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리랑>과 할리우드 = Arirang and Hollyw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17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Arirang in Chosun cinematic history. Arirang (directed by Na Woon-kyu, 1926) is the most important and controversial work in Chosun/Korean cinematic history. Although the film reel for Arirang has never...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Arirang in Chosun cinematic history. Arirang (directed by Na Woon-kyu, 1926) is the most important and controversial work in Chosun/Korean cinematic history. Although the film reel for Arirang has never been found and its existence cannot be verified, there survive appraisals lauding it as the best piece in all of Chosun’s cinematic history, and even after independence the film has constantly held a place of mention as a canonical piece of minjok cinema. But after opposing opinions were presented about these views, the flow of research on Arirang took on a new phase. Cho Hee-moon said that the director of Arirang was not Na Woon-kyu but a Japanese person, the film was an entertainment-oriented popular film without much relevance to the minjok, and the passage of time had exaggerated its meaning. Thus the mythology surrounding the movie Arirang, which had till then been maintained in a relatively solid form, encountered a crisis. A long fight on the discourse level had begun, surrounding a film whose existence could not be confirmed.
      But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ese debates, such dichotomizing frameworks of opposition fundamentally comprise limitations. This is because within such frameworks, Arirang is only considered in terms of whether it can or cannot be considered a minjok film, and its background and the changes it wrought in Chosun cinematic history can easily be overlooked.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how Arirang embraced Hollywood film and how that was the movie’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Hollywood movies related to Arirang were usually understood as low-class popular art such as serial films. But a look at the cinema-related discourse of the time reveals that Hollywood films were not considered merely to have the simple appeal of lower-class genres. A great number of the movies that Arirang is considered to have drawn on were on a higher cultural plane than Japanese movies or Hollywood serial films. Indeed, the movies that Na Woon-kyu revealed to have been models for his work are Hollywood feature films, considered ‘high-class’ movies in the discourse of the mid 1920s. According to research on the Chosun movie scene of this period, the mid-1920s was a period in which the focus shifted from serial films to feature films.
      The new language of visual narration which Hollywood feature films provided allowed for a method of visually narrating the Chosun of that era. Of course reliance on unique screening methods such as the intervention of the byon-sa narrator persisted, but when the Chosun films themselves became models for future films, the images in the movies became a visual language, gaining significance in their own right. Although still imperfect, when cinematic images became a means for direct communication, films were able to discourse on contemporary Chosun, without being hampered by the original works of literature. Arirang was the first Chosun film that made all this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재고했다. <아리랑>(나운규 감독, 1926)은 조선/한국영화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논쟁적인 작품이다. <아리랑>...

      이 논문은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재고했다. <아리랑>(나운규 감독, 1926)은 조선/한국영화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논쟁적인 작품이다. <아리랑>은 필름이 남아있지 않아 실체를 확인할 수 없음에도, 이 영화의 민족적 성격을 두고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논쟁의 결과와는 상관없이, 이러한 이분법적 틀은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틀 내부에서, <아리랑>은 민족영화로 환원될 수 있는가 또는 없는가의 문제로서만 사유되고,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 출현하게 된 배경이나 이 영화가 초래한 변화는 쉽게 간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서 가지는 변별적 특징의 하나로 할리우드 영화의 수용 문제를 적극 검토했다. 식민지 조선영화사에서 <아리랑>과 관련한 할리우드 영화의 영향은 주로 활극을 중심으로 한 연속영화를 중심으로 파악되어 왔다. 그러나 당시의 영화담론을 보면, 할리우드 영화는 단순히 대중영화로만 수용되지는 않았다. <아리랑>이 참조했다고 여겨지는 영화들의 상당수는 일본영화나 할리우드의 연속 영화들보다 문화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실제로 나운규가 제작 모델로 밝힌 영화들은 할리우드 장편영화들로, 이 영화들은 1920년대 중반의 담론 상에서 ‘고급’영화로 언급되며 조선에서의 영화매체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아리랑>역시 할리우드 장편영화를 학습함으로써 조선영화에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장편 할리우드 영화가 제공한 새로운 시각적 언어는 동시대 조선을 담론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었다. 물론 변사가 개입하는 조선의 특수한 상영방식에 대한 의존은 여전했지만, 영화 자체가 영화의 모델이 됨으로써 영화의 이미지는 고전소설의 세계에서 벗어나 비로소 동시대 조선을 시각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환은 할리우드 장편 영화가 전해준 시각적 내레이션이 신소설과 강담(변사)이 가진 서사적 명징성을 압도한 뒤에야 가능한 것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2 백문임,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국학연구원 (158) : 271-310, 2012

      3 이순진, "조선 무성영화의 활극성과 공연성에 대한 연구" 중앙대 2009

      4 김계자, "일본어 잡지로 보는 식민지 영화 2" 문 2012

      5 김태현, "일본어 잡지로 보는 식민지 영화 1" 문 2012

      6 한국예술연구소,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 도서출판 소도 2003

      7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스타일의 역사" 한울 2002

      8 조희문, "영화 아리랑의 재평가" (13) : 1997

      9 김종욱, "실록 한국영화총서 상" 국학자료원 2002

      10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조선영화:1924" 한국영상자료원 2012

      1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2 백문임,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국학연구원 (158) : 271-310, 2012

      3 이순진, "조선 무성영화의 활극성과 공연성에 대한 연구" 중앙대 2009

      4 김계자, "일본어 잡지로 보는 식민지 영화 2" 문 2012

      5 김태현, "일본어 잡지로 보는 식민지 영화 1" 문 2012

      6 한국예술연구소,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 도서출판 소도 2003

      7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스타일의 역사" 한울 2002

      8 조희문, "영화 아리랑의 재평가" (13) : 1997

      9 김종욱, "실록 한국영화총서 상" 국학자료원 2002

      10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조선영화:1924" 한국영상자료원 2012

      11 이호걸, "식민지 조선의 외국영화 -1920년대 경성의 조선인 영화관에서의 외화 상영" 대동문화연구원 (72) : 77-114, 2010

      12 김려실, "상상된 민족영화 아리랑" (1) : 2006

      13 "별건곤"

      14 주창규, "무성영화 <아리랑>의 탈식민성에 대한 접근: 유럽이 지방화된 식민적 근대성의 멜로드라마와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95-219, 2007

      15 벤싱어,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문학동네 2009

      16 "매일신보"

      17 "동아일보"

      18 "녹성"

      19 이정하, "나운규의 <아리랑>(1926)의 재구성-<아리랑>의 활극적 효과 혹은 효과의 생산-" 한국영화학회 (26) : 265-290, 2005

      20 김영찬, "나운규 <아리랑>의 영화적 근대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177-199, 2006

      21 조희문, "나운규" 한길사 1997

      22 유선영, "근대적 대중의 형성과 문화의 전환"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42-101, 2009

      23 Miriam Bratu Hansen, "The Mass Production of the Senses:Classical Cinema as Vernacular Modernism, In Reinventing Film studies" Arnold 2000

      24 David Bordwell, "Janet Staiger and Kristin Thompson, The Classical Hollywood Cinema" Routledge 1985

      25 김승구, "192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 대한 식민지 관객의 반응"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125-153,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10-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AKOS(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 INAKOS(Inter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5-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 INAKOS(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5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