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신라의 흉례(凶禮) 수용과 그 의미 = The acceptance of Hyungrye by Silla and it`s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74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凶禮는 五禮의 하나로, 弔喪이나 기근·재해 등에 대한 救恤을 말한다. 이것은『주례』에 처음 보이며 당 개원례는 동아시아 흉례의 典範이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흉례가 신라에 수용된 것�...

      凶禮는 五禮의 하나로, 弔喪이나 기근·재해 등에 대한 救恤을 말한다. 이것은『주례』에 처음 보이며 당 개원례는 동아시아 흉례의 典範이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흉례가 신라에 수용된 것은 吉凶要禮에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신라에 길흉요례가 수용되기 이전 한국 고대사회에는 중국 喪禮의 영향을 받은 喪服制 등이 있었다. 이로 볼 때 신문왕 6년 길흉요례의 수용으로 이것은 보다 체계화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신라에 수용된 흉례의 내용은 개원례, 고려, 조선과 마찬가ㅁ지로 대부분 상례이며 개원례의 흉년진무·노문질환, 『고려사』 흉례의 重刑奏對儀의 내용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하였다. 한국 고대 왕 이하 귀족들의 상례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왕의 상례, 즉 國恤이었다. 개원례에는 국휼에 대한 내용이 없지만, 品官의 상례 내용은 상세하다. 고려의 국휼은 연대기 등의 내용을 통해 조선의 국휼 내용과 비슷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고려·조선의 국휼과 당 품관의 상례 절차는 喪(殯)-葬(산릉조성)-祭(부廟)의 과정을 거쳤으며, 고려·조선의 국휼에는 嗣位, 왕위계승의식 절차가 있다. 이것은 신라도 마찬가지로, 新王의 柩前 즉위의례에 앞서 先王의 殯이 이루어졌고 즉위 이후 장례 절차에 따라 무덤이 축조되었으며 부묘가 거행되었다고 보았다. 신왕의 柩前 즉위의례와 부묘는 왕권의 위상을 드러내는 왕권 의례였다. 이 중 부廟는 先王의 神主를 종묘에 모시는 것으로, 부묘를 거행한 시점은 당·고려·조선이 각각 달랐다. 신라의 경우는 각 왕 마다 부묘 시점이 달랐으며 때로는 부묘가 정치적으로 제약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禮制에 따르면 부묘와 상복제는 신분별, 혈친의 親疎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 점을 염두에 둘 때 신라에 수용된 흉례는 신라 골품제 사회를 유지하는 데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왕실과 진골 귀족의 가계인식, 친족관념과도 관련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ungrye was one of Orye which said Josang or Goohyool for famines or disasters etc. This was first shown in Joorye and Gaewonrye of Tang became Jeonbum(standard regulation) of Hyungrye in East Asia. We could find out Hyungrye of China was accepted by...

      Hyungrye was one of Orye which said Josang or Goohyool for famines or disasters etc. This was first shown in Joorye and Gaewonrye of Tang became Jeonbum(standard regulation) of Hyungrye in East Asia. We could find out Hyungrye of China was accepted by Silla in Gilhyungyorye. But before Hyungrye was accepted in Silla, there had been Sangbokje and etc. in ancient society of Korea influenced by China`s Sangrye. Given from this, the acceptance of Gilhyungyorye in King Sinmoon 6 years made this more systemized. The contents of Hyungrye accepted in Silla included Gaewonrye, mostly Sangrye same as Gorye and Choseon and Hyungnyeonjinmoo, Nomoonjilhwan of Gaewonrye, and also contents of Joonghyungtaedaeui of Hyungrye in Goryesa. The most important thing of Sangrye of aristocrats under ancients kings in Korea was King`s Sangrye, that is, Gookhyool. Though there was no content of Gookhyool in Gaewonrye, the content of Sangrye of Poomgwan was detail. Gookhyool of Gorye seemed similar in contents with Joseon`s by chronicle`s content and etc. These Gookhyool of Gorye and Joseon and Tang`s Sangrye of poomgwan have the process of Sang(Bin) -Jang(Sanrungjoseong)-Je(boomyo), and Gookhyool of Gorye and Joseon had procedure for the right of succession, ceremony for succession to throne. This was the same in Silla in a process that Bin of previous king was made before new king`s GuJeon coronation and tomb was built according to funeral procedure after coronation and Boomyo was conducted. Boomyo was to enshrine the ancestral tablet of a previous king into the royal ancestral tombs, and the conducting time of Boomyo was different in each dynasty of Tang, Gorye, Joseon. In Silla, conducting time of Boomyo of each king was different and sometimes Boomyo was constricted by political reason. However Boomyo was the royal ceremony showing the royal status along with Gu-Jeon coronation of new king. According to Yeje, Boomyo and Sangbokje ha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positions, closeness of family blood line. In considerationce on keep of this, Hyungrye accepted in Silla had not only a certain influening the Golpoomje society but also relations with awareness of family line by royal families and Jingol aristocrats and idea of relative rel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