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朱子·象山·陽明·지山의 공부론 비교- “大學”의 격물·치지·성의·정심을 중심으로 - = A Contrast research on the Self-Cultivation theories of Zhuxi(朱子).Xiangshan(象山).Yangming(陽明).Jishan(蕺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8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arch for ideal Humanity and Moral value in every day real life, by the self-human morality, are the common goals of Sung・Ming Neo-Confucianists. But they have another methodologies to take an ideal humanity, that is the self-cultivation theory, because of their different translations of Daxue(大學)self-cultivation theory. Everyone of this time schola's controversy centered on 4 themes, the Moralizing his own Mind・Faithful intention・Achieving morl self-Congnition・Taking the objective principles.
      This paper prospected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Zhuxi(朱子)・Xiangshan(象山)・Yangming(陽明)・Jishan(蕺山) in this vein. They are commonly tried to get the Confucian Sage' Humanity, which means the harmoniously coordination of self-mind and heavenly principles. But their methodologies are different, Zhuxi(朱子) asserted to take the objective principles, Xiangshan(象山) accented on moralizing his own Mind, Yangming(陽明) centered on achieving morl self-Congnition, Jishan(蕺山) concentrated on faithful intention. These consequent process may be the evidence of internalizing self-cultivating theory.
      번역하기

      The search for ideal Humanity and Moral value in every day real life, by the self-human morality, are the common goals of Sung・Ming Neo-Confucianists. But they have another methodologies to take an ideal humanity, that is the self-cultivation theory...

      The search for ideal Humanity and Moral value in every day real life, by the self-human morality, are the common goals of Sung・Ming Neo-Confucianists. But they have another methodologies to take an ideal humanity, that is the self-cultivation theory, because of their different translations of Daxue(大學)self-cultivation theory. Everyone of this time schola's controversy centered on 4 themes, the Moralizing his own Mind・Faithful intention・Achieving morl self-Congnition・Taking the objective principles.
      This paper prospected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Zhuxi(朱子)・Xiangshan(象山)・Yangming(陽明)・Jishan(蕺山) in this vein. They are commonly tried to get the Confucian Sage' Humanity, which means the harmoniously coordination of self-mind and heavenly principles. But their methodologies are different, Zhuxi(朱子) asserted to take the objective principles, Xiangshan(象山) accented on moralizing his own Mind, Yangming(陽明) centered on achieving morl self-Congnition, Jishan(蕺山) concentrated on faithful intention. These consequent process may be the evidence of internalizing self-cultivating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실생활에서 자신의 도덕 본심을 발현하여 도덕 가치를 성취함, 곧 이상인격을 확립하는 것이 송명이학가의 공통적인 목표이자 임무라 하겠다. 송명이학자는 비록 이상인격 완성이라는 공통된 목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이러한 이상인격을 확립하느냐 하는 공부론에 있어서 理學과 心學은 각기 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러한 차이는 바로 대학의 공부론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둘러싸고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대학의 공부방법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당시의 학자들은 각자의 독특한 견해를 피력하기에 이르렀으니, 그 중에서도 이들이 중점적으로 논란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것은 ‘正心誠意致知格物’이라는 네 가지 항목이다.이 글에서는 그 중 주희육구연왕수인유종주의 공부론을 대학의 ‘正心誠意致知格物’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들은 모두 ‘吾心과 天理가 혼연히 합일된 경지’인 성인의 경계를 추구한다는 동일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인의 경계를 추구하는 구체적인 공부방법에 있어서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주희는 격물 중심, 육구연은 정심 중심, 왕수인은 치지 중심, 유종주는 성의 중심의 공부론을 각각 주장한다. 이러한 격물에서 정심으로, 정심에서 치지로, 치지에서 성의로의 변화과정은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현실생활에서 자신의 도덕 본심을 발현하여 도덕 가치를 성취함, 곧 이상인격을 확립하는 것이 송명이학가의 공통적인 목표이자 임무라 하겠다. 송명이학자는 비록 이상인격 완성이라는 공...

      현실생활에서 자신의 도덕 본심을 발현하여 도덕 가치를 성취함, 곧 이상인격을 확립하는 것이 송명이학가의 공통적인 목표이자 임무라 하겠다. 송명이학자는 비록 이상인격 완성이라는 공통된 목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이러한 이상인격을 확립하느냐 하는 공부론에 있어서 理學과 心學은 각기 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러한 차이는 바로 대학의 공부론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둘러싸고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대학의 공부방법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당시의 학자들은 각자의 독특한 견해를 피력하기에 이르렀으니, 그 중에서도 이들이 중점적으로 논란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것은 ‘正心誠意致知格物’이라는 네 가지 항목이다.이 글에서는 그 중 주희육구연왕수인유종주의 공부론을 대학의 ‘正心誠意致知格物’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들은 모두 ‘吾心과 天理가 혼연히 합일된 경지’인 성인의 경계를 추구한다는 동일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인의 경계를 추구하는 구체적인 공부방법에 있어서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주희는 격물 중심, 육구연은 정심 중심, 왕수인은 치지 중심, 유종주는 성의 중심의 공부론을 각각 주장한다. 이러한 격물에서 정심으로, 정심에서 치지로, 치지에서 성의로의 변화과정은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국철학연구회 지음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1994년

      2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년

      3 이강대, "주자학의 인간학적 이해" 예문서원 2000년

      4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년

      5 진래, "양명철학 : 왕양명철학" 서광사 2003

      6 정규훈, "동양사상-해설과 원전" 전통문화연구회 2003년

      7 최영성, "^한국유학사3" 아세아문화사 1995년

      8 "^四書章句集註?大學章句^孟子集註^二程遺書^朱子語類 晦庵集^象山集^王陽明全集^傳習錄^劉宗周全集^전습록" 청계 2001

      1 "중국철학연구회 지음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1994년

      2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년

      3 이강대, "주자학의 인간학적 이해" 예문서원 2000년

      4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년

      5 진래, "양명철학 : 왕양명철학" 서광사 2003

      6 정규훈, "동양사상-해설과 원전" 전통문화연구회 2003년

      7 최영성, "^한국유학사3" 아세아문화사 1995년

      8 "^四書章句集註?大學章句^孟子集註^二程遺書^朱子語類 晦庵集^象山集^王陽明全集^傳習錄^劉宗周全集^전습록" 청계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