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nalytical study on fire service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science and technology - Focusing on the environment, capabilities, and goals of Smart Fire Service - Shin, Min jun Dept.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 Graduate Scho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29426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2022
한국어
서울
x, 168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부록 수록
권두 Abstract, 권말 국문요지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김태윤
참고문헌: p. 152-165
I804:11062-2000005917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nalytical study on fire service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science and technology - Focusing on the environment, capabilities, and goals of Smart Fire Service - Shin, Min jun Dept.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 Graduate Schoo...
ABSTRACT
Analytical study on fire service based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science and technology
- Focusing on the environment, capabilities, and goals of Smart Fire Service -
Shin, Min jun
Dept.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public's expectations for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innovation is also increasing. The fire service cannot resist this trend, and operations that rely on fragmented situational information and the commander's experience are repeatedly pointed out whenever a fire disaster occurs. However, Korean fire officers lack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smart fire service, and it is a topic that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existing studies.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that integrates the environment, capabilities, and goals to build Smart Fire Service to help a clear understanding of it. This model is used to critically analyze the promotion projects and response activities of the Korean Fire Servi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ncept of Smart Fire Service is defined as a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real-tim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at disaster sites is possible and uncertainty in inform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al planning could be reduced by apply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fire suppression and rescue.
Second, an analysis framework that integrates the smart fire service environment, capabilities, and goals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overseas case analysis. As a process for building Smart Fire Service environment, the model proposed by Lee Min-ha (2018) was based on data conversion of the real world, cloud information integ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and smart devices. It is revealed that through such an environment establish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will be dramatically improved, and ultimately, the goals of immediacy, sensitivity, synthesis,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Firecast 3.0 in the United States, Eurekurukool in Japan, and Alps landslide monitoring system in Europe, Developed countries are actively using big data, IOT, artificial intelligence to build smart firefighting services,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tegrated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their basic framework was confirmed.
Third, by using this integrated model as an analysis frame, Korea's smart fire service promotion projects and disaster response cases were analyzed. As domestic cases, Real-time fir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cident command training center, Fire safety map, and R&D project of the Fire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 capability, and goal of Smart Fire service. Through this analysis, though Korea Fire Service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trying to settle in various business fields, but they are proceeding as an independent project without systematic and long-term plans. As disaster response cases, the Jecheon Sports Center fire, the Icheon frozen warehouse fire, and the Yeoksam-dong collapse accident in Gangnam-gu were selected. They are disasters where information management or commander operations have failed, or that expose the limits of the current fire service system. Through these three cases, the failure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development occurred due to the lack of a certain part of the smart fire service environment, and in the end, what goal could not be achieved was analyzed. Finally, advic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fire service were proposed. First, in terms of creating a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roject promotion organization, secure a budget, and revis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econd, in terms of Strengthening firefighting capabilities, it is required to conduct education and training to nurture professional staffs and to manage innovation resistance of firefighters. Third, in terms of goal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oals-oriented business plan and research results evaluation including goals-sharing network with related organizations.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요 지 4차 산업혁명시대에 국민의 행정서비스 기대가 높아지는 만큼 혁신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소방서비스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거스를 수 없고 파편화된 상황정보와 ...
국 문 요 지
4차 산업혁명시대에 국민의 행정서비스 기대가 높아지는 만큼 혁신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소방서비스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거스를 수 없고 파편화된 상황정보와 지휘관의 경험에 의존한 작전 전개는 화재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은 아직까지 스마트 소방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고 기존 연구들도 충분히 논의해 본적이 없는 주제이다.
먼저,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소방서비스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스마트 소방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환경, 역량, 목표를 통합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국의 추진 사업과 대응활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 소방서비스의 개념을 화재진압, 구조 등의 소방업무에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을 적용하여 재난현장에서 실시간 정보 수집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관리 및 작전수립의 불확실성을 줄여서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했다.
