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econstruc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재학중인 남녀 241명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재학중인 남녀 241명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청소년용 인지적 몰락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 이용하여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과 SNS 중독경향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과 자기통제력은 부적관계를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자기통제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인지적 몰락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선호,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 35 (35): 257-282, 2016

      2 우상우, "행동중독의 예측인자로써 인지특성, 정서특성, 자아특성" 13 (13): 19-36, 2010

      3 이종환,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425-443, 2016

      4 Rosenberg, K. P., "행동 중독[Behavioral addictions]" 박학사 2015

      5 김사라형선, "통합적 접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영성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2 (2): 31-45, 2017

      6 김수성,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한국감성과학회 20 (20): 33-44, 2017

      7 유나,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 SNS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치료학회 8 (8): 337-350, 2016

      8 최아론, "청소년용 인지적 몰락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전북대학교 2018

      9 김진숙, "청소년상담 기초"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10 박승민,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대한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상담학회 19 (19): 203-224, 2018

      1 정선호,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 35 (35): 257-282, 2016

      2 우상우, "행동중독의 예측인자로써 인지특성, 정서특성, 자아특성" 13 (13): 19-36, 2010

      3 이종환,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425-443, 2016

      4 Rosenberg, K. P., "행동 중독[Behavioral addictions]" 박학사 2015

      5 김사라형선, "통합적 접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영성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2 (2): 31-45, 2017

      6 김수성,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한국감성과학회 20 (20): 33-44, 2017

      7 유나,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 SNS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치료학회 8 (8): 337-350, 2016

      8 최아론, "청소년용 인지적 몰락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전북대학교 2018

      9 김진숙, "청소년상담 기초"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10 박승민,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대한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상담학회 19 (19): 203-224, 2018

      11 김정원,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 인지적 몰락을 매개변인으로" 12 (12): 126-141, 1993

      12 이준기, "청소년 인터넷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101-120, 2015

      13 박승민, "청소년 게임중독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에의 함의: Winnicott의 관점을 적용하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3 (23): 91-116, 2012

      14 유현욱,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977-999, 2015

      15 신민섭,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자기 도피 척도의 타당화"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16 이슬아, "자기조절의 이론적 접근과 심리장애와의 관계: 경험적 연구에 근거한 개관적 고찰" 한국심리학회 36 (36): 1-37, 2017

      17 박수진, "인지적 몰락과 비행청소년의 약물사용"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18 장문선, "의존성, 회피성 성격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성향 간의 관련성" 14 (14): 1-19, 2011

      19 이정화,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6 (36): 154-164, 2017

      20 진미령,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1 (1): 31-53, 2018

      21 최현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005-1015, 2012

      22 정서림,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5 (15): 1145-1162, 2014

      23 이상호,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55-265, 2013

      24 김윤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10, 2018

      25 박승혜,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2 (32): 105-126, 2019

      26 김태곤,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511-535, 2018

      27 김수진,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의 이중매개효과" 한남대학교 2020

      28 윤명숙,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SNS 중독성향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208-236, 2014

      29 신성만,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 통제력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371-388, 2018

      30 박지수,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1239-1269, 2018

      31 박미향,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189-206, 2014

      32 정소영,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47-166, 2014

      33 문슬빈,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간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3 (23): 379-396, 2018

      34 김선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587-603, 2015

      35 윤성민,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967-982, 2007

      36 이종한, "내-외적 자기개념, 행복조건, 사회비교와 자기존중감의 관계: 초․중․고․대학생 비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423-445, 2010

      37 하정희, "남·녀 청소년의 사회비교 경향성,비합리적 신념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785-805, 2006

      38 권여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2017

      39 조한익, "고등학생의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8 (8): 61-75, 2011

      40 Vallacher, R. R., "What do people think they’re doing? : Action identification and human behavior" 94 (94): 3-15, 1987

      41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4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43 Langer, E. J., "The mindlessness of ostensibly thoughtful action : The role of"placebic"information in interpersonal interaction" 36 (36): 635-642, 1978

      44 Kwon, J. H., "The effects of escape from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pathological use of internet games" 47 (47): 113-121, 2011

      45 De Ridder, D. T. D., "Taking stock of self-control : A meta-analysis of how trait self-control relates to a wide range of behaviors" 16 (16): 76-99, 2012

      46 Baumeister, R. F., "Suicide as escape from self" 97 (97): 90-113, 1990

      47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290-312, 1982

      48 Hull, J. G., "Self–awareness-reducing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44 (44): 461-473, 1983

      49 Kanfer, F. H., "Self-control and tolerance of noxious stimulation" 18 (18): 79-85, 1966

      50 Costello, B. J., "Self-control and adverse ‘Drinking’ consequences" 35 (35): 973-992, 2014

      51 Logue, A. W., "Self-Control: Waiting until tomorrow for what you want today" Prentice Hall 1995

      52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53 조성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239-250, 2013

      54 Bechara, A., "Risky business : Emotion, decision-making, and addiction" 19 (19): 23-51, 2003

      55 American Society of Addiction Medicine, "Public Policy Statement: Short Definition of addiction"

      56 Young, K. S.,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 the stereotype" 79 (79): 899-902, 1996

      57 Finkenauer, C.,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 The role of self-control" 29 (29): 58-69, 2005

      58 Kuss, D. J.,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8 (8): 3528-3552, 2011

      59 Baumeister, R. F., "Masochism as escape form self" 25 (25): 28-59, 1988

      60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1 (1): 237-244, 1998

      61 Tangney, J. P.,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72 (72): 271-324, 2004

      62 Baumeister, R. F., "Escaping The Self : Alcoholism, spirituality, masochism, and other flights from the burden of selfhood" Basic Books 1991

      63 Patterson, C. J., "Effects of temptation-inhibiting and task-facilitating plans on self-control" 33 (33): 209-217, 1976

      64 Shaffer, D. R.,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Brooks 1996

      65 Heatherton, T. F.,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110 (110): 86-108, 1991

      66 Steele, C. M., "Alcohol and social behavior: I. The psychology of drunken excess" 48 (48): 18-43, 1985

      67 Griffiths, M.,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10 (10): 191-197, 2005

      68 Vallacher, R. R., "A theory of action identifi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5

      69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 2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4 1.99 2.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