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 사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자 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서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95228
서울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55 ; 26 cm
지도교수: 조정순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 사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자 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서울,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 사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자 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서울, 대전, 강릉시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생 총 294명(남 157, 여 137)이다. 이들에게 자기주도성 척도(SDLLR: Self-Directed Language Learning Readiness)와 영어 학습전략 사용 척도(SILL: Strategies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를 이용하여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 사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분석 대상자들의 영어 학업성취도는 학습자들의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합산한 평균점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성에 따라 학습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이 모든 유형의 학습전략 사용이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성 ‘상’ 집단과 ‘중’ 집단이 보상 전략과 초인지 전략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자기주도성 ‘하’ 집단은 보상 전략 다음으로 기억 전략과 인지 전략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성은 학습전략의 모든 유형에 대하여 상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의 사용 정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은 학습전략 유형 중 초인지 전략과의 상관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지 전략, 기억 전략, 보상 전략, 사회적 전략, 정의적 전략 순으로 상관정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학업성취도 ‘상’ 집단이 ‘중’, ‘하’ 집단보다 자기주도성이 유의미하게 높고, ‘중’ 집단은 ‘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영어 학습에서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셋째,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 사용의 학업성취에 대한 예측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성만이 학업성취를 예측할 수 있고, 학습전략의 사용은 학업성취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