둘째, 이론적 검토와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스마트 소방서비스 환경, 역량, 목표를 통합하는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스마트 소방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세스로 이민하(2018)가 제시한 현실세계의 데이터화, 클라우드 정보화, 인공지능 분석, 스마트화를 기본으로 하였다. 이러한 환경구축을 통해 정보관리와 작전역량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궁극적으로는 즉시성, 민감성, 종합성, 통합성, 소통성이라는 목표가 달성 가능함을 밝혔다. 또한 미국의 Firecast 3.0, 일본의 유레쿠루콜, 유럽의 알프스 산사태 감시 체계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해 선진국들이 스마트 소방서비스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IOT, 인공지능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모델과 기본적인 틀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통합모델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한국의 스마트 소방서비스 추진 사업과 재난대응사례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들로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 재난현장지휘역량강화센터(ICTC), 소방안전지도, 소방청 R&D 사업을 스마트 소방서비스의 환경, 역량, 목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방의 정책결정 부서들이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업무분야에 정착을 시도는 하고 있지만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비전없이 이벤트 성격의 독자적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재난대응사례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이천 냉동창고 화재, 그리고 강남구 역삼동 붕괴 사고를 선정하였는데 정보관리나 지휘관 작전이 실패했거나 현 소방서비스의 한계를 드러낸 재난들이다. 이 세 가지 사례들이 스마트 소방서비스 환경의 어떤 부분이 부족하여 정보관리와 작전 전개에 실패가 발생하였고 최종적으로는 어떤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소방서비스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첫째, 환경 조성 측면에서 사업추진 조직 정비와 예산확보, 관계법령과 규제의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인력 양성 교육훈련 실시와 소방공무원들의 혁신저항 관리가 요구된다. 셋째, 목표 달성 측면에서 목표 중심의 사업계획 수립과 연구성과 평가, 관계기관과 목표 공유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소방청, "null", 소방안전기술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2021
2 소방청, "null", 소방합동조사단 제천 복합건물화재 합동조사 종합보고, 2018
3 정용찬, "빅데이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3
4 하라리, 유발, "사피엔스", 서울: 김영사, 2015
5 김윤희, 최상옥, 정종수, 이영재, 윤동근, 남상훈, "재난관리론", 서울 : 생 능출판, 2015
6 Roman , J, "In pursuit of smart", 2014
7 김상욱, "비즈니스 와치", [CES 2017] LG전자가 선보인 로봇들은?, 2017
8 최남희, 하원규,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콘텐츠하다, 2015
9 최상복, "산업안전대사전", 서울: 도서출판 골드, 2004
10 소방청, "설명자료 소방청", 제천화재 초동대응에 유감 표명 보도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2017
1 소방청, "null", 소방안전기술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2021
2 소방청, "null", 소방합동조사단 제천 복합건물화재 합동조사 종합보고, 2018
3 정용찬, "빅데이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3
4 하라리, 유발, "사피엔스", 서울: 김영사, 2015
5 김윤희, 최상옥, 정종수, 이영재, 윤동근, 남상훈, "재난관리론", 서울 : 생 능출판, 2015
6 Roman , J, "In pursuit of smart", 2014
7 김상욱, "비즈니스 와치", [CES 2017] LG전자가 선보인 로봇들은?, 2017
8 최남희, 하원규,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콘텐츠하다, 2015
9 최상복, "산업안전대사전", 서울: 도서출판 골드, 2004
10 소방청, "설명자료 소방청", 제천화재 초동대응에 유감 표명 보도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2017
11 Mack , R., "Planning on Uncertainty", 1971
12 이데일리, "뛰어내릴 거 예요?", 장난전화 오인한 119대원, 투신 구조요청에, 2019
13 유인술, "한국의 재난관리대책", 「Hanyang Medical Reviews」, 35: 175-173, 2015
