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의 뇌에 존재하는 내재성 신경줄기세포는 해마의 치아이랑과 뇌실 주변의 위치한다. 해마 치아이랑에 존재하는 신경줄기세포는 외부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뇌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45774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해부학 전공 , 2009. 2
2009
영어
611-C 판사항(22)
서울
35 p. : 삽도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안희경
참고문헌 : p. 25-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성체의 뇌에 존재하는 내재성 신경줄기세포는 해마의 치아이랑과 뇌실 주변의 위치한다. 해마 치아이랑에 존재하는 신경줄기세포는 외부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뇌허...
성체의 뇌에 존재하는 내재성 신경줄기세포는 해마의 치아이랑과 뇌실 주변의 위치한다. 해마 치아이랑에 존재하는 신경줄기세포는 외부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뇌허혈과 같은 뇌손상에 대해 반응하여 세포분열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ptide hormone인 exendin-4는 glucagon-like peptide-1(GLP-1) 수용체의 agonist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서 exendin-4가 뇌실주변의 내재성 신경세포의 분열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exendin-4이 뇌허혈 손상 후 해마 치아이랑의 내재성 신경줄기세포의 손상 복구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 혀혈은 Rose Bengal (50 mg/kg)을 복강 투여한 후 대뇌 감각피질 영역에 cold light source를 조사하여 photothrombosis를 유발하여 뇌허혈 손상을 유발 하였다. 손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adhesion tape test를 실시하였다. 그 6일 동안 exendin-4 (0.1 ug/kg)를 투였다.
그 결과, BrdU-면역 염색 세포의 수가 exendin-4 투여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하였으며, NeuN과의 이중 염색에서 신경세포로 분화한 세포의 수가 유의 하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exendin-4가 뇌 손상 중에 일어난 해마 치아이랑의 신경줄기세포의 neurogenesis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 주는 결과이며, exendin-4 뇌허혈손상에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