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셀슈머(Sell-sumer)로 진화한 인플루언서의 새로운 유형과 소셜미디어에서의 세일즈 전략 = Sell-sumer: The New Typology of Influencers and Sales Strategy in Social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2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 인구의 49%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소셜미디어 내에서의 소통과 콘텐츠 공유가 그 어느때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1인미디어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

      전 세계 인구의 49%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소셜미디어 내에서의 소통과 콘텐츠 공유가 그 어느때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1인미디어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여론을 형성하면서 셀슈머(Sell-summer)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등장했다.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상업적/비상업적 키워드의 주제 집중도와 상업적 포스팅의 비율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여 제품 카테고리별 인플루언서의 새로운 유형을 정의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 내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가 셀슈머로 변모하며 구사하는 새로운 세일즈 전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희망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파이썬 환경에서 인플루언서의 상업적/비상업적 포스팅으로 분류하고, 이를 KoNLPy를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한 후 FastText 기반 단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인플루언서의 상업적 포스팅의 키워드 주제 집중도가 높을수록(narrow) 매출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제품 카테고리별 인플루언서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고 매출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즉,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셜미디어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과 이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마케터들에게 소셜미디어 세일즈 전략의 실증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49% of the world's population uses social media platforms, communication and content sharing within social media are becoming more active than ever. In this environmental base, the one-person media market grew rapidly and formed public opinion, cre...

      As 49% of the world's population uses social media platforms, communication and content sharing within social media are becoming more active than ever. In this environmental base, the one-person media market grew rapidly and formed public opinion, creating a new trend called sell-sumer. This study defined new types of influencers by product category by analyzing the subject concentration of the commercial/non-commercial keywords of influencers and the impact of the ratio of commercial postings on sales. It is hoped that influencers working within social media will be helpful to new sales strategies that are transformed into sell-sumers. The method of this study classifies influencers’ commercial/non-commercial posts using Python, performs text mining using KoNLPy, and calculates similarity between FastText-based words.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keyword theme concentration of the influencer's commercial posting, the higher the sal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that the influencer types for each product categor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ales. In other wor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suggest empirical solutions of social media sales strategies for influencers working on social media and marketers who want to use them as marketing too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봉현, "표시광고법상 인플루언서 마케팅 규제 - 실질적 이해관계의 공개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법학회 19 (19): 141-176, 2020

      2 김난도, "트렌드 코리아 2021: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2021 전망" 미래의 창 2021

      3 정풀잎,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스마트폰 디자인의 핵심속성 및 가치 식별" 대한경영학회 32 (32): 27-47, 2019

      4 공정거래위원회, "추천, 보증 등에 관한 표시, 광고 심사지침"

      5 곽지혜, "인플루언서 유형에 따라 인스타그램 사용시간과 패션제품 구매액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 28 (28): 875-889, 2020

      6 김준호, "유튜브 관광콘텐츠 품질과 정보원 특성이 시청 만족, 지속적 시청 의도 및 미래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17-235, 2021

      7 이제원, "워드 임베딩 모델을 활용한패션 트렌드 분석" 2018 : 812-815, 2018

      8 김호용, "우리말샘 사전을 이용한 단어의미 유사도 측정 모델 개발" 3-4, 2018

      9 노승의,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온라인구전(eWO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4 (14): 1-20, 2013

      10 조은영, "소셜미디어 마케팅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91-111, 2015

      1 손봉현, "표시광고법상 인플루언서 마케팅 규제 - 실질적 이해관계의 공개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법학회 19 (19): 141-176, 2020

      2 김난도, "트렌드 코리아 2021: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2021 전망" 미래의 창 2021

      3 정풀잎,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스마트폰 디자인의 핵심속성 및 가치 식별" 대한경영학회 32 (32): 27-47, 2019

      4 공정거래위원회, "추천, 보증 등에 관한 표시, 광고 심사지침"

      5 곽지혜, "인플루언서 유형에 따라 인스타그램 사용시간과 패션제품 구매액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 28 (28): 875-889, 2020

      6 김준호, "유튜브 관광콘텐츠 품질과 정보원 특성이 시청 만족, 지속적 시청 의도 및 미래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17-235, 2021

      7 이제원, "워드 임베딩 모델을 활용한패션 트렌드 분석" 2018 : 812-815, 2018

      8 김호용, "우리말샘 사전을 이용한 단어의미 유사도 측정 모델 개발" 3-4, 2018

      9 노승의,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온라인구전(eWO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4 (14): 1-20, 2013

      10 조은영, "소셜미디어 마케팅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91-111, 2015

      11 최지윤,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8 (28): 47-72, 2017

      12 최철환, "미디어광고 종류에 따른 골퍼들의 광고 신뢰도, 호감도, 만족도 그리고 구전의도의 차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 18 (18): 11-19, 2020

      13 지윤성, "국내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67%가가짜"

