5%, P=0.007). Patients who experienced chest pain more often experienced multiple (50.7% vs. 29.5%, P<0.001), diffuse (87.1% vs. 75%, P<0.001), and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51.6% vs. 43.5%, P=0.041) than patients without chest pain.
      Conclusio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the Ach-provocation test are associated with multi-vessel involvement and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Chest pain i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endothelial dysfunction, but ischemic ECG change is no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ntroduction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Abstract
      • Introduction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Conclusion
      • References
      • 국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