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종이에 발생한 Foxing 얼룩의 손상 특성과 보존 방법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amaged by Foxing and Conservation of Paper Damaged by Fox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70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xing, which manifests as small, circular spots of yellow, brown, or reddish-brown hues on paper-based materials like drawings, books, and printed matter, is an unwanted form of damage. This deterioration is prevalent across various papers, from anci...

      Foxing, which manifests as small, circular spots of yellow, brown, or reddish-brown hues on paper-based materials like drawings, books, and printed matter, is an unwanted form of damage. This deterioration is prevalent across various papers, from ancient ones with profound historical and cultural importance to contemporary productions. It's not merely an aesthetic issue that diminishes their value; in severe cases, it can lead to structural damage, weakening the paper's strength. As a result, preservation efforts become necessary.
      This paper seeks to offer a foundational comprehension of foxing and its ongoing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past studies from active overseas research. Additionally, it aims to propose conserv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tailored for addressing foxing issues in Korea. Despite extensive studies on foxing over time, its causative factors and formation processes remain unclear. In recent years, investigations have linked foxing to oxidation and discoloration phenomena. These common traits of foxing induce paper damage irrespective of its origin. Hence, this paper concentrates on elucidating the repercussions of foxing and furnishes practical directives for mitigating these effects through experimental methodologies. Experiments examin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revealed that foxing undergoes greater oxidation compared to the surrounding paper. Moreover, the discoloration observed in foxing can be
      influenced by the oxidation of cellulose. Using these findings as a foundation, we investigated preservation techniques aimed at alleviating oxidation and dis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 ancient writings and drawings were commonly crafted using paper or fabric as their primary materials, often involving a process known as lining, which includes affixing multiple layers of paper to the back. When these writings or drawings face damage, traditional methods and materials are employed to enhance their preservation. The experiment involved two types of samples. The first type encompassed foxing observed on each page resembling books or documents. The second type involved foxing found within pictures resembling traditionally lined paintings.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imary issues of oxidation and discoloration caused by foxing on damaged paper, the main methods used in foxing treatment currently involve cleaning and bleaching. Therefore, in the experiments, we conducted treatment tests based on preservation methods such as wet cleaning, wet cleaning with
      suction, wet cleaning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ubsequently, degrad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these preservation techniques. In all experimental samples, both the acidity and the extent of discoloration in the foxing stains were effectively reduced. Discoloration was successfully removed using the traditional preservation method of wash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with suction, alongside suction, proved more effective in removing discoloration from the cellulose structure. Washing treatment with bleaching and standalone bleaching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 more effective discoloration removal compared to samples treated solely with deionized water. While subsequent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ing to assess stability didn't exhibit significant alterations, both types of bleached samples showcased additional damage attributed to stains that weren't initially present. This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case of lining painting samples, which displayed further harm due to fresh stains on the replaced backing paper. Despite the considerable efficacy of bleaching compared to using deionized water alone, the conducted artificial degradation tests aimed to affirm result stability ended up causing additional damage due to previously non-existent stains, indicating the advisability of avoiding bleaching. Once foxing appears on paper, it becomes difficult to reverse. Hence,
      prioritiz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oxing before it manifests on paper surfaces is crucial. Additionally,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to develop methods for treating paper affected by fox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폭싱은 종이 표면에 황색, 갈색, 적갈색의 작고 동그란 반점 형태의 얼룩으로, 종이나 그림, 책, 인쇄물 등 종이 재료로 가공된 것에 나타나는 원치 않는 손상이다. 폭싱에 의한 손상은 오랜 ...

      폭싱은 종이 표면에 황색, 갈색, 적갈색의 작고 동그란 반점 형태의 얼룩으로, 종이나 그림, 책, 인쇄물 등 종이 재료로 가공된 것에 나타나는 원치 않는 손상이다. 폭싱에 의한 손상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있는 고서화에서부터 현재 생산된 종이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폭싱에의해 그 가치가 저하되는 미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종이 강도저하와 같은 구조적인 훼손도 동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존 대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폭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폭싱에대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싱은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과 형성 과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며, 최근에는 폭싱의 현상과 관련하여 폭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화와 변색은 종이에 손상을 유발하는 폭싱의 현상으로 다양한 폭싱의 원인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그러므로 폭싱에 의해서 나타나는 종이의 손상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실험적인 접근으로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화와 변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폭싱은 주변의
      종이에 비해서 더 산화되었으며 폭싱의 변색은 셀룰로오스의 산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화와 변색을 완화하기 위한 보존 방법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서화는 종이나 비단의 바탕 재료를 사용하였고 이를 장황하기 위해 여러 겹의 종이를 배접지로 사용했다. 이러한 형태의 서화 샘플과 책과 같은 낱장의 종이 샘플 2가지 종류로 실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폭싱의 처리 방법인 세척과 표백을 기준으로 산화와 변색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 습식 클리닝,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 표백의 방법으로 보존 방법을 적용한 뒤 이와 같은 방법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된 모든 샘플에서 폭싱의 얼룩 부분의 산성도와 변색 정도 모두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었다. 습식 클리닝은 전통적으로 변색 제거에 사용되는 보존 방법이며 석션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의 경우 셀룰로 오스 구조에서 변색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표백을 동반한 습식 클리닝과 표백은 탈이온수만 이용해 처리된 샘플에서 보이는효과 그 이상을 보여주었다.이후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인공 열화 실험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표백으로 처리된 2가지 종류의 샘플에서는 모두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특히 서화 형태의 샘플의 경우 교체된 배접지에서도 새로운 얼룩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이 확인되었다.폭싱은 종이에 한번 생기면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종이에 폭싱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폭싱의 보존 방법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선행 연구 조사 3
      • 1. 폭싱의 정의 3
      • 2. 폭싱의 형태 5
      • 3. 폭싱의 형성 7
      • Ⅰ. 서 론 1
      • Ⅱ. 선행 연구 조사 3
      • 1. 폭싱의 정의 3
      • 2. 폭싱의 형태 5
      • 3. 폭싱의 형성 7
      • 4. 폭싱의 원인 11
      • 5. 폭싱에 의한 손상 26
      • 6. 보존 처리 32
      • Ⅲ. 실험 41
      • 1. 연구 방법 41
      • 2. 폭싱의 산화 연구 45
      • 3. 폭싱의 변색 연구 48
      • 4. 폭싱의 보존 연구 57
      • 5. 고찰 74
      • Ⅳ. 결론 77
      • 참고문헌 80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