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세목적물의 양도와 전세금반환채무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veyance of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 and the Duty to return the Depos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4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he case law that upon the conveyance of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a deposit basis leasehold), the holder of the duty to return the deposit changes from the prior settlor of the Chonse right(a right to hold the deposit basis leasehold) to the new owner of the premises.
      In the case where a person registers Chonse right in belief that she may collect the deposit from the general liability property of the Chonse right settlor even if she knew she might not receive a preferential payment from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 right due to a preferential claim on that premises, if the settlor transfers the premises to the new owner who has no other financial resources, it is possible that the holder of the Chonse right may suffer damages arising from the inability to collect the deposit from the new owner.
      The case law shows that Chonse right and the claim for the return of the Chonse deposit may not be indefeasibly conveyed in separation. However, I personally believe that the court is wrong about this.
      Chonse right contains the usufruct power and the security power. Therefore, even if the Chonse system that separates the usufruct right holder, the creditor, and Chonse right settlor is allowed, it is not against the following and the accompanying nature of the real right granted in a way of security.
      And changing the debtor due to the fact that the Chonse right settlor's legal status as a debtor may be transferred to the new owner of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 without a process for a debt substitution or a contract substitution may cause unexpected damages on the part of the Chonse right holder. Therefore, I think it is valid that the attitude of the court toward this matter should change.
      번역하기

      It is the case law that upon the conveyance of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a deposit basis leasehold), the holder of the duty to return the deposit changes from the prior settlor of the Chonse right(a right to hold the deposit basis leasehold) to t...

      It is the case law that upon the conveyance of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a deposit basis leasehold), the holder of the duty to return the deposit changes from the prior settlor of the Chonse right(a right to hold the deposit basis leasehold) to the new owner of the premises.
      In the case where a person registers Chonse right in belief that she may collect the deposit from the general liability property of the Chonse right settlor even if she knew she might not receive a preferential payment from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 right due to a preferential claim on that premises, if the settlor transfers the premises to the new owner who has no other financial resources, it is possible that the holder of the Chonse right may suffer damages arising from the inability to collect the deposit from the new owner.
      The case law shows that Chonse right and the claim for the return of the Chonse deposit may not be indefeasibly conveyed in separation. However, I personally believe that the court is wrong about this.
      Chonse right contains the usufruct power and the security power. Therefore, even if the Chonse system that separates the usufruct right holder, the creditor, and Chonse right settlor is allowed, it is not against the following and the accompanying nature of the real right granted in a way of security.
      And changing the debtor due to the fact that the Chonse right settlor's legal status as a debtor may be transferred to the new owner of the subject premises of Chonse without a process for a debt substitution or a contract substitution may cause unexpected damages on the part of the Chonse right holder. Therefore, I think it is valid that the attitude of the court toward this matter should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세목적물이 양도된 경우, 전세금반환채무자가 종래의 전세권설정자에서 신소유자로 변경된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전세권자가 전세목적물에 선순위채권이 있어 전세목적물로부터 우선변제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전세권설정자의 일반책임재산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전세권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전세권설정자가 전세목적물을 무자력인 신소유자에게 양도하여 버린다면, 전세권자는 무자력자인 신소유자로부터 전세금을 반환받지 못하는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판례는 전세권과 전세금반환채권의 확정적 분리양도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판결의 태도는 잘못 되었다고 생각한다. 전세권에는 용익권능과 담보권능이 있다. 따라서 용익권자, 채권자, 전세권설정자, 채무자가 분리된 전세권제도가 허용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담보물권의 부종성, 수반성에 반하지 않는다는 것이 개인적 견해이다.
      그리고 채무자인 전세권설정자의 법적 지위를 채무인수 또는 계약인수 절차 없이 당연히 전세목적물의 신소유자에게 이전된다고 하여 채무자를 변경하는 것은 전세권자에게 예상하지 못한 손해를 입힐 우려가 있으므로 판례의 태도는 변경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전세목적물이 양도된 경우, 전세금반환채무자가 종래의 전세권설정자에서 신소유자로 변경된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전세권자가 전세목적물에 선순위채권이 있어 전세목적물로부터 ...

