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현되는 공간으로서의 연변 = Yanbian as a Spatial Repres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hosunjok(ethnic Koreans in China) make various multi-ethnic local landscapes in their destination while continuing to migrate and settle. However, in their settlements, “Yanbian” or “the national identity represent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hosunjok(ethnic Koreans in China) make various multi-ethnic local landscapes in their destination while continuing to migrate and settle. However, in their settlements, “Yanbian” or “the nat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Yanbian” becomes a common factor, reproducing a prototype of the ethnic identity of the Chosonjok. The study aims to show that Yanbian is the most “national” space serving as an important signifier of the identity of ethnic Koreans who are ethnic minorities in China. First, it describes the nation building process in Yanbian, a constructed social space where Korean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came to be citizens of China. Secondly, it analyzes the importance of Yanbian as a core element of the ethnic identity of the Chosunjok. Finally, It focuses on the representation of Yanbian as a prototypical place of Chosunjok, in which they project, recognize, and recreate cultural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 시대 조선족은 이주와 재이주를 거듭하고 있으며 조선족 자체가 다층적 집단인 만큼 이주지의 양상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정착지에서 “연변”, 혹은 “연변...

      세계화 시대 조선족은 이주와 재이주를 거듭하고 있으며 조선족 자체가 다층적 집단인 만큼 이주지의 양상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정착지에서 “연변”, 혹은 “연변이 표상하는 조선족 정체성”이 공통된 요소로 등장하고 있으며, 고향의 이미지로, 조선족 민족 정체성의 원형으로서 재현되고 있다.
      이 연구는 연변은 조선족 집단에게 있어서 가장 ‘조선족스러운’ 공간이며, 소수민족집단으로서의 조선족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표로서 작용함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한인의 이주와 신중국의 건설을 통해 연변이 역사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동북지역 한인이 중국의 국민으로 전환되었고, 그 공간적 배경으로서의 연변이 사회적 장소로 구성되었음을 논증한다. 두 번째로, 다양한 층위와 편차가 존재하는 조선족 정체성에서 “연변”이 그 중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함을 서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조선족이 이주하는 지역에서 공간적 차원 혹은 문화적 차원에서 조선족의 민족 원형으로 연변이 재현되고 있음을 분석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우길, "현대 중국 민족문제에 관한 소고" (14) : 309-323, 2000

      2 이제선,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2005

      3 남근우, "한민족(韓民族)의 준-종족화(準種族化)와 문화 분절화:김일성민족, 중국조선족, 자이니치 사회의 비교연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5 (15): 233-255, 2012

      4 방성훈,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39-68, 2012

      5 서방흥, "표준발음과 연변말의 전망" 86 : 29-34, 1996

      6 신지연, "트랜스이주시대의 뉴욕 한인 타운의 재구성과 민족간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7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37 (37): 101-142, 2003

      8 임영상,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북코리아 2012

      9 문재원, "초국가적 상상력과 ‘옌볜거리’의 재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7) : 397-427, 2013

      10 동아일보, "진시황도 못봤을 향연 … 지구촌 ‘오리엔탈 쇼크’"

      1 최우길, "현대 중국 민족문제에 관한 소고" (14) : 309-323, 2000

      2 이제선,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2005

      3 남근우, "한민족(韓民族)의 준-종족화(準種族化)와 문화 분절화:김일성민족, 중국조선족, 자이니치 사회의 비교연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5 (15): 233-255, 2012

      4 방성훈,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39-68, 2012

      5 서방흥, "표준발음과 연변말의 전망" 86 : 29-34, 1996

      6 신지연, "트랜스이주시대의 뉴욕 한인 타운의 재구성과 민족간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7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37 (37): 101-142, 2003

      8 임영상,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북코리아 2012

      9 문재원, "초국가적 상상력과 ‘옌볜거리’의 재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7) : 397-427, 2013

      10 동아일보, "진시황도 못봤을 향연 … 지구촌 ‘오리엔탈 쇼크’"

      11 김철성,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전 중국 조선족의 민족자치운동" (4) : 245-289, 1997

      12 박선영, "중화인민공화국 동북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역사적 정체성" 고구려발해학회 29 : 477-503, 2007

      13 김춘선, "중국조선족통사(하)" 연변인민출판사 2009

      14 김강일, "중국조선족사회의 문화우세와 발전전략" 연변인민출판사 2001

      15 정신철, "중국조선족, 그들의 미래는" 신인간사 2000

      16 김병호, "중국의 민족이론정책과 법률에 있어서의 연변(延邊) 조선족의 지위" 8 : 123-204, 1999

      17 이영민,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103-116, 2012

      18 김현미, "중국 조선족의 영국 이주 경험: 한인 타운 거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41 (41): 39-77, 2008

      19 이동철, "중국 조선족의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고찰과 전망: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소 (14) : 137-150, 2012

      20 한성훈, "중국 조선족의 독일 이주 연구" 국학연구원 (163) : 57-80, 2013

      21 이영민, "중국 조선족의 글로벌 이주 네트워크와 연변지역의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16 (16): 55-70, 2013

      22 박문일, "중국 조선족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23 최우길, "중국 조선족 연구"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5