14 소방청, "2020년도 화재통계연감", 2020
15 Keeney , R. L., "「Value ? Focused Thinking」", 1992
16 이주희, "행정서비스와 고객만족", 「지방행정」: 48~55, 2003
17 S. Ram .,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14 :208-21 ., 1987
18 박창민, "스마트그리드 표준 기술", 「정보와 통신」, 27(4): 31-37, 2010
19 김영상, 유성민, "4차 산업혁명과 IOT-AI 플랫폼", 「한국정보기술학회 지」15(1): 1-7, 2017
20 정춘일, "4차 산업혁명과 군사혁신 4.0", 「전략연구」, 24(2): 183-211, 2017
21 홍춘욱,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서울: 로크미디어, 2019
22 강윤정, 이미선, 문형남, "인터넷 지도 콘텐츠 특성, 신뢰", 사용자 만족이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비즈니스연구, 11(1): 405-430, 2010
23 이재원, "글로벌 로봇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은행 국제경제리뷰」, 2017
24 최병선, "위험문제의 특성과 전략적 대응", 「한국행정연구」,3(4):27-49, 1994
25 김태윤, "국가재해재난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0
26 이건영, "드론, 우리곁으로 성큼 다가온다", KoreaScience, 65(1):17-24, 2016
27 임수연, "재난 안전 현장에서의 드론 활용", 「과학기술정책」, 25(6), 16-19, 2015
28 김태윤, 최연홍, 최병학, 이상팔, 윤명오, "국가 소방방재체제 발전방안 연 구", 한국행정학회, 2002
29 원동규, 이상필,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ie 매거진」, 23(2): 13-22, 2016
30 McLoughlin , D.,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 45 ) 165∼172, 1985
31 강민영, 박도휘, 김광석, "인프라산업, 4차 산업혁명과 만나다", 「Samjong Insight」, 57: 3~5, 2018
32 이원주, "소방조직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 문지」, 33(1), 2019
33 김주찬, 김태윤, "국가재해재난관리체계의 당위적 구조", 「한국화재․소 방학회보」, 16(1):8-17, 2002
34 유호정, "한국, 미국, 일본 3국의 화재현황 비교", 「위험관리정보」, 227, 2011
35 신종화, "행정서비스품질에 관한 고객욕구조사", 「한국행정학보」, 33(1): 35-46, 1999
36 Siegel , G. B,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emergency management", 45 ) : 107∼117, 1985
37 장진홍, "소방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TQM의 도입", 「소방연구논문 집」, 2006
38 양기근,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소방정책의 과제", 「한국치안행정논 집」, 7(2): 111-135, 2010
39 윤지웅,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공직가치", 「한국행정학회 학 술발표논문집」, 2016
40 문혜정, 정성희, "주요국의 재해지도 활용 현황 및 시사점", 「KIRI 리포 트」, 보험연구원, 456: 20-23, 2018
41 남편우, "4차 산업혁명과 로봇기술 및 표준화 동향", 「주간기술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
42 채진, 홍성진, "유비쿼터스 소방안전서비스 실용화 방안", 「한국위기관 리논집」, 6(1): 243-260, 2010
43 김꽃송이, "미국의 건축물 화재안전 관리체계와 역할", 「건축과 도시공 간」, 35: 65-70, 2019
44 Drabek , T ., ".ManagingtheEmergencyResponse.PublicAdministrationReview", 45 ( specialIssue ) :85-92 ., 1985
45 김승현, 허남희, 정석문, 윤진욱, 오쾌봉, 양희철, 민춘기, "사례로 보는 재난 유형별 선제적 대응방안", 강서소방서, 2020
46 권정호, 이재후, 김정곤, "긴급구조통제단 현장훈련의 개선과제 검토", 한 국재난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2018
47 한영미, "스마트 시대의 재난재해 대응 선진 사례분석", 「IT&Societ y」, 7(2): 4-20, 2011
48 강연경, 이건수, 윤기정, "전화 상담원을 위한 자율형 정보지원 시스템", 「201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2), 2019
49 김동욱, 이원우, 신규용, 박상준, 노효빈, 김태효, "증강현실 기반 지휘통제훈 련시뮬레이터 개발", 「한국융합보안학회융합보안논문지」, 18(5), 2018
50 강희조, "SNS를 활용한 스마트 재난안전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 학회」, 16(4): 717∼722, 2012
51 김명배, 한용식, 최병일, "가상현실 기반 소방훈련 시뮬레이터 개발 동향",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12(1): 50-58, 2008
52 채진, "가상현실을 적용한 소방교육 훈련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 학회 논문지」, 32(1): 108-115, 2018