      전세목적물이 양도된 경우, 전세금반환채무자가 종래의 전세권설정자에서 신소유자로 변경된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전세권자가 전세목적물에 선순위채권이 있어 전세목적물로부터 우선변제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전세권설정자의 일반책임재산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전세권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전세권설정자가 전세목적물을 무자력인 신소유자에게 양도하여 버린다면, 전세권자는 무자력자인 신소유자로부터 전세금을 반환받지 못하는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판례는 전세권과 전세금반환채권의 확정적 분리양도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판결의 태도는 잘못 되었다고 생각한다. 전세권에는 용익권능과 담보권능이 있다. 따라서 용익권자, 채권자, 전세권설정자, 채무자가 분리된 전세권제도가 허용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담보물권의 부종성, 수반성에 반하지 않는다는 것이 개인적 견해이다.
      그리고 채무자인 전세권설정자의 법적 지위를 채무인수 또는 계약인수 절차 없이 당연히 전세목적물의 신소유자에게 이전된다고 하여 채무자를 변경하는 것은 전세권자에게 예상하지 못한 손해를 입힐 우려가 있으므로 판례의 태도는 변경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선, "한국물권법" 법문사 1990

      2 하경효, "채권적 전세보증금의 양도와 전세권의 소멸관계" 한국경영법무연구소 (118) : 2004

      3 강태성, "지역권·전세권에 관한 해석과 입법론" 한국재산법학회 21 (21): 25-45, 2004

      4 소재선, "전세목적물의 양도와 전세금반환의무, 대법원 2000. 6. 9. 선고 99다15122 판결" 청림인터렉티브 (410) : 2006

      5 이상태, "전세목적물의 양도와 전세금반환의무" 민사판례연구회 23 : 2000

      6 남효순, "전세금과 傳貰權의 관계 - 傳貰權 요소의 법적 의미와 傳貰權의 법적 성질 -" 법학연구소 49 (49): 181-212, 2008

      7 이상태, "전세권의 담보물권성과 그에 따른 전세권의 해석론 in: 현대상사법논집, 우계강희갑박사화갑기념논문집" 법지사 2001

      8 박순성, "전세권에 관한 판례의 동향과 전망 - 전세권의 담보물권성을 중심으로 - in: 심당송상현선생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2002

      9 이영섭, "전세권에 관한 몇 가지 문제" 10 (10): 1961

      10 윤대성, "전세권법의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87

      1 김기선, "한국물권법" 법문사 1990

      2 하경효, "채권적 전세보증금의 양도와 전세권의 소멸관계" 한국경영법무연구소 (118) : 2004

      3 강태성, "지역권·전세권에 관한 해석과 입법론" 한국재산법학회 21 (21): 25-45, 2004

      4 소재선, "전세목적물의 양도와 전세금반환의무, 대법원 2000. 6. 9. 선고 99다15122 판결" 청림인터렉티브 (410) : 2006

      5 이상태, "전세목적물의 양도와 전세금반환의무" 민사판례연구회 23 : 2000

      6 남효순, "전세금과 傳貰權의 관계 - 傳貰權 요소의 법적 의미와 傳貰權의 법적 성질 -" 법학연구소 49 (49): 181-212, 2008

      7 이상태, "전세권의 담보물권성과 그에 따른 전세권의 해석론 in: 현대상사법논집, 우계강희갑박사화갑기념논문집" 법지사 2001

      8 박순성, "전세권에 관한 판례의 동향과 전망 - 전세권의 담보물권성을 중심으로 - in: 심당송상현선생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2002

      9 이영섭, "전세권에 관한 몇 가지 문제" 10 (10): 1961

      10 윤대성, "전세권법의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87

      11 최우식, "전세권과 분리된 전세금반환채권의 양도" 대구판례연구회 7 : 1997

      12 양창수, "전세권" 국가고시학회 1992

      13 남효순, "용익기간 중의 傳貰金返還債權의 분리양도 - 大判 2002. 8. 23, 2001다69122(公 2002, 2196) -" 한국민사법학회 43 (43): 45-81, 2008

      14 장경학, "신물권법각론(상권)" 고시학회 1959

      15 방순원, "신물권법(전)" 일한도서 1960

      16 최 식, "신물권ㆍ담보물권법" 박영사 1960

      17 곽윤직, "민법주해(Ⅳ)" 박영사 1992

      18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08

      19 김증한, "물권법(제9판)" 박영사 1997

      20 권용우, "물권법(제3전정판)" 법문사 1993

      21 김상용, "물권법(전정판)" 법문사 1999

      22 이영준, "물권법(전정판)" 박영사 1999

      23 곽윤직, "물권법(전정증보판)" 박영사 1980

      24 곽윤직, "물권법(신정)" 박영사 1999

      25 김증한, "물권법(민법강의 Ⅱ, 改稿版)" 진일사 1980

      26 오시영, "물권법" 학현사 2009

      27 이은영, "물권법" 박영사 1998

      28 장경학, "물권법" 법문사 1990

      29 강태성, "물권법" 대명출판사 2000

      30 홍성재, "물권법" 대영문화사 2006

      31 民議院法制司法委員會民法案審議小委員會, "民法審議錄(上卷)" 1957

      32 "古文書, 2102, 1-406번"

      33 "古文書, 182644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8-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ND LAW REVIEW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토지법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8 0.61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