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Innovation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Innovation School by analyzing how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rough what process and what concerns and conflicts school members experien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Innovation School by analyzing how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rough what process and what concerns and conflicts school members experienced.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93 participant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nine Innovation Schoo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n Innovation Schools emphasized the philosophies and values pursued by Innovation Schools and applied them ‘explicitly and intentionally’ or ‘implicitly’ in their school curriculum. However, the conflicts and tensions existed between teachers or teachers and parent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ought and the varied degree of internalization related to the philosophies of Innovation Schools. Second, the curriculum of Innovation School has drawn attention, since ‘all teachers’ organize and implement their school curriculum together through discussions and agreements. However, in the process, teachers encountered some challenges.
      Third, to build the foundation for a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chool system and culture for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reform of the work system focused o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편성·운영되며, 그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경험한 고민과 갈등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

      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편성·운영되며, 그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경험한 고민과 갈등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 9개 혁신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면서 교원, 학생, 학부모, 총9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1)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 (2)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절차 및 방법, (3)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반, 세 가지 주제로 분석하였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철학이나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를 학교 교육과정에 ‘명시적이면서 의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혁신학교 철학과 관련하여 생각의 차이나 내면화 정도에 따라 교사 간 혹은 교사와 학부모 간에 갈등과 긴장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둘째, 혁신학교 교육과정은 ‘전체’ 교사들이 함께 토론하고 협의하며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되었으며,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심지어 교육과정에대한 평가가 서로 단절된 과정이기보다는 서로 역동적이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교 구성원들 간에 교육 철학 및 가치관의 충돌로 인한 문제, 의견을수렴하고 합의해나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차이로 인한 문제, 학생및 학부모의 의견 수용 범위에 대한 고민들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 이러한 방식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기반으로서, 학교 내 민주적 의사 결정 체제 및 문화, 활발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교육활동 중심으로 업무 체제 개선 노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4

      2 교육부, "혁신학교(지구) 질적 도약을 위한 혁신학교(지구) 지원 기본계획(안)" 2019

      3 백병부,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4 홍석노, "혁신학교 일반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5 이승호,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8, 2016

      6 이주연,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7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77-199, 2016

      8 이미애, "혁신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정과 교사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형 혁신고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9 손민호,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운영의 실천적 논리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70-197, 2009

      10 김민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47-72, 2010

      1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4

      2 교육부, "혁신학교(지구) 질적 도약을 위한 혁신학교(지구) 지원 기본계획(안)" 2019

      3 백병부,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4 홍석노, "혁신학교 일반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5 이승호,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8, 2016

      6 이주연,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7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77-199, 2016

      8 이미애, "혁신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정과 교사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형 혁신고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9 손민호,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운영의 실천적 논리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70-197, 2009

      10 김민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47-72, 2010

      11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2 김은수,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노철현, "신학력관에 기반한 서울형혁신학교 교육과정 연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14 이민철, "서울 혁신미래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및 수업·평가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5

      15 고장완, "미래역량기반 서울형혁신학교 교육과정 연구: 중등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7

      16 유주영,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2 (12): 81-105, 2016

      17 백병부, "경기도 혁신학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18 조윤정,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19 이형빈, "강원 행복더하기학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강원도교육연구원 2017

      20 충청북도교육청, "2019학년도 행복씨앗학교 2.0 추진 계획" 2019

      21 전라북도교육청, "2019 혁신교육 기본 계획" 2019

      22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서울형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