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 Status and Management Proposal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ithin the Cultural Treasury Are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4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총 14과 40속 45종 1변종 등 총 4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을 유형별로 구별해보면, 생활형은 1년생 초본이 17분류군(37%)으로 가장 ...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총 14과 40속 45종 1변종 등 총 4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을 유형별로 구별해보면, 생활형은 1년생 초본이 17분류군(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년생 초본이 16분류군 (34.8%), 2년생 초본이 11분류군(23.9%), 목본이 2분류군(4.3%)로 나타났다. 원산지 별로는 유럽이 17분류군(3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이입된 종이 16분류군(34.8%)으로 나타났다. 또한 귀화도는 3등급이 18분류군(40.9%)으로 가장 높다. 귀화식물 321분류군에 대한 본 연구대상지의 도시화 지수는 14.3%이며, 지구별 도시화 지수는 남산지구가 8.1%로 가장 높다. 경주국립공원은 사적형 공원으로 문화재가 매우 중요하나, 문화재 주변의식재 및 관리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귀화식물의 경우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Gyeongju National Park was summarized as 46taxa including 14 families 40 genus 45 species 1 varieties. Among them, annual herbaceous species was 17taxa (37%) which is grouped as the biggest proportion and 16taxa (34.8%...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Gyeongju National Park was summarized as 46taxa including 14 families 40 genus 45 species 1 varieties. Among them, annual herbaceous species was 17taxa (37%) which is grouped as the biggest proportion and 16taxa (34.8%) for perennial herbaceous species and 11taxa (23.9%) for biannual herbaceous species and 2taxa (4.3%) for tree species. European origin was the biggest proportion as 17taxa (37%), and 16% (34.8%) from North America. The degree of naturalization (DoN) was the biggest for Degree III, V as 18taxa (39.1%). Regarding 321 naturalized plant species, the Urbanization Index in the studied area was 14.3%. The Namsam District showed 8.1% which is the highest DoN in the studied districts with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As the cultural properties is importan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as a representatives for historical sites in Korea, planting and its management in the cultural properties is important tasks.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the studied area should be reasonably mana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2 신현탁,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162-181, 2011

      3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105-115, 2009

      4 노재현,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26-32, 2004

      5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7-35, 2011

      6 임동옥,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0 (20): 281-288, 2006

      7 Yi, Y.K,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urban forest -The case of Namsan in Kyungju -" 28 (28): 13-24, 2000

      8 Koh, K.S.,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Ⅱ) - naturalized plants -" 18 : 25-35, 1996

      9 National Science Museum, "Study on the biota of the Kyongju National Park in Korea" National Science Museum 144-, 1997

      10 Gyeongju City,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 land and climate -" Gyeongju City 50-54, 2011

      1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2 신현탁,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162-181, 2011

      3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105-115, 2009

      4 노재현,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26-32, 2004

      5 유주한,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7-35, 2011

      6 임동옥,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0 (20): 281-288, 2006

      7 Yi, Y.K,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urban forest -The case of Namsan in Kyungju -" 28 (28): 13-24, 2000

      8 Koh, K.S.,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Ⅱ) - naturalized plants -" 18 : 25-35, 1996

      9 National Science Museum, "Study on the biota of the Kyongju National Park in Korea" National Science Museum 144-, 1997

      10 Gyeongju City,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City - land and climate -" Gyeongju City 50-54, 2011

      11 Park, S.H., "New illustration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 2009

      12 Lee, Y.N., "New Flora of KoreaⅠ, Ⅱ" Gyohaksa 974-, 2006

      13 Kariyama, S.,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3 : 31-40, 1988

      14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5 Kim, S.W.,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round Mt. Nam and Mt. Toham in Gyeongju City" Kyungpook National Univ 2007

      16 Ryou, S.H., "Exotic plant of streamsidees" 18 (18): 60-62, 2009

      17 Miller, G.T., "Essentials of Ecology(3rd ed.)" Brools Cole 113-, 2004

      18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2011"

      19 Park, J.H,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o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Korea National Arboretum 184-, 2002

      20 Yim, Y.J,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23 (23): 69-83, 1980

      21 Pallibin, J.W., "Conspectus Flarae(Ⅰ)" 17 : 1-128, 1898

      2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560-, 2007

      23 Lim, W.H., "A study on the plants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the Namsan in Kyongju" 3 : 1-14, 2000

      24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eaeger 666-,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