53 김용문, 신동희,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77-392, 2015
54 여차민, "국가 재난 및 안전관리 정책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양대학 교 대한권 박사학위 논문, 2007
55 최용호,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소방행정체계의 발전방안", 「사회과학 연구」, 25(1): 149-165, 2004
56 김승호, 정승호, 이성욱, "국내 재난극복 및 인명구조 로봇 기술 개발 현 황", 「로봇과 인간」, 4(2), 2007
57 현석환, "한국의 재난관리 시스템의 문제점과 효율화 방안", 한국사회안 전학회지 10(1), 39-56, 2015
58 송주일, 조정윤, 장초록, 장문엽, "재난관리를 위한 드론 영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Korea Science, 21(10): 372-378, 2020
59 최갑용,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 구현방안 및 발전방향", 「전자 공학회지」, 48(1): 37-46, 2021
60 고기봉, 채진, 우성천, "소방조직의 효과적인 생활안전서비스에 관한 연 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7(4): 47-55, 2013
61 김태윤, 조석현, "폐기학습이론의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의 함의", 「한국행정학보」, 48(4): 407-433, 2014
62 강희조,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9(3): 561-567, 2018
63 양기근,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현장지휘체계의 개선방안", 「사 회과학연구」, 34(3): 81-104, 2008
64 채진, "소방행정에 있어 재난관리 효과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65 강재모, 주낙봉, 이장근, 유병현, 김영삼, "도심지 붕괴사고에 따른 매몰지 역 생명선 시공기술 평가",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17(9): 47-52, 2016
66 Freidson , E., "Professional Powers : A Study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ormal Knowledge", 1988
67 이창길, "생활안전분야의 표준화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1): 24-27, 2009
68 피혜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전문심장구조술(ACLS) 실습프로그램의 효과",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18(3), 대 한응급구조학회, 2013
69 강영철, 윤광석,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혁 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8
70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대형 화재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의 대응실태 문석", 「한국 과학수사학회 논문집」, 13(4), 2019
71 이용수, "혼합현실 정의의 문제점과 대안, 그리고 가상/증강현실의 작용 관계", 「디자인지식저널」, 34: 193-202, 2015
72 김동준, "미래 재난안전 최소화 및 산업화를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기국외훈련 영어권 직무훈련 과정 보고 서, 2018
73 Drobnis , A., "Visions 2025 ? Interactions : Our Future with Social , Cognitive and Physical Intelligent Assistants", 2014
74 김홍주, 정해욱, 정지승, 이선길, 이규영, "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가 지하 철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 집」,16(9), 13-21, 2015
75 김광염, 정자혜, 신휴성, 박훈, "지진에 의한 건축물 붕괴 시 매몰공동 위 치 예측에 관한 수치해석 사례 연구", 「지질공학」. 25(4): 613–621, 2015
76 최은수, "4차 산업혁명 그 이후 미래의 지배자들, 서울: 비즈니스북스 클라우스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현재, 2018
77 박효찬, 최재홍, 정태성, 이상범, 윤희원, 서동환, "이기라 김동영 김매튜 4 차 산업혁명 기반 재난안전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보고서", 행 정안전부, 2018
78 유현정, 이재은 ,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전략 : 국가 생활안전 위기의 분류와 운영방안 모색", 「한국위기관리논집」, 3(2): 4-5, 2007
79 Hills , A, ".Seduced by Recovery : The Consequences of Misunderstanding Disaster.Journa lof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6 ( 3 ) :162-170",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