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왕은철,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애도이론 —“나는 애도한다 따라서 나는 존재한다.”" 한국영어영문학회 58 (58): 783-807, 2012
2 Henzler, C., "치유로서의 그림[Malen um zu uberleben]" 학지사 2006
3 홍경자, "철학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한 자살자 유가족의 ‘죄책감’ 문제" 대한철학회 154 : 275-300, 2020
4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5 윤혜경 ; 김갑숙, "자살유가족의 가족기능성 회복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11 (11): 49-83, 2021
6 Rubin, J. A., "이구동성 미술치료[Approaches to art therapy theory and technique]" 학지사 2001
7 박상현, "음식은 추억으로 기억된다" 563 : 52-53, 2017
8 Abt, T.,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Introduction to picture interpretation]" 분석심리학연구소 2008
9 Worden, J. W., "유족의 사별 슬픔 상담과치료[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A handbook for the mental health]" 해조음 2016
10 예현숙, "영적의미 추구로서의 사별애도: C. G. 융의 개성화 이론과 P. 트루니에의 전인격 이론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17
1 왕은철,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애도이론 —“나는 애도한다 따라서 나는 존재한다.”" 한국영어영문학회 58 (58): 783-807, 2012
2 Henzler, C., "치유로서의 그림[Malen um zu uberleben]" 학지사 2006
3 홍경자, "철학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한 자살자 유가족의 ‘죄책감’ 문제" 대한철학회 154 : 275-300, 2020
4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5 윤혜경 ; 김갑숙, "자살유가족의 가족기능성 회복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11 (11): 49-83, 2021
6 Rubin, J. A., "이구동성 미술치료[Approaches to art therapy theory and technique]" 학지사 2001
7 박상현, "음식은 추억으로 기억된다" 563 : 52-53, 2017
8 Abt, T.,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Introduction to picture interpretation]" 분석심리학연구소 2008
9 Worden, J. W., "유족의 사별 슬픔 상담과치료[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A handbook for the mental health]" 해조음 2016
10 예현숙, "영적의미 추구로서의 사별애도: C. G. 융의 개성화 이론과 P. 트루니에의 전인격 이론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17
11 김민화, "애도에 대한 이론, 내러티브, 그리고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한국독서치료학회 13 (13): 1-25, 2021
12 장성금 ; 유영권, "애도를 위한 의례로서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381-404, 2012
13 이범수, "애도과정의 이해" 74 : 30-48, 2012
14 박서정, "애도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2 (22): 565-583, 2017
15 Kast, Verena, "애도[Trauern]" 궁리출판 1982
16 조선화 ; 강영신, "애도 회피에 따른 침투적 반추가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 및 자기노출의 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641-663, 2015
17 유진숙, "신혼기에 남편 사별을 경험한 아내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2019
18 황정윤,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19 Tresidder, J, "상징 이야기[Symbols and Their Meaning]" 도솔출판사 2007
20 길은영, "상실을 경험한 우울 청소년의 발달적애도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사례연구" 1 (1): 19-44, 2022
21 Kubler-Ross, E., "상실수업[On grief and grieving;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five stages of loss]" 이레 2014
22 최선재 ; 안현의,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4 (14): 323-341, 2013
23 김경아, "사별 가족의 애도중심 가족미술치료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24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1998
25 이선주, "부(父)와 예기치 못한 사별을 겪은아동의 애도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차의과대학교 2022
26 민주홍, "부(父)와 사별한 아동의 애도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차의과학대학교 2020
27 양선희, "복합적 슬픔을 경험한 사별 여성 배우자의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 경험에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차의과대학교 2019
28 이지원, "배우자 사별 여성노인을 위한 상실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한림대학교 2021
29 박선우 ; 유나현, "배우자 사별 독거노인의 애도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8 (28): 1497-1518, 2021
30 김홍근, "발달적 애도를 통한 변형적 내면화 과정" 한국실천신학회 (24) : 109-142, 2010
31 이선윤,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32 김수연 ; 정여주,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 미술치료 사례: 내러티브 탐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475-492, 2020
33 김민지 ; 전윤경 ; 한유진,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애도와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사례연구"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 (20): 227-246, 2020
34 박선경, "반려동물을 상실한 미혼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차의과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35 이유경, "민담의 모성상" 분석심리학연구소 2012
36 주리애, "미술치료학" 학지사 2010
37 전순영, "미술치료의 치유요인과 매체" 하나의학사 2011
38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03
39 박민선 ; 최선남, "미술치료사의 치료몰입에 관한 자전적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503-524, 2018
40 이윤희,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상처입은 예비 미술치료사중심" 15 (15): 53-71, 2015
41 Malchiodi, C. A, "미술치료[The art therapy sourcebook]" 서울하우스 2014
42 공마리아, "미술심리치료" 학지사 2008
43 오승진, "미술디자인 전공, 미술치료사를 위한색채심리" 어우리 2020
44 문서현 ; 최선남, "모(母)사별 아동의 우울과 불안감소를 위해 부(父)상담을 병행한 애도과정중심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725-745, 2020
45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교육과학사 2007
46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47 장형배, "관계상실경험자의 애도회피가 우울에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48 오현자 ; 김교헌, "가출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침입 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89-106, 2009
49 장성금, "가족사별의 상실감 극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50 박은혜, "가족미술치료가 사별가족의 애도와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2016
51 이윤희 ; 김지연, "가족 사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애도과정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225-250, 2016
52 Linley, P. A., "Trauma and personal growth" 16 (16): 135-, 2003
53 Najarian, A, "Transmission of trauma, ritual and art therapy" Concordia University 2007
54 Taku, K.,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A comparison of five model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1 (21): 158-164, 2008
55 Stroebe, M. S.,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 Rationale and description" 23 : 197-224, 1999
56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Ltd 1994
57 Baker, J. E., "Mourn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object relationships" 18 (18): 55-73, 2001
58 Freeman, M, "Considering counternarratives:Narrating, resisting, making sens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89-30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