      24 김원태, "중국 조선족 언론의 발전과정과 대 한국관에 관한 연구" 23 : 99-127, 2002

      25 최우길, "중국 조선족 사회와 교육의 변화" 2 : 138-185, 1999

      26 권태환, "중국 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7 (27): 61-90, 2004

      27 임채완, "중국 연변조선족의 민족정체성 조사 연구" 대한정치학회 10 (10): 271-297, 2002

      28 한상복, "중국 연변의 조선족 : 사회의 구조와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29 염인호, "중국 연변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일고찰(1945.8-1950.말)" 한국사연구회 (140) : 125-151, 2008

      30 이진영,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이론적 기초에 관하여" 6 (6): 277-298, 1999

      31 이현정, "조선족의 종족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7 (7): 63-105, 2001

      32 박세훈, "조선족의 공간집적과 지역정체성의 정치- 구로구 가리봉동 사례연구" 아시아여성연구원 3 (3): 71-101, 2010

      33 정지인, "조선족문학, 그 변두리 문학으로서의 특성과 정체성 찾기" 중국학연구회 (34) : 77-108, 2005

      34 이민주, "재중동포의 상업 활동과 정체성 형성 : 가리봉동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5 Relph, Edward,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36 문형진, "이주와 재이주를 통해 형성된 조선족문화 변천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센터 27 : 1-27, 2016

      37 구지영, "이동하는 사람들과 국가의 길항관계 - 중국 조선족과 국적에 관한 고찰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5-39, 2011

      38 신혜란, "우리는 모두 조선족이다 : 뉴몰든에서 칭다오까지, 오늘도 떠나는 사람들" 이매진 2016

      39 박정희, "옌볜조선족자치주의 공간 변화와 상상력" 국제지역연구센터 16 (16): 41-60, 2012

      40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연변학의 선구자들" 소명출판 2013

      41 윤희남, "연변지명의 문화고찰: 지명의 표식부를 중심으로" (179) : 5-11, 2012

      42 윤희남, "연변조선족자치주 지명에 대한 고찰" (154) : 12-17, 2008

      43 마금선, "연변에서의 이중언어 사용 실태와 한국어 교육" (창간) : 57-90, 2009

      44 김태국, "연변 조선족 사회의 과거와 현재" 고구려연구재단 2006

      45 김호림, "연변 100년 역사의 비밀이 풀린다 : 지명으로 읽는 이민사" 글누림 2013

      46 석화, "연변" 연변인민출판사 2006

      47 박광성, "세계화 시대 중국 조선족의 초국적 이동과 사회변화" 한국학술정보 2008

      48 서준섭, "석화 시에 나타난, 중국 시장 경제 이후의 조선족 문화 정체성의 위기 -시집 『연변』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7) : 387-409, 2012

      49 이석준,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 간 특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50 김현미, "방문취업 재중 동포의 일 경험과 생활세계" 한국문화인류학회 42 (42): 35-75, 2009

      51 양은경, "민족의 역이주와 위계적 민족성의 담론 구성 『조선일보』의 조선족 담론 분석" 한국방송학회 24 (24): 194-237, 2010

      52 이영민, "미국 이주 조선족의 집거지와 민족간 관계에 관한 연구: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9 (19): 75-90, 2016

      53 강진웅, "디아스포라와 현대 연변조선족의 상상된 공동체: 종족의 사회적 구성과 재영토화" 한국사회학회 46 (46): 96-136, 2012

      54 박선영, "동북공정과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 여유당 1359-1423, 2008

      55 Edenser, Tim,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이후 2002

      56 최협, "다민족사회의 민족문제와 한인사회" 집문당 1998

      57 김관웅, "다문화시대 중국 조선족문학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

      58 엄숙희, "다문화 서사에 나타난 초국적 이주와 고향의 의미 : 조선족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0 (40): 313-338, 2017

      59 이진영, "글로벌 이주와 초국가 공동체의 형성: 영국 거주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변화" 한국동북아학회 17 (17): 53-74, 2012

      60 Lefebvre, Henri,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61 Tuan, Yi-fu,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62 政务院, "政务院关于处理带有歧视或侮辱少数民族性质的称谓、地名、碑碣、匾联的指示"

      63 "延边朝鲜族自治州农业信息网"

      64 中国新闻网, "图文: 旅美朝鲜族同胞热烈欢迎胡锦涛"

      65 凤凰卫视, "凤凰大视野 延边朝鲜族发展考(三): 长白山下"

      66 人民网, "习近平总书记“如约”到延边考察有何深意?"

      67 新华网, "习近平总书记“如约”到延边"

      68 费孝通, "中华民族多元一体格局" 中央民族学院出版社 1989

      69 세계일보, "‘황허에서 미래로’ 중국의 힘 펼친 파노라마"

      70 오경희, "‘중국 조선족’ 이주 담론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삶과 정체성" 아시아여성연구원 7 (7): 35-61, 2014

      71 Smith, Anthony D., "National Identity" University of Nevada Press 2001

      72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91

      73 Billig, Michael, "Banal Nationalism" Sage Publication 1995

      74 염인호, "(또 하나의)한국전쟁 : 만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 역사비평사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