      14 손힘찬, "[칼럼] 뉴미디어 콘텐츠 시장 떠오르다"

      15 임승수, "Word2Vec 모델 기반의 단어 유사도를 이용한 새로운 약물-부작용 관계 예측" 한국정보기술학회 18 (18): 25-33, 2020

      16 Kay, S., "When less is more: The impact of macro and micro social media influencers' disclosure" 36 (36): 248-278, 2020

      17 Fang, Q., "Topic-sensitive influencer mining in interest-based social media networks via hypergraph learning" 16 (16): 796-812, 2014

      18 Srinivasan, B. V., "Topic-based targeted influence maximization" IEEE 1-6, 2014

      19 Stubb, C., "This is not sponsored content"–the effects of impartiality disclosure and e-commerce landing pages on consumer responses to social media influencer posts" 98 : 210-222, 2019

      20 Friestad, M.,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ts" 21 (21): 1-31, 1994

      21 Park, J. W, "The influencer of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on brand attitude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Instagram mega influencer and micro influencer" Hongik University 2019

      22 Ahmad, "The influencer marketing revolution"

      23 Boerman, S. C., "The effects of the standardized instagram disclosure for micro-and meso-influencers" 103 : 199-207, 2020

      24 Lim, H, "The communication effect of network structure by influencer type: Social capital theory perspective" Soonchunhyang University 2020

      25 Gross, J., "The big four of influencer marketing. A typology of influencers" 30-38, 2018

      26 Vrontis, D., "Social media influencer marketing : A systematic review, integrative framework and future research agenda" 45 (45): 617-644, 2021

      27 김우빈, "SNS 패션 인플루언서 진정성이 팔로워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팬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43 (43): 17-32, 2019

      28 한지훈, "SNS 이용자들의 인플루언서 대인신뢰, 브랜드이미지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1-44, 2020

      29 Kefato, Z. T., "Personalized influencer detection: Topic and exposure-conformity aware"

      30 Lee, S., "Performance analysis of various embedding models based on hyper parameters"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510-513, 2018

      31 Farrar, D. E., "Multicollinearity in regression analysis : The problem revisited" 49 (49): 92-107, 1967

      32 Campbell, C., "More than meets the eye : The functional components underlying influencer marketing" 63 (63): 469-479, 2020

      33 Porteous, J., "Micro influencers vs macro influencers, what's best for your business?"

      34 Cha, M., "Mea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2010

      35 De Veirman, M., "Marketing through Instagram influencers : The impact of number of followers and product divergence on brand attitude" 36 (36): 798-828, 2017

      36 Weiss, A. M., "Listening to strangers : Whose responses are valuable, how valuable are they, and why?" 45 (45): 425-436, 2008

      37 박은정, "KoNLPy : 쉽고 간결한 한국어 정보처리 파이썬 패키지" 2014

      38 Susanna Lee, "Influencer marketing on Instagram: How sponsorship disclosure, influencer credibility, and brand credibility impact the effectiveness of Instagram promotional post" 한국마케팅과학회 11 (11): 232-249, 2020

      39 Tabellion, J., "Influencer marketing and its impact on the advertised brand. European Advertising Academy book series (EAA)" 2019

      40 Lou, C., "Influencer marketing : How message value and credibility affect consumer trust of branded content on social media" 19 (19): 58-73, 2019

      41 Choi, J., "Global market report: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미국 시장 진출 전략 [Strategies to advance into the US market using social influencer]" KOTRA 2017

      42 Jin, S. A. A., "Following celebrities'tweets about brands : The impact of twitter-based electronic word-of-mouth on consumers' source credibility perception, buying intention, and social identification with celebrities" 43 (43): 181-195, 2014

      43 김도연, "FastText를이용한 키워드기반 아이디어 추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762-763, 2020

      44 Djafarova, E., "Exploring the credibility of online celebrities' Instagram profiles in influencing the purchase decisions of young female users" 68 : 1-7, 2017

      45 Yoon, Y. J., "Does follower count really matter?:An investigation on micro influencers and Instagram influencer marke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0

      46 FTC, "Disclosures 101 for social media influencers"

      47 Datareportal, "Digital 2020: Global digital overview"

      48 Zarei, K., "Characterising and detecting sponsored influencer posts on Instagram" 327-331, 2020

      49 Wei, P. S., "An examination of the celebrity endorsements and online customer reviews influence female consumers' shopping behavior" 29 (29): 193-201, 2013

      50 김수림,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er’s Posting Strategies in Social Media" 한국지식경영학회 21 (21): 41-57, 2020

      51 유현주, "1 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특성이소비자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및 콘텐츠 진정성, 브랜드 진정성을 중심으로" 115-117, 2019

      52 Coco, S. L., "# sponsored : Consumer insights on social media influencer marketing" 9 (9): 177-194,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 Knowledge Management Review KCI등재
      2014-10-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지식경영연구
      외국어명 : The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28 2.04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