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성지수의 발달 특성과 영향변인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대학생의 발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94009
2019
-
KCI등재
학술저널
199-252(5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성지수의 발달 특성과 영향변인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대학생의 발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성지수의 발달 특성과 영향변인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대학생의 발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도권의 초·중·고등학생 및 D의 대학의 학생 총 952명을 대상으로 학교급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2와 3에서는 D 대학의 9개 학부 총 462명을 대상으로 인성지수에 따른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의 인성지수는 중등학생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교 학년 간 인성지수 및 자아정체감의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비록 인성에 영향을 주는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었지만 그 영향력들은 모두 자아정체감의 차이로 설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일수록 인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년기로 유예된 자아정체감 확립에 효과적인 대학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variables of the character index of college students. In Study 1, 952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variables of the character index of college students. In Study 1, 952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chool achievement by examining the character index test. Respectively. In Study 2 and 3, we examined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the character index on 462 students from 9 universities in D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grade and character index and self identity. And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character, all the influences wer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of self identity. Therefore,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support the task of establishing self- identity in deferred adolesc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미영, "학교급에 따른 인성 수준 차이의 원인 탐색:행복과 인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3 (43): 73-97, 2016
2 정창우,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3 권동택,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15-130, 2014
4 문경숙, "청소년의 정체감 연구를 위한 소고"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19-838, 2009
5 이동원, "청소년들의 자아개념과 비행 -자아개념의 제 차원과 비행유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9) : 357-384, 2005
6 이은주,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91-221, 2009
7 박아청,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01-312, 2004
8 황매향,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대학생 집단의 유형과 관련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3 (13): 115-142, 2012
9 노유진, "자기조절학습과 자기격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교육발전연구소 24 (24): 51-64, 2014
10 지은림, "인성지수개발연구" 교육부 2013
1 한미영, "학교급에 따른 인성 수준 차이의 원인 탐색:행복과 인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3 (43): 73-97, 2016
2 정창우,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3 권동택,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15-130, 2014
4 문경숙, "청소년의 정체감 연구를 위한 소고"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19-838, 2009
5 이동원, "청소년들의 자아개념과 비행 -자아개념의 제 차원과 비행유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9) : 357-384, 2005
6 이은주,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91-221, 2009
7 박아청,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01-312, 2004
8 황매향,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대학생 집단의 유형과 관련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3 (13): 115-142, 2012
9 노유진, "자기조절학습과 자기격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교육발전연구소 24 (24): 51-64, 2014
10 지은림, "인성지수개발연구" 교육부 2013
11 김선주, "인성교육 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용 인성 척도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17-258, 2017
12 천세영, "인성교육 비전 수립 및 실천 방안연구" 교육부 2012
13 손경원, "도덕적 정체성에 근거한 인격교육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113-147, 2014
14 정창우, "도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도덕교육방법"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3 : 183-225, 2003
15 이정렬,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한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과 도덕교육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6 김명순, "대학생용 유교적 인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학회 50 (50): 27-53, 2012
17 조명실, "대학생 인성교육 연구 동향분석 및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101-134, 2017
18 이윤선, "대학생 인성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61-282, 2013
19 손승남,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41, 2014
20 이종현, "대학 신입생들의 인성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19-250, 2016
21 박병기,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방향" 대학교육협의회 190 : 2015
22 지희진,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33-466, 2013
23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73-392, 2003
24 Ehun-Shik Mo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er Attachment, Ego-identity, and Career Identity Influenc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Development 22 (22): 21-35, 2015
25 엄상현,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Components and Character Difference between Identity Level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24 (24): 351-370, 2018
26 Ki Yong Le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sonality Measurement Tools for College Student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 (17): 401-422, 2017
27 Colby, A., "Some do care: Contemporary lives of moral commitment" Free Press 1992
28 Damon, W.,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Infancy through adolescence" W. Norto 1983
29 이학식, "SPSS 12.0 매뉴얼" 법문사 2005
30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31 Marcia, J. 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identity status" 3 (3): 551-558,
32 Eunjin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aracte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19 (19): 81-108, 2017
33 Kwang-myeong Lim, "Developing an Indicators for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Level Students"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20 (20): 267-297, 2018
34 Sang Hye Um, "An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moral personality - Focus on Academic Stres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dentity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and Ethics Education 62 : 203-232, 2019
35 Myung-Hee Seong, "An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and their Dem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The 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38 (38): 177-202, 2015
36 Yu-Seon Choi, "A Study on the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and Self-Identity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31 (31): 131-149, 2018
37 Seon-Ju Kim, "A Study of a Character Education Plan According to Character Levels and Requirements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Development 23 (23): 1-19, 2016
38 Insoo Oh, "A Stud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Sophomore Syndrome”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Grounded Theory"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49 (49): 27-58, 2018
39 Hansaem Lee, "A Research on Operational Status of Non-Curriculum Program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 (17): 375-396, 2017
40 강선보,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0) : 1-38, 2008
사랑, 다시 ‘봄 seeing’으로의 초대 - 결핍의 실재에 대한 머독 (Iris Murdoch)의 형이상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6 | 1.67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