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일탈행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23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occurred empowerment in organization is to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In additio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We was used two research methods. Methods are the literature research by the utilizing domestic and foreign resources, and empirical study targeting of military organization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to fully 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tha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Third, Job engagement was found to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Job engagement was found to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Fourth , Job burnout was found tha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burnou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se findings are considered that contribute to raise spred ways the organization's Empowerment, and can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recent military organiz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occurred empowerment in organization is to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In additio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occurred empowerment in organization is to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In additio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We was used two research methods. Methods are the literature research by the utilizing domestic and foreign resources, and empirical study targeting of military organization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to fully 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tha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Third, Job engagement was found to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Job engagement was found to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Fourth , Job burnout was found tha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burnou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se findings are considered that contribute to raise spred ways the organization's Empowerment, and can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recent military organ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 및 대상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제 1 장 서 론 1
      • 1.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 및 대상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2.1 임파워먼트 7
      • 2.1.1 임파워먼트의 개념 7
      • 2.1.2 임파워링 리더십 9
      • 2.1.3 심리적 임파워먼트 13
      • 2.2 직무열의 18
      • 2.2.1 직무열의의 개념 18
      • 2.2.2 직무열의의 형성과정 20
      • 2.2.3 직무열의의 선행연구 25
      • 2.3 직무소진 27
      • 2.3.1 직무소진의 개념 27
      • 2.3.2 직무소진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28
      • 2.3.3 직무소진의 선행연구 31
      • 2.4 조직시민행동 34
      • 2.4.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34
      • 2.4.2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 36
      • 2.4.3.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연구 38
      • 2.5 조직일탈행위 40
      • 2.5.1 조직일탈행위의 개념 40
      • 2.5.2 조직일탈행위의 유형 41
      • 2.6 변수 간 관계에 관한 연구 44
      • 2.6.1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44
      • 2.6.2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일탈행위에 관한 연구 45
      • 2.6.3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46
      • 제 3 장 실증적 연구 설계 49
      • 3.1 연구의 “틀” 선정 49
      • 3.1.1 연구모형 설정 49
      • 3.1.2 가설의 설정 50
      • 3.1.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52
      • 3.2 조사대상과 방법 55
      • 3.2.1 표본추출 방법 55
      • 3.2.2 설문지의 구성 56
      • 3.2.3 자료분석방법 57
      • 3.3 자료의 분석 및 해석 58
      • 3.3.1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분석 58
      • 3.4 구조모형 분석 결과 63
      • 3.4.1 구조모형의 적합도 평가 63
      • 3.4.2 구조모형의 변인 간 영향력 평가 63
      • 3.4.3 매개효과 검증(가설 2, 3, 4) 65
      • 제 4 장 결론 및 연구방향 74
      • 4.1 연구결과의 요약 74
      • 4.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77
      • 4.2.1 연구의 시사점 77
      • 4.2.2 연구의 한계점 78
      • 참 고 문 헌 80
      • 부록 9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원우, "임파워먼트 실천 매뉴얼", 시그마컨설팅그룹, 서울:시그마컨설팅그룹,3, 1998

      2 최윤미,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 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상 담 및 심리치료,15(2),179-200, 2003

      3 신강현,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척도(MBI_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16(3),1-17, 2003

      4 이창신,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집단자아존중감과 무사안일행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17(2),25-52, 2006

      5 박원우, "관리자 능력에 대한 본인, 상사, 부하평가의 특성과 그들 간의 관계 : 다면평가의 효과적 실시를 위한 기초적 실증연구", 인사조직 연 구,8(1),51-104, 2000

      1 박원우, "임파워먼트 실천 매뉴얼", 시그마컨설팅그룹, 서울:시그마컨설팅그룹,3, 1998

      2 최윤미,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 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상 담 및 심리치료,15(2),179-200, 2003

      3 신강현,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척도(MBI_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16(3),1-17, 2003

      4 이창신,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집단자아존중감과 무사안일행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17(2),25-52, 2006

      5 박원우, "관리자 능력에 대한 본인, 상사, 부하평가의 특성과 그들 간의 관계 : 다면평가의 효과적 실시를 위한 기초적 실증연구", 인사조직 연 구,8(1),51-104,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