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망 어린이집 장애아통합보육 실행과정에 대한 원장과 장애아전담교사, 보육교사의 경험과 인식 =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director and teachers toward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t Somang childcar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6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 depth about the experience and perceptual progress of a director and teachers toward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t Somang childcare center. There were the total of 3 participants, each representing a director, a teacher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 childcare teache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ir journal writings and in-person interviews with them. The firs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numerous trials and failures prior to be fully engaged with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participants dealt with a high rate of transition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t the center, and went through an enormous amount of trouble and confusion in their endeavors while assisting new students to be successfully adjusted to the center. Finally, the participants nevertheless considered it worth while to learn special teaching skill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o create productive class environments for all young childre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 depth about the experience and perceptual progress of a director and teachers toward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t Somang childcare center....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 depth about the experience and perceptual progress of a director and teachers toward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t Somang childcare center. There were the total of 3 participants, each representing a director, a teacher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 childcare teache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ir journal writings and in-person interviews with them. The firs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numerous trials and failures prior to be fully engaged with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participants dealt with a high rate of transition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t the center, and went through an enormous amount of trouble and confusion in their endeavors while assisting new students to be successfully adjusted to the center. Finally, the participants nevertheless considered it worth while to learn special teaching skill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o create productive class environments for all young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망 어린이집이 장애아통합보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원장과 장애아전담교사, 장애아통합 학급 일반보육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원장과 장애아전담교사, 장애아통합학급의 일반보육교사였으며, 저널쓰기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아통합보육 시작과정에서 결단하기 과정이 있었다. 둘째, 초기 실행과정에서 장애유아의 잦은 입·퇴소 경험하기, 다양한 협조를 구하며 새로 온 장애유아들을 적응시키기 등 연속되는 새로움으로 좌충우돌하였다. 셋째, 중기 이후 실행과정에서 장애유아를 위해 교사로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가고 모든 유아들에게 유익한 학급을 만들어가면서 보람을 찾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소망 어린이집이 장애아통합보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원장과 장애아전담교사, 장애아통합 학급 일반보육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소망 어린이집이 장애아통합보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원장과 장애아전담교사, 장애아통합 학급 일반보육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원장과 장애아전담교사, 장애아통합학급의 일반보육교사였으며, 저널쓰기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아통합보육 시작과정에서 결단하기 과정이 있었다. 둘째, 초기 실행과정에서 장애유아의 잦은 입·퇴소 경험하기, 다양한 협조를 구하며 새로 온 장애유아들을 적응시키기 등 연속되는 새로움으로 좌충우돌하였다. 셋째, 중기 이후 실행과정에서 장애유아를 위해 교사로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가고 모든 유아들에게 유익한 학급을 만들어가면서 보람을 찾고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 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애, "한국특수교육의 과제와 전망" 성신여자대학교 89-114, 2007

      2 고상숙,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3 법제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4 윤미경,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간 협력관계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5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 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성균관대학교 285-322, 2006

      6 김경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91-319, 2006

      7 정수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들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41-257, 2005

      8 박혜준, "장애유아 통합교육 이야기" 학지사 2007

      9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10 김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11-138, 2008

      1 김성애, "한국특수교육의 과제와 전망" 성신여자대학교 89-114, 2007

      2 고상숙,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3 법제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4 윤미경,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간 협력관계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5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 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성균관대학교 285-322, 2006

      6 김경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91-319, 2006

      7 정수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들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41-257, 2005

      8 박혜준, "장애유아 통합교육 이야기" 학지사 2007

      9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10 김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11-138, 2008

      11 Bailey, D.,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12 강영심, "유치원장이 지각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45-62, 2008

      13 양진희,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관한 의미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9-175, 2005

      14 양진희, "유치원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아동학회 26 (26): 209-230, 2005

      15 차혜영, "유아교육기관의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제 요인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16 최애경, "유아교육기관을 위한 통합교육 컨설테이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23-153, 2010

      17 조윤경, "유아교사를 위한 특수아동지도" 도서출판 공동체 2008

      18 법제처, "영유아보육법"

      19 유수옥,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견해" 한국특수교육학회 36 (36): 169-190, 2002

      20 이승연,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5-30, 2007

      21 Howes, C., "Quality indicators for infant-toddler child care" 1986

      22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Allyn & Bacon 2006

      23 Kim, S., "Kevin : "I gotta get to the market" :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hip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setting" 33 (33): 163-169, 2005

      24 Purcell, M. L.,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preschool inclusion program" 74 (74): 